• 제목/요약/키워드: Acid Yellow 7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7초

배경에 따른 혈문증강 시약(Fuchsin Acid, Eosin-Y, Acid Yellow 7) 적용의 현출도 비교실험 (Development Comparative Experiments of Blood Prints Enhancement Reagent (Fuchsin Acid, Eosin-Y, Acid Yellow 7))

  • 김아람;김우중;정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94-201
    • /
    • 2013
  • 강력사건에서 혈액지문은 범인과 피해자를 연결하는 중요한 증거물이기에 현재까지도 이에 대한 많은 실험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부터 Fuchsin Acid와 Acid Yellow7간의 비교는 이루어져왔으나, Eosin-Y의 경우 국내에 조직염색시약으로만 알려졌을 뿐 직접적으로 지문에 적용된 사례가 없다. Fuchsin Acid는 특유의 붉은색으로 인해 밝은 배경에서 좋은 대조비를 보이지만, 어두운 배경에서는 Gel lifter를 적용해야 형광이 관찰되는 등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Gel lifter 사용 시 지문의 좌우가 바뀌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Acid Yellow 7은 노란색의 결과물이 현출되기 때문에 밝은 배경에서는 대조비가 좋지 않지만, 어두운 배경에서 매우 강한 형광을 나타냈다. Eosin-Y의 경우 분홍색의 결과물로 인해 밝은 배경에서 Acid Yellow 7에 비해 대조비가 좋았으며, 어두운 배경에서는 Fuchsin Acid 보다나은 형광이 관찰되었다. 물론 Eosin-Y가 밝은 배경에서의 Fuchsin Acid 및 어두운 배경에서의 Acid Yellow 7 형광에 비해서 효과성은 다소 떨어지나 배경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기에 현장에서 근무하는 수사요원에게는 보다 효과적인 혈액지문증강이 될 것이다.

옥돔건조중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IN FREE AMINO SCIDS OF YELLOW SEA BREAM BRANCHIOSTEGUS JAPONICUS JAPONICUS DURING DEHYDRATION)

  • 하진환;이응홍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7-31
    • /
    • 1980
  • 제주도에서 즐겨 먹어온 전통적인 수산식품중의 하나인 옥돔, Eranchiostegus japonicus japonicus, 건조중의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생원료와 건조옥돔에서 17종의 유리아미노산을 분리 고정할 수 있었다. 생원료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을 보면 함량이 많은 것은 lysine, alanine, threonine, arginine이고 그 다음이 taurine, serine, proline, glycine, glutamic acid, leucine이고 valine, methionine, tyros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은 함량이 적었고 특히 aspartic acid와 histidine은 그 함량이 제일 적었다. 옥돔건조중 유리아미노산 조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건조중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생원료에 비하여 $40\%$ 증가하였다. 건조옥돔에는 전체 유리아미노산중 lysine이 $18.4\%$, alanine 이 $14.7\%$, glutamic acid가 $8.8\%$, arginine이 $7.3\%$로서 이들4종 아미노산이 전 유리아미노산의 $48.4\%$를 차지하였다. 또 건조중 특히 많이 증가한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로 각각 2.9배, 2.1배 증가하였으나 taurine과 histidine은 $48\%,\;44\%$씩 감소하였다. 건조옥돔의 유리아미노산 중에는 좋은 맞을 가진 glutamic acid, 단맛을 가진 lysine, alan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또 TMAO도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복합적으로 건조옥돔의 독특한 맛에 중요한 구실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활엽수 화학 펄프내 잔류 hexeneuronic acid가 카파 값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hexeneuronic acid to kappa number determination in hardwood chemical pulps)

  • 신수정;성용주;박종문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2호
    • /
    • pp.35-40
    • /
    • 2010
  • Variations in hexeneuronic acid content in hardwood alkaline pulp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ir contribution to kappa number. Out of diverse chemical pulps the highest hexeneuronic acid content were measured in yellow poplar kraft pulping, which was assumed to enhance ca. 7.0 of kappa number determined by acid permanganate consumption. In yellow poplar soda-anthraquinone pulping, hexeneuornic acid was contributed to increment of 5.0-6.0 kappa number. In eucalyptus alkaline pulping, hexeneuronic acid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oda-anthraquinone pulping. Increment of Kappa number by hexeneuronic acid was 4.5-5.6 depending on pulping method and pulping time at target temperature.

