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E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35초

율무로부터 항치매성 Acetylcholinesterase 저해물질의 최적추출 조건 및 특성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dementia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from Job's Tears (Coix lachrymajobi L.))

  • 서동수;장정훈;김나미;이종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34-438
    • /
    • 2009
  •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antidementia functional food or alternative drug using agricultural products, Job's tears (Coix lachrymajobi L.), which shows high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ctivity (55.1%) was selected and the extraction conditions of AChE inhibitor were optimized. AChE inhibitor of Job's tears was maximally extracted when it was treated with 60% methanol at $40^{\circ}C$ for 6 h. The AChE inhibitor of the methanol extracts was partially purified by systematic solvent extraction, thin layer chromatography, silica gel chromatography and reverse-phase HPLC and the partial purified AChE inhibitor with inhibitory activity ($IC_{50}$) of $0.608\;{\mu}g$ was obtained. The partial purified AChE inhibitor was soluble in methanol and hexane, and insoluble in water. Its maximum absorption spectra was 230 nm and also it was stable in the range of $30^{\circ}C$ and $70^{\circ}C$ and pH 4.0-8.0 for 1 h.

쑥부쟁이 추출물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및 항산화 활성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ster yomena Extract)

  • 배종섭;김태훈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21-126
    • /
    • 2009
  • Objectives : To evaluate the radical scavenging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ethylacetate (EtOAc)-soluble portion of a methanolic extract of Aster yomena, three different assay systems were performed.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 yomena extract was tested as its capacity to scavenging free radicals of DPPH and $ABTS^+$, which has been widely us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from plant sources. AChE inhibitory activity was tested against mouse brain AChE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of Ellman using ELISA microplate reader. Results : The methanolic extract of A. yomena was fractionated and the EtOAc-soluble portion showed significant AChE inhibitor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Also the EtOAc-soluble portion reveal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s as compared to the other extract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enolic compounds may be important constituents that give rise to the anti-AChE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A. yomena extract. Further phytochemical studies on this plant, for nutraceutical or pharmaceutical application, are warranted.

Phosalone의 활성화과정을 통한 acetylcholinesterase와 butyrylcholinesterase에 대한 활성 저해 (Inhibi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by Phosalone via Bioactivation)

  • 임금춘;한대성;허장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2호
    • /
    • pp.174-178
    • /
    • 1995
  • 유기인계 살충제인 phosalone의 활성화과정을 통한 독성발현기작에서 cytochrome $P_{450}$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관 내와 생체 내 system을 이용하였다. Phosalone의 AChE와 BuChE에 대한 이분자 저해 속도상수$(k_i)$는 약 1$10^2\;M^{-1}{\cdot}min^{-1}$으로 측정되어 그 자체로는 저해력이 상당히 낮은 약제임이 관찰되었다. AChE 또는 BuChE/MFO coupling system에서는 $I_{50}$값이 control에서 각각 $3.7{\times}10^{-6}$, $2.5{\times}10^{-7}M$로 관찰되었고, cytochrome $P_{450}$의 조효소인 NADPH를 첨가한 oxidase에서는 $1.2{\times}10^{-8}$$6.0{\times}10^{-9}M$로 나타나 약 $40{\sim}300$배 정도의 활성화 효과가 관찰되었다. Cytochrome $P_{450}$의 특이적 저해제인 PB를 처리하였을때 저해곡선이 control쪽으로 이동하여 phosalone의 활성화과정에 cytochrome $P_{450}$이 관여하고 있슴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생체 내 실험에서 생쥐의 뇌 AChE 활성저해는 phosalone만을 투여한 경우 $I_{50}$이 170 mg/kg, PB를 전처리 하였을 경우에서 42.5 mg/kg으로 나타나 PB 처리에 의하여 오히려 약 4배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쥐 혈액에서의 AChE와 BuChE활성저해 결과는 PB 전처리가 phosalone의 저해 경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시험관 내 실험에서의 결과와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 PDF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inhibition analysis of the acetylcholinesterase gene from the silkworm maggot, Exorista sorbillans

