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yranthes japonica Nakai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9초

Primary Chondrocytes에서 발효우슬, 당귀, 두충 복합물의 세포사멸 조절 효과 (Effects of Fermented Achyranthes japonica Nakai, Angelica gigas Nakai, and Eucommia ulmoides Oliver Extracts on Regulation of Apoptosis in Articular Chondrocytes)

  • 김다경;조원희;이민희;정현철;이성진;이승훈;이정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7-14
    • /
    • 2023
  • SD rat에서 primary culture한 chondrocyte에서 발효우슬, 당귀, 두충 추출 복합물(FAAE)이 염증 및 세포사멸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FAAE는 H2O2에 대한 세포 생존률, Smad3, Collagen type 1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고, 염증 및 세포사멸 관련인자(NF-κB pathway, COX-2, iNOS, JNK, c-Fos, c-Jun, caspase 3, Bax, Bcl-2)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는 FAAE가 염증 및 세포 사멸 억제를 통해 연골세포 보호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Effect of fermented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extract on osteoarthritis

  • Kang, Hyo Seok;Lee, Hee Seop;Yu, Heui-Jong;Jang, Seon Hyeong;Seo, Yoonhee;Cho, Hong Yon;Choe, Soo Young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04-109
    • /
    • 2017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arthritic effects of fermented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extract (FAJE). The FAJE was effective in nitrogen oxide (NO) scavenging in RAW264.7 cells. In the case of experimental Sprague Dawley (SD) rats injected with monosodium iodoacetate (MIA), the levels of $TNF-{\alpha}$ and $IL-1{\beta}$ in blood increased in the osteoarthritis-induced group while decreasing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FAJE. In addition, MMP-2 and MMP-9 in cartilage tissues increased in the osteoarthritis-induced group, but decreased in the group treated with FAJE. Cartilage examination indicated that the osteoarthritis-induced group exhibited cartilage erosion and cell degeneration, but in the FAJE administered group the tissue, conditions were recovered and cartilage proteoglycan was increased. Therefore, FAJE clearly showe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this suggests it is effective for recovery from osteoarthritis induced by MIA.

The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 Park Hi-Joon;Lee Ji-Suk;Hong Mi-Sook;Kim Chang-Ju;Kim Jin-Woo;Lee Hye-Jung;Lim Sabina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14
    • /
    • 2004
  • Objective : Achyranthes japonica Nakai (AJ) has been classified as a herb that activates blood flow and clears the stagnated blood. In this study, we evaluated its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animals to clarify the effect of AJ on pain or inflammation. Methods : ICR mice and Sprague-Dawley rats were pretreated with an ethanolic extract of AJ with two dosages of 200 mg/kg (p.o.) and 400 mg/kg (p.o.). Nociceptive responses of acute pain were determined by hotplate and tail-flick tests. The effects of AJ on inflammation were evaluated by flexion/extention test and mechanical hyperalgesia test in models induced by both carrageenan and Complete Freund's Adjuvant (CFA). Results : AJ showed significant analgesic effects in both hotplate and tail-flick tests at the dose of 400 mg/kg. It also produced a significant inhibition of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and CFA induced arthritis in rats at the dose of 400 mg/kg. Conclusion : We have demonstrated the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an 80% ethanolic extract of AJ in animals. This suggests the application of AJ in relief of pain or inflammatory disease.

  • PDF

Antioxidant Activitie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 and Its Application to the Pork Sausages

  • Park, J.H.;Kang, S.N.;Shin, D.;Hur, I.C.;Kim, I.S.;Jin, Sang Ke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287-294
    • /
    • 2013
  • Influence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 (AJNE) on properties of pork sausages were studied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AJNE was added to sausage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scorbic acid to obtain a comparative analysis on properties of control and ascorbic acid added-sausages. Results showed that addition of 0.05% AJNE led to a decrease in color $L^*$ and whiteness (W), and an increase in color $b^*$ of pork sausage samples (p<0.05). Although color $a^*$ of pork sausages containing AJN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corbic acid added-sausages were highest amongst other treatments (p<0.05). Sausages containing AJNE had lower non-heme iron values and peroxide value (POV) than control sausages (p<0.05); however, high nitrosomyoglobin content was observed in AJNE added-sausages (p<0.05). Ascorbic acid led to a decrease in residual nitrite concentration of sausages (p<0.05), but no difference was found in AJNE added-sausages. Free radical scavenging analysis showed that AJNE did not affect 1,1-diphenyl -2-picrylhydrazyl (DPPH) activity of sausages, whereas ascorbic acid added-sausages showed relatively higher activity among the samples (p<0.05). Addition of AJNE had no influence on texture properties of sausages. In sensory evaluation, AJNE treat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lor (p<0.05), but no significant effects on aroma, flavor, springi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AJNE, as a natural supplement may offer natural antioxidants for pork sausages, and appears to be particularly effective in inducing changes in non-heme iron concentration, POV value and nitrosomyglobin content.

