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3초

해조류의 항산화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Seaweed Extracts)

  • 전영은;윤성복;임순성;정차권;강일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43-44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퇴행성 질환인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물질 탐색으로써 여러 가지 해조류 추출물을 가지고 항산화 활성 및 AChE 저해활성을 살펴보았다.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결과, 최종농도 40 ${\mu}g$/mL에서 지충이(91.3%), 모로우붉은실(90.7%), 감태(89.9%), 큰비쑥(85.9%)이 80% 이상의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AChE 저해활성에서는 최종농도 10 ${\mu}g$/mL에서 큰비쑥 추출물(30.2%)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는 김 추출물(26.6%), 쇠미역(25.3%), 참홑파래(23.4%), 감태(21.7%), 구멍쇠미역(20.4%), 지충이(19.9%) 순으로 총 7종의 해조류가 약 20% 이상의 ACh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7종의 해조류를 가지고 TLC bioassay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여러 compound들에 의해 AChE 저해 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치매치료제 및 억제를 위한 신규의 생물 소재로 해조류가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해바라기씨 추출물의 뇌세포에 대한 사멸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Helianthus annuus Seed Extract against Chemical-Induced Neuronal Cell Death)

  • 박자영;우상욱;허진철;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3-219
    • /
    • 2007
  • 퇴행성 뇌질환의 하나인 알츠하이머는 가벼운 기억력의 장애에서부터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질환으로 해마 (hippocampus)를 포함한 신경세포에서 세포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왔다. AP의 자체 독성과 산화 스트레스, $A{\beta}$ plaque에서 나오는 free radical은 세포내 $Ca^{2+}$를 높이고 이로 인해 calpain이 활성화되어 신경 세포사가 촉진되며 microtubule과 같은 cytoskeleton을 파괴시킨다. 이러한 ROS와 $A{\beta}$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을 보호하는 물질을 해바라기 씨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 (DPPH, FRAP assay), acetylcholinesterase(AChE)의 활성 및 SH-SY5Y cell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항산화 활성과 AChE에 대한 억제활성은 해바라기 씨 추출물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H_2O_2$$A{\beta}$에 의해 유도된 SH-SY5Y에 대한 세포사멸 억제효과 실험(MTT assay)에서 해바라기 씨 추출물이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므로 이의 성분분리는 뇌세포 보호를 위한 좋은 식품재료가 될 수 있다.

몇 가지 채소와 약용 식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물 복합 추출물의 영양학적 특성과 생리기능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Polyplant Extracts from Some Vegetables and Medicinal Plants)

  • 김현경;이은나;금종화;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10-415
    • /
    • 2008
  •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ies of the polyplant extracts(PPE) from the extraction of various plants were assess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functional food. The PPE contained 42.95 g of glucose, 22.61 g of fructose, and 12.48 g of sucrose per 100 g of PPE as free sugar, and its reducing sugar contents was measured at 480.6 mg per g of PPE. Among free amino acids, proline contents was the highest at 0.58 g per 100 g of PPE, and it contained only 12.65 mg of malic acid and 6.92 mg of tartaric acid per g of PPE as an organic aci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PE was the highest at 91.6%, whereas SOD-like activity and xanthin oxidase inhibitory activity, which are associated with anti-aging effects, were 21.6% and 9.3%, respectively.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was 10.0% and anti-dementia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was quite low(5.1%).

미나리 추출물의 기억력 손상 억제와 산화스트레스 억제 효과 및 Isorhamnetin 분석 (Inhibitory Effects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Extracts on Memory Impairment and Oxidative Stres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Isorhamnetin in the Extracts)

  • 원범영;신기영;하현지;위지향;윤여상;김예리;박용진;정경옥;성혜미;이형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1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인이 일상생활에서 주로 상용하는 미나리에 대해 기억력 관련 효과와 항산화 효과, 미나리 추출물의 flavonoid 중 isorhamnetin을 분석하여 기능성식품 개발 및 이용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화순미나리 추출물이 28.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나주미나리 추출물 25.11%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SH-SY5Y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DMSO와 비교하여 화순미나리 추출물 37.23%와 나주미나리 추출물 36.68%로 세포사멸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동회피실험 결과 scopolamine 처리에 의해 기억력이 손상된 동물모델에서 미나리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vehicle control보다 latency time이 높게 나타났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화순, 나주, 의령 미나리 추출물 모두 미나리 처리 그룹군 간에도 유의적 차이가 있었고(P<0.05), 화순미나리 추출물이 총 폴리페놀 함량 117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30 mg GAE/g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TBARS 측정 결과 미나리 추출물 $440{\mu}g/mL$의 농도에서 화순미나리 추출물이 50.7%의 억제력으로 가장 높았으며, 나주와 의령미나리 추출물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미나리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중 isorhamnetin을 분석한 결과 표준용액과 미나리 추출물의 머무름 시간이 14분대로 피크 유지시간이 일치하였으며, 동일한 spectrum을 나타내어 정확한 isorhamnetin의 분리를 확인하였다. 또한 LC/MS/MS를 통한 분석 결과 표준용액과 미나리 추출물에서 동일 시간대에 TIC를 확인하였고 precursor ion은 317 $[M-H]^+$ m/z, product ion은 302 $[M-H]^+$ m/z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미나리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와 기억력 개선제로써의 활용 가치를 시사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건강기능성 소재로서 식품산업 분야의 이용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ECTS OF ALTERING THE HEPATIC DRUG METABOLIZING ENZYME ACTIVITY ON THE ACUTE TOXICITY OF DIETHYL-4-NITROPHENYL PHOSPHOROTHIOATE (PARATHION) IN FEMALE RATS1.