  • Lang, Guo-Jun;Zhang, Ming-Yan;Li, Bao-Ling;Yu, Lin-Lin;Lu, Xing-Meng;Zhang, Chuan-Xi
    • BMB Reports
    • /
    • 제43권8호
    • /
    • pp.573-578
    • /
    • 2010
  • Several organophosphorus (OP) insecticides can selectively kill the silkworm maggot, Exorista sorbillans (Es) (Diptera: Tachinidae), while not obviously affecting the host (Bombyx mori) larvae, but the mechanism is not yet clear. In this study, the cDNA encoding an acetylcholinesterase (AChE) from the field Es was isolated. One point mutation (Gly353Ala) was identified. The Es-353G AChE and Es-353A AChE were expressed in baculovirus-insect cell system, respectively. The inhibition results showed that for eserine and Chlorpyrifos, Es-353A AChE was significantly less sensitive than Es-353G AChE. Meanwhile, comparison of the I50 values of eserine, dichlorvos, Chlorpyrifos and omethoate of recombinant Es AChEs with its host (Bombyx mori) AChEs indicated that, both Es AChEs are more sensitive than B. mori AChEs. The results give an insight of the mechanism that some OP insecticides can selectively kills Es while without distinct effect on its host, B. mori.

Scopolamine 유발 기억력손상 흰 쥐에서 영계감조탕가용골모려(笭桂甘棗湯加龍骨牡蠣)의 인지기능개선과 항산화 효과 (Anti-amnesic and Antioxidant Effect of Yeongkyekamjotanggayonggolmoryo Aqueous Extracts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 김대억;한다영;김상호;정대규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1-134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in vivo study is to observe anti-amnesic effects of Yeongkyekamjotanggayonggolmoryo (YGYM), a novel mixed herbal prescription, Ossis Mastodi and Ostreae Testa added Yeongkyekamjo-tang, on scopolamine induced amnesia in C57BL/6 mice through acetylcholine (ACh)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mRNA expression, and antioxidant effects. Methods: Six groups, total 20 intact or 100 Sco treated mice were used in this study after one week of acclimatization period. Half the animals were used for passive avoidance task tests and hippocampus ACh content, AChE activity, and ChAT mRNA expression were measured. The other half was subjected to an underwater maze test and then the cerebral cortex antioxidant defense system was measured. Results: In the passive avoidance experiment,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residence time in the bright room and in the underwater maze test, escape latency to escape from the esophagu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At the final sacrifice, ACh content and ChAT mRNA expression decreased, AChE activity increased, and cerebral cortical MDA increased GSH content, SOD and CAT activity in Sco control mice, as compared to intact vehicle control mice. However, these Sco treatment-related memory loss through AChE activation destroyed the cerebral cortex antioxidant defense system, and was inhibited dose-dependently by 28 days consecutive oral pretreatments of YGYM extracts 500, 250, 125 mg/kg. Conclusions: In the above results, YGYM extract that oral administration of YGYM extracts alleviates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through preservation of ACh mediated by upregulation of ChAT mRNA expression, and increase of AChE inhibition and brain antioxidant defense systems.

생강, 울금, 강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ChE 억제활성 및 GABA 함량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Zingiber officinale Rosc., Curcuma longa L., and Curcuma aromatica Salisb. on Acetylcholinesterase and Antioxidant Activities as well as GABA Contents)