우슬 추출물의 Clostridium difficile에 대한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 정선미;최수임;박상민;허태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64-5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장염 유발균인 C, difficile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항균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40여 가지 생약재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C. difficile에 대한 생육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우슬, 희첨, 황백은 1,000 ppm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우슬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AJNEA)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의 최소저해농도(MIC)는 $625{\mu}g/mL$였다. 또한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JNEA의 유산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B. longum, L. helveticus와 S. thermophilus를 제외한 나머지 균주들에 대해서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우슬 추출물은 C. difficile 관련 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제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리분류를 이용한 쇠무릎 분류군의 외부형태 연구 (Morphometric Study of Achyranthes bidentata Complex Using Numerical Taxonomy)

  • 안영섭;김관수;김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66-471
    • /
    • 2012
  • 'Usul' is a traditional medicinal herb, which ha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s distributed in India, Nepal, China, Korea, Japan. Korea pharmacopeia listed 'Usul' as either a species of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or A. bidentata Blume. Recent taxonomic studies in China and Japan delimited these taxa as two varieties, A. bidentata Blume var. bidentata and var. japonica Miq. A multivariate morphometric study of Achyranthes bidentata complex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entities of taxa that usefully could be recognized. Five quantitative characters were reviewed and analyzed with 293 specimens from Korea. The univariate analysis of inflorescence length, interval between florets, angle between floret and floral axis indicated that ranges among all taxa were continuous. However, quantitative characters of membrane size and the number of hairs within 4 were useful to identify two varieties. In PCA, the first three principal components accounted for 89.4% of the total variance. PCA revealed that var. bidentata showed distinctions in morphological attributes from var. japonica entity. Therefore, continued recognition at the infraspecifc level for these taxa is supported.

민속주 부재료로 이용되는 식물성 방향재료 및 약용재료중의 Asarone, Coumarin, Thujone의 분석 (Analysis of Asarone, Coumarin and Thujone in Medicinal Plants Used in Brewing a Korean Traditional Folk Wine)

  • 조정옥;김선민;김경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10-217
    • /
    • 1999
  • 전통민속주 제조에 이용되는 부재료 가운데 휘발성 향기성분인 asarone, coumarin, thujone등 식품에 허용기준이 제한된 독성 관련 향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성 방향재료 및 약용재료를 확인, 분류하기 위하여 이들의 20% ethanol 추출액으로부터 고상추출(solid phase extraction)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을 흡착, 용리시킨 후 GC-FID와 GC/MS로 검출, 확인하였다. 조사대상 87종의 식물성재료 중 창포(Acorus asiaticus Nakai),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er), 당귀(Angelica gigus Nakai), 백단향(Santalum album) 등 6종에서 asarone이 검출되었으며, coumarin은 소회향(Anethum graveolens), 회향(Foeniculum vulgare Gaertner), 자초(Lithosperum erythrorhizon Siebold et Zuccarinii) 등 22종에서 검출되었다. 한편, 우실(Achyranthes japonica Nakai), 사인(Amomum xanthiodes Wallich), 약쑥(Artemisia asiatia Nakai), 대마자(Cannabis sativa L.)씨, 골담초(Caragana sinica R.), 국화(Chrysanthem morifolium Ramat), 사삼(Codonopsis lanceolata Bentham et flooker), 회향(Foeniculum vulgare Gaertner) 등 24종에서는 thujone을 확인하였다.

  • PDF

토우슬과 회우슬의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nd Achyranthes bidentata Blume)

  • 이예슬;김미선;김덕진;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16-42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우슬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우슬의 기원식물별 성분과 생리활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산 토우슬과 중국산 회우슬의 ethanol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각각의 유용성분을 분석하고, 이들의 in-vitro 항균활성,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비교하였다. 국내 대한약전에서 토우슬 및 회우슬 2종 모두를 우슬로 규정하고 있으며, 구분없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분석 결과 토우슬은 회우슬물보다 지용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며, 회우슬의 경우 상대적으로 수용성 당류를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토우슬 및 회우슬 모두 다양한 종류의 폴리페놀들을 함유하고 있으나, 회우슬이 토우슬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총플라보노이드 및 총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 및 ${\alpha}$-glucosidase 활성 평가 결과 토우슬의 분획물이 회우슬의 분획물보다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항산화능(DPPH 음이온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의 경우 토우슬보다 회우슬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동일 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토우슬과 회우슬은 추출물의 경우 성분 및 효능에서 매우 유사하나, 분획물의 경우 성분 및 활성의 차이가 나타남을 의미하며, 특히 우슬 추출물의 분획물을 이용한 기능성식품 및 천연물 신약 개발시에는 국내산 토우슬과 중국산 회우슬을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A Comparison of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Between the Hot Water Extract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nd Achyranthes bidentata Blume)