Monascus anka로부터 황색소 생성 변이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ellow-pigment producing mutants of Monascus anka.)

  • 이호재;이형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1-115
    • /
    • 2002
  • 천연 황색소 생산을 위하여 Monascus anka Nakazawa et Sato IFO 4478(KCCM l1832 strain) 균주를 모균주로 하여 UV 조사 및 NTG(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처리 및 이들 방법을 병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모균주와는 색소생성 특성이 다르게 황색소를 단일성분으로 생성하는 변이주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leucine, cystein, aspartic acid, glutamic acid 와 asparagine 등 5종의 아미노산에 대한 영양요구주를 분리하였고 이중 asparagine 영양요구주 Y7은 colony 형태와 균사의 직경에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지만 전형적인 Monascus 균주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특히 유성생식에 의한 번식 특성이 강하여 색소 생성에 유리한 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Y7은 밝은 색조의 황색소를 단일 성분으로 생성하며 10대 이상의 계대배양에서도 색소 생성 특성이 안정하였고 색소 생성량이 모균주보다 약 2.2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때 생성된 황색소는 373 nm에서 단일 흡수 peak를 나타내고 물, 에탄올 등 극성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특성을 나타내며 생성된 색소의 대부분이 균체 밖으로 배출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천연치자색소의 합성색소와의 특성 비교 (Characterization of Natural Gardenia Color with Systhetic Color)

  • 김희구;김옥도;이상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06-512
    • /
    • 1998
  • In order to replance systhetic colors by natural colors as food additive, properties of Gardenia yellow color and Gardenia blue color were compared with Food yellow No. 4 and Food blue No. 1. Color differeance between Food yellow No. 4 and Gardenia yellow color was 7.55. Thermal stability of Food yellow No. 4 was above 99%.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Gardenia yellow color, showed adove 90% of residual color units in 8$0^{\circ}C$$\times$30min and 10$0^{\circ}C$$\times$30min at pH 7.0 but 75% in 121$^{\circ}C$$\times$15min. Difference of light stability between Food yellow No. 4 and gardenia yellow color was about 18%. Addition of ascorbic acid was increased about 6% in light stability. Color difference between Food blue No. 2 and Gardenia blue color was 107. Thermal stability of Food blue No. 2 was above 99%. But Gardenia blue color showed 92% of residual color units in 8$0^{\circ}C$$\times$30min and 10$0^{\circ}C$$\times$30min at pH 7.0 but 90% in 121$^{\circ}C$$\times$15min. Difference of light stability between Food blue No. 4 and Gardenia blue color was about 8%. Addition of -tocopherol was increased about 4% in light stability of Gardenia blue color.

  • PDF

국내 유통 콩의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변이 (Diversity in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oybean Seeds Cultivated in Korea)

  • 김선림;이영호;지희연;이선주;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48-357
    • /
    • 2007
  • 우리나라에서 재배 생산된 콩을 지역별로 수집하여 단백질,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이를 구명하여 국내 콩 자원의 이용성을 증진하고 고품질의 국산콩 생산기반 구축 및 특산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색콩의 백립중은 $24.6{\sim}36.6$ g(평균 29.0g)이었고, 검정콩은 $27.7{\sim}33.1g$(평균 31.2 g)의 변이를 보였으나 백립중 편차의 폭이 커 국내 유통 콩의 크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2. 검정콩 59종의 단백질 함량은 38.6%로서 황색콩 58종의 단백질 함량 37.9%보다 높았으나 지방함량은 황색콩이 18.1%로서 검정콩의 17.6%보다 높아 종피색에 따른 변이를 보였다. 3. 우리나라 지역별 수집콩 117종의 지방산의 수준은 linoleic > oleic > palmitic > linolenic > stearic > arachidic > myristic > benhenic acid 순으로 높았으며, linoleic acid가 53.75%, oleic acid가 22.08%로서 지방산조성의 약 75.83%에 해당되었다. 4. 불포화지방산 수준은 수집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으나 linoleic acid 및 oleic acid수준은 수집지역에 따른 변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지역간 수준 차이는 주로 linolenic acid의 변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황색콩의 linoleic, oleic, palmitic, linolenic acid의 조성은 각각 53.43%, 22.73%, 12.23% 및 8.24%였으나 검정콩은 54.13%, 21.48%, 12.47% 및 8.31%로 나타나 콩의 종피색에 따른 지방산 수준에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6. Oleic acid의 수준은 종피색에 따른 뚜렷한 변이를 보였으며 황색콩이 검정콩에 비하여 oleic acid의 조성비가 높게 분포되어 있었다. 7. 황색콩의 경우 백립중이 무거울수록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r=-0.513, P<0.01), 검정콩의 경우에는 백립중이 증가됨에 따라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r=0.154^{ns}).$