  • 정연섭;박성진;박정현;지광환;이인선;양선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395-1401
    • /
    • 2012
  • 생강과 식물의 인지기능 관련 활성을 검토하고 종류와 산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많이 사용되고 고품질로 알려져 있는 국산 생강과 울금, 미얀마산 울금과 인도산 강황의 항산화 효과, GABA 함량, 활성성분 분석, 그리고 AChE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미얀마산 울금 에탄올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98 ${\mu}g/mg$), curcumin(97.1 ${\mu}g/mg$), GABA 함량(1.31 ${\mu}g/mg$)이 가장 높았으며,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AChE 저해능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인도산 강황 추출물도 미얀마산 울금과 비슷한 항산화 효과와 AChE 저해 효과가 나타났으나, curcumin (12.2 ${\mu}g/mg$)과 GABA(0.04 ${\mu}g/mg$) 함량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국산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은 비슷하였으나(39.7~42.5 ${\mu}g/mg$) 6-gingerol, 6-shogaol 등의 진저롤류를 함유하고 있는 생강 추출물에서 울금보다 높은 라디칼 소거능, 특히 강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AChE 저해능은 두 추출물 모두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2가지 추출물의 GABA 함량(약 1.11 ${\mu}g/mg$)은 미얀마산 울금과 비슷한 정도로 높게 검출되어 라디칼 소거능과 AChE 억제능은 GABA 함량과는 상관성이 없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한 4가지 생강과 식물 추출물의 AChE 억제능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curcumin 함량, 라디칼 소거능 및 GABA 함량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미얀마산 울금은 나머지 추출물과 비교하여 높은 항산화 활성과 curcumin 및 GABA 함량, 그리고 비교적 높은 AChE 저해활성을 갖는 강력한 인지능 개선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저항성 벼멸구의 효소활성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Esterase Activity and Acetylcholinesterase Sensitivity of Insecticide-selected Strains of the Brown Planthopper(Nilaparvata lugens Stal))

  • 박형만;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7-123
    • /
    • 1991
  • 벼멸구의 살충제 저항성 기구를 구명하고자 fenobucarb, carbofuran 및 diazinon으로 벼멸구를 14~18세대 누대 도태하여 얻어진 벼멸구를 대상으로 저항성 기구를 조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중 acetylcholinesterase(AChE)와 esterase의 활성 변화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AChE활성은 fenobucarb선발 계통에서 1.6배 증가하였으나 타 계통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세포내 분포도 mitochondrial fraction에서 70% 이상으로 계통간 차이가 없었다. 반면, AChE감수성은 fenobucarb와 carbofuran선발 계통에서 각각의 공시 살충제에 대하여 12.2배, 5.6배 감소하였으나 diazinon선발 계통에서는 diazoxon에 대하여 1.7배 감소에 그쳤다. Esterase활성은 fenobucarb선발계통에서 5.6~6.8배, carbofuran선발계통에서 6.4~7.8배, diazinon선발계통에서 4.0~4.4배 증가하였다. 벼멸구의 저항성 증가에 다른 요인이 관련됨을 배제할 수 없으나, 본 실험 결과 esterase 활성증가와 AChE감수성 저하라는 두 요인이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벼멸구 저항성을 유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PDF

산화적 활성화 과정을 통한 N-dimethoxyphosphinothioyl carbofuran의 독성발현 (Toxic action of N-dimethylphosphinothioyl carbofuran by oxidative activation process)