  • 이예슬;김미선;권하영;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55-663
    • /
    • 2014
  •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 가능한 우슬은 국가마다 다른 기원식물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토우슬 및 회우슬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우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비교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우슬차 및 우슬식혜 제조를 목표로,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과 이들의 순차적 분획물을 조제하여 각각의 유용성분 및 in-vitro 항균활성,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은 토우슬보다 수용성 당류 및 다양한 폴리페놀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으며, 토우슬보다 높은 명도와 낮은 황색도를 나타내었다. 항세균 활성 평가에서는 토우슬의 ethylacetate 분획과 회우슬의 n-hexane 분획에서 우수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활성 음이온, 활성 양이온 및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 측정의 항산화 활성 평가결과, 토우슬 추출물이 회우슬보다 우수하며, 특히 토우슬의 ethylacetate 분획에서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in-vitro 항당뇨 활성평가 결과, 토우슬 및 회우슬의 ethylacetate 분획에서 우수한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각각의 butanol 분획에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들은 추출효율과 성분에서 많은 차이가 있으며, 특히 이들의 분획물의 경우 성분 및 활성이 더욱 차이가 나타남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우슬의 항균,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이용한 천연물 신약 개발시에는 토우슬의 ethylacetate 분획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우슬차 및 우슬식혜 제조시에는 토우슬의 열수 추출물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Achyranthes japonica Nakai-Rice Pilsner 맥주박 열수 추출물의 영양성 및 기능성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Water Extracts from Achyranthes japonica Nakai-Rice Pilsner Byproducts)

  • 오소형;정범균;천지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85-195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특산자원인 우슬과 발아벼를 이용하여 Achyranthes japonica Nakai-Rice Pilsner(ARP) 맥주를 제조하고 얻어지는 맥주박의 활용가치를 평가하여 소규모 맥주 제조사의 부가가치 생산과 제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ARP 맥주 제조 시 당화 및 농축공정에서 얻어지는 맥주박 brewer's spent grain(BSG, 맥아와 미아)와 brewer's spent material(BSM, 우슬)의 $25^{\circ}C$, $60^{\circ}C$, 그리고 $100^{\circ}C$ 열수 추출액을 제조하고 이들의 영양성 및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ARP 맥주박 BSG와 BSM의 열수 추출액의 유용성분 추출량은 추출온도와 시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gamma}-aminobutyric$ acid(GABA), 사포닌, 나이아신 성분은 $60^{\circ}C$에서 3시간 이상의 추출에서 함량이 높게 나타났지만, 총폴리페놀 성분과 항산화능[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의 경우 $100^{\circ}C$에서 1시간 추출 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엽산의 경우 BSG는 $100^{\circ}C$에서, BSM은 $60^{\circ}C$에서 추출된 시료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영양성과 기능성을 모두 고려해볼 때 $60^{\circ}C$에서 3시간의 열수 추출조건이 바람직한 조건으로 보인다. 이 조건하에서 BSG 추출액의 경우 GABA $186.1{\mu}g/100mL$, 나이아신 $67.9{\mu}g/100mL$, 엽산 $80.9{\mu}g/100mL$, 총폴리페놀 $198.8{\mu}g$ gallic acid equivalent(GAE)/100mL, DPPH 라디칼 소거능 $90.0{\mu}g\;GAE/100mL$, 환원력 $8.4{\mu}g\;GAE/100mL$, BSM 추출액의 경우 사포닌 $300.2{\mu}g$ diosgenin equivalents/100 mL, 나이아신 $1,209.7{\mu}g\;GAE/100mL$, 엽산 $18.0{\mu}g\;GAE/100mL$, 총폴리페놀 $270.4{\mu}g\;GAE/100mL$, DPPH 라디칼 소거능 $1,049.9{\mu}g\;GAE/100mL$, 환원력 $505.5{\mu}g\;GAE/100mL$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BSM의 열수 추출액은 BSG 추출액에 비하여 수용성 비타민의 경우 약 4~18배, 총폴리페놀 함량은 1.4배, 항산화능은 약 11~60배 높게 나타나 영양성 및 기능성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ARP 맥주박은 영양성 및 기능성 면에서 우수한 자원으로 $60^{\circ}C$에서 3시간 열수 추출물을 향후 제품 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