In Vitro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6-Hydroxykynurenic Acid and Other Flavonoids from Gingko biloba Yellow Leaves

  • Hyun, Sook-Kyung;Jung, Hyun-Ah;Chung, Hae-Young;Choi, Jae-Su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12호
    • /
    • pp.1074-1079
    • /
    • 2006
  • As part of our research on phytochemicals that exert protective effects against diseases related to reactive nitrogen species, we have evaluated the scavenging activity of the yellow leaves of Ginkgo biloba on $ONOO^{-}$. The m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obtained from yellow leaves of G. biloba evidenced a marked scavenging activity on authentic $ONOO^{-}$.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of the activ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n silica gel, Sephadex LH-20, and RP-18, resulted in the purification of 15 known compounds, including sciadopitysin (1), ginkgolide B (2), bilobalide (3), isoginkgetin (4), kaempferol (5), luteolin (6), protocatechuic acid (7), bilobetin (8), amentoflavone (9), ${\beta}-sitosterol$ glucopyranoside (10), kaempferol 3-O-rhamnopyranoside (11), kaempferol 3-O-glucopyranoside (12), kaempferol $3-O-[{6^{'}-O-p-coumaroyl-{\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alpha}-L-rhamnopyranoside]$ (13), kaempferol 3-O-rutinoside (14), and 6-hydroxykynurenic acid (15). Among the compounds isolated, flavonoids (5, 6 and 11-14), protocatechuic acid (7), and 6-hydroxykynurenic acid (15) all exhibited marked scavenging activities on authentic $ONOO^{-}$. The $IC_{50}$ values of 5-7, 11-14 and 15 were as follows: $2.86{\pm}0.70,\;2.30{\pm}0.04,\;2.85{\pm}0.10,\;5.60{\pm}0.47,\;4.16{\pm}1.65,\;2.47{\pm}0.15,\;3.02{\pm}0.48,\;and\;6.24{\pm}0.27\;{\mu}M$, respectively. DL-Penicillamine ($IC_{50}=4.98{\pm}0.27\;{\mu}M$) was utilized as a positive control. However, the other compounds (1-4, 8-10) exerted no effects against $ONOO^{-}$.

저염건 조기의 냉동저장 중 화학적 변화 (Chemical Changes of Low Salt-dried Yellow Corvenia Muscle During Frozen Storage)

  • 은종방;이진철;정동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60-666
    • /
    • 1997
  • 참조기에 $14\%$ 정도 천일염을 가해 저열건조기를 가공한 후 근육만을 $-20^{\circ}C$에서 냉동저장 하면서 영양 및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저염검 조기의 수분, 단백질, 지방, 회분은 각각 $74.6\%,\;18\%,\;3.4\%$$2.3\%$로 냉동 저장 중 큰 변화는 없었고, 유리아미노산의 경우는 저장 중 약 2배 정도 증가 하였으며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rid, alanine, lysine, glycine이었다. 근육에서 추출한 중성지방질의 주요 구성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palmitoleic acid, docosahexaenoic acid 이었으며 인지질의 주요 구성지방산은 docosahexaenoic acid, palmit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이었다. 유리지방산 함량 및 산값은 가공직후 각각 $3.8{\mu}M/g,\;0.25mg/100g$에서 냉동 10개월 후에는 $7{\mu}M/g$과 0.4mg/100g로 약간의 증가 후세를 보였고, TBA값은 $20{\mu}M/kg$에서 저장 2개월째 $60{\mu}M/kg$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후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산도 및 pH는 냉동 저장 중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아미노태질소는 가공직후 90mg/100g에서 자장 10개월째에는 18mg/100g으로 약간의 증가 추세를 보였다. VBN은 초기 18mg/100g에서 저장 5개월째에 초기 부패 단계까지 증가하였으며, 이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저염건 조기를 $-20^{\circ}C$ 냉동저장할 경우, 5개월 정도 저장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노란콩과 검정콩 식이가 흰쥐의 체내 지질 함량과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ellow and Black Soybeans on Plasma and Hepatic Lipid Composition and Fecal Lipid Excretion in Rats)