  • 양규완;이석종;김성문;한대성;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15
    • /
    • 1998
  • Carbofuran 및 N-dimethoxyphosphinothioyl carbofuran (PSC)의 AChE에 대한 이분자 저해 속도상수(bimolecular inhibition rate constant, $k_{i}$)를 관찰하였다. Carbofuran은 $7.7{\times}10^{5}\;M^{-1}{\cdot}min^{-1}$으로 높은 저해효과를 보이고 있는 반면, PSC는 $1.2{\times}10^{3}\;M^{-1}{\cdot}min^{-1}$으로 carbofuran에 비하여 AChE에 대한 저해력이 600배 정도 낮은 저해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어 독성발현을 위하여 활성화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ChE/mixed function oxidase(mfo) coupling system을 이용한 microsomal oxidative activation 실험에서 PSC의 AChE에 대한 저해력이 control에 비하여 NADPH가 첨가된 oxidase 처리구에서 800배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cytochrome $P_{450}$의 저해제를 첨가한 oxidase+PBO 처리구에서는 control의 저해 경향과 유사하였다. 또한 생쥐 뇌 AChE에 대한 PSC의 $I_{50}$은 28 mg/kg인 반면 PBO를 전처리하였을 경우 $I_{50}$은 57 mg/kg으로 나타나 cytochrome $P_{450}$ 저해제로 인하여 PSC의 저해력이 2배정도 감소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PSC는 독성발현을 위하여 활성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 과정에서 cytochrome $P_{450}$ 이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SC와 MCPBA를 반응시켜 산화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독성대사물을 분석한 결과 반응산물의 약 55%가 carbofuran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PSC의 활성화 과정을 통한 독성발현에 cytochrome $P_{450}$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PSC의 산화적 활성화 과정을 통한 주된 독성대사물이 carbofuran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Cholinesterase Inhibitors using 1-Benzyl Piperidin-4-yl (α)-Lipoic Amide Molecules

  • Lee, Seung-Hwan;Kim, Beom-Cheol;Kim, Jae-Kwan;Lee, Hye Sook;Shon, Min Young;Park, Jeong 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6호
    • /
    • pp.1681-1686
    • /
    • 2014
  • A series of hybrid molecules between (${\alpha}$)-lipoic acid (ALA) and 4-amino-1-benzyl piperidines were synthesized and their in vitro cholin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and butyrylcholinesterase (BuChE)) inhibitory activities were evaluated. Even though the parent compounds did not exhibit any inhibitory activity against cholinesterase (ChE) with the exception of compound 14 ($IC_{50}=255.26{\pm}4.41$ against BuChE), all hybrid molecules demonstrated BuChE inhibitory activity. Some hybrid compounds also displayed AChE inhibitory activity. Specifically, compound 17 was shown to be an effective inhibitor against both AChE ($IC_{50}=1.75{\pm}0.30{\mu}M$) and BuChE ($IC_{50}=5.61{\pm}1.25{\mu}M$) comparable to galantamine ($IC_{50}=1.7{\pm}0.9{\mu}M$ against AChE and $IC_{50}=9.4{\pm}2.5{\mu}M$ against BuChE). Inhibition kinetic studies using compound 17 indicated a mixed inhibition type for AChE and a noncompetitive inhibition type for BuChE. Its binding affinity ($K_i$) values to AChE and BuChE were $3.8{\pm}0.005{\mu}M$ and $7.0{\pm}0.04{\mu}M$, respectively.

뇌 조직의 아세틸콜린 및 그 관련효소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부탄올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Butanol Fraction on Acetylcholine (ACh) and Its Related Enzymes in Brain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박시향;김남주;백승진;김군자;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3호
    • /
    • pp.176-181
    • /
    • 2004
  • 솔잎 BuOH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 BW로써 SD계 랫트에 45일 동안 투여하여 뇌조직획분의 콜레스테롤 및 LF의 침착, ACh 및 ACh의 합성효소, ChAT,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효소 AChE의 활성, 카테콜라민계 신경 전달물질의 파괴효소 MAO-B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뇌조직의 mitochnodria 및 microsome 획분 중의 콜레스테롤이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14∼17% 및 23∼34%의 통계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뇌조직에 대한 LF도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10∼14%의 유의적인 침착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뇌조직중의 신경전달물질 ACh의 함량 및 ACh의 합성효소 ChAT의 활성은 BuOH획분의 거의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현상이 나타났지만,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각각 11∼17% 및 11∼23%의 통계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AChE의 활성도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14∼17%의 통계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뇌조직중의 MAO-B의 활성은 BuOH 획분의 거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지만, 그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솔잎 BuOH 획분의 투여는 뇌조직의 유동성을 축진하고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억제하며 ACh와 그 관련효소의 활성을 촉진하여 기억ㆍ학습의 증진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