  • 송영선;고미경;권태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6-131
    • /
    • 1998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yellow and black soybeans on plasma and hepatic lipid composition and fecal lipid excretion in Sprague Dawley rats. Animals were fed with diets containing 52% yellow soybean, 50% black soybean, or 20% casein for 7 weeks. Feeding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nimals fed soybeans(p<0.05).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group fed yellow soybean compared with black soybean and casein-fed control (p<0.05). Hepatic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soybean groups compared with casein-fed control(p<0.05), whereas hepatic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not affected by diet treatments. Soybean feeding significantly increased fecal weight, triglyceride and bile acid contents compared with casein feeding(p<0.05). It is concluded that soybean feeding in rats affects plasma and hepatic lipid levels by increasing the excretion of triglyceride and bile acids.

  • PDF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10. 저식염조기젓 숙성중의 휘발성성분 및 지방산조함의 변화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10.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the Fermentation of Yellow Corvenia Prepared with Low Sodium Contents)

  • 차용준;이응호;박두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29-536
    • /
    • 1986
  • 젓갈의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식염의 일부를 KCl, sorbitol, lactic acid와 고춧가루알콜추출물로 대체하여 당근 저식염조기젓($Y_3,\;4\%$ 식염함량)을 재래식젓($Y_1,\;20\%$ 식염함량)과 함께 숙성중의 휘발성성분을 비교분석하였으며 또한 지방산조함의 변화도 실험하였다. 원료조기의 지질구성비율은 중성지질이 $78.1\%$, 인지질이 $21.2\%$, 당지질이 $0.7\%$이었으며 총지질의 조성은 monoene산이 $37.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포화산이 $34.8\%$, polyene산이 $27.7\%$이었다. 숙성중에는 polyene산($C_{22:6},\;C_{22:5},\;C_{20:5}$)의 경우 조기젓 $Y_3$$Y_1$에 비해 감소폭이 적었으나 전반적으로 둘다 감소한 반면에 포화산($C_{16:0},\;C_{18:0},\;C_{14:0}$)은 계속 증가하였고 monoene산($C_{16:1}\;C_{18:1}$)은 큰 변동이 없었다. 그리고 산가와 카르보닐가등도 숙성중 계속 증가하였으며 알콜을 첨가한 조기젓 $Y_3$$Y_1$에 비해 그 함량이 낮았다. 완숙기(숙성 90일경)의 조기젓, $Y_1,\;Y_3$의 전휘발성성분중 33종의 물질을 동정하였는데 주로 탄화수소류(8종), 알콜류(7종), 산류(6종), 알데히드류(4종), 함황화합물(2종), 케톤류(2종), 페놀(1종)과 기타물질(3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조기젓 $Y_3$에서는 그중 2-ethoxy ethanol이 전체의 $79.36\%$를, $Y_1$에서는 nonadecane이 $75.85\%$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숙성기간중 저급휘발성산(8종), 염기(5종), 가르보닐화합물(9종)을 분리동정하였는데 완숙기의 조기젓 $Y_3$에서는 acetic acid, isovaleric acid, n-caproic acid, n-butyric acid가 휘발성산의 주류이었으며, 카르보닐화합물에서는 ethanal, 2-butanone, butanal등이고 염기에서는 TMA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재래식젓과 비교하여 볼 때 각휘발성성분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고 함량비가 달랐으며, 조기젓의 냄새성분은 어느 특정성분에 의한 것 이라기 보다 여러 성분들의 상호조화에 의하여 젓갈특유의 풍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