  • Kim, Young-Chul;Park, Jae-Hwa;Lim, Hye-Ky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07-115
    • /
    • 1988
  • The effects of altering the hepatic mixed-function oxidase(MFO) activities on the acute toxicity of parathion were examined in female rats. Phenobarbital sodium pretreatment (50mg/kg/day, i.p.) for 4 consecutive days has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toxicity of parathion (2 or 4 mg/kg, i.p.) as determined by lethality and cholinesterase activities wheras the toxicity arising from a single dose of CCl4(2 mmol/kg, i.p.) 24 hr prior to parathion challenge was potentiated.

  • PDF

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Two Farnesylacetone Derivatives from the Brown Alga Sargassum sagamianum

  • Ryu, Geon-Seek;Park, Soo-Hee;Kim, Eun-Sook;Choi, Byoung-Wook;Ryu, Shi-Yong;Lee, Bong-H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0호
    • /
    • pp.796-799
    • /
    • 2003
  • Two known farnesylacetone derivatives (1 and 2) were isolated from the Korean brown alga Sargassum sagamianum off Jeju Island, Korea. Compounds 1 and 2 were identified as (5E,10Z)-6, 10, 14-trimethylpentadeca-5, 10-dien-2, 12-dione and (5E,9E,13E)-6, 10,4-trimethylpentadeca-5,9,13-trien-2,12-dione, respectively, by comparison with the literature data. Compounds 1 and 2 showed moderate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with $IC_{50}$ values of 65.0∼48.0 and 34.0∼23.0 $\muM$, respectively.

Effects of Forskolin on Endogenous Dopamine and Acetylcholine Release in Rat Neostriatal Slices

  • Kim, Hwa-Ju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520-528
    • /
    • 1996
  • The involvement of the cyclic AMP (cAMP) effector system in the release of endogenous dopamine and acetylcholine from the rat neostriatum was assessed. Forskolin, an activator of adenylate cyclase, was used to enhance cAMP production, and the consequence of this enhancement on the spontaneous and potassium stimulated release of dopamine and acetylcholine was evaluated. Neostriatal slices were prepared from Fischer 344 rats and after a preincubation period the release of each endogenous neurotransmitter was measured from the same slice preparation. To measure acetylcholine release the slice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was inhibited with physostigmine, but the release from slices with intact AChE activity was also determined (choline, instead of acetylcholine was detected in the medium). Under both conditions forskolin induced a significant dose-dependent increase in the potassium-evoked release of dopamine. In the same tissue preparations the release of neither acetylcholine (AChE inhibited) nor choline (AChE intact) was affected by forskoli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MP second messenger system might be involved in neuronal mechanisms that enhance neostriatal dopamine release, but stimulation of this second messenger by forskolin does not further enhance neostriatal acetylcholine release.

  • PDF

A specific butyrylcholinesterase inhibitor from the fruits of Evodia officinalis

  • Kim, Young-Sup;Kim, Jeoung-Seob;Kim, Seong-Kie;Heor, Jung-Hee;Lee, Woo-Lak;Lee, Bong-Ho;Choi, Byuoung-Wook;Ryu, Geon-Seek;Park, Eun-Kyung;Ryu, Shi-Yo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77.1-377.1
    • /
    • 2002
  • Neuroscience and molecular biology studies show that inappropriate butyrylcholinesterase (BuChE) activity as well as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increases the risk and/or progression of Alzheimer's disease. BuChE may also regarded to participate in the transformation of Abeta (${\beta}$-amyloid) from an initially benign form to an eventually malignant form associated with neuritic tissue degeneration and clinical dementia. (omitted)

  • PDF

Various Bioactivities of Two Polyphenolic Compounds from the Brown Alga Grateoupia elliptica

  • Kim, Eun-Sook;Kim, Chan-Sook;Lee, Bong-Ho;Choi, Byoung-Wook;Ryu, Geon-See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90.2-190.2
    • /
    • 2003
  • In the course of search for various bioactive compounds from marine algae, we foun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the brown alga G. elliptica. Chromatographic purification [ODS flash, gel-filtration on Sephadex LH-20, HPLC] of the BuOH layer of the methanolic extract afforded two known polyphenolic compounds, 6,6'-bieckol (1) and dieckol (2). Compound 1 showed acetylcholinesterase (AChE) and butyrylcholinesterase (BuChE) inhibitory activitie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DPPH (1,1-diphenyl-2-picryl-hydazyl) with IC$\_$50/ values of 91.2, 45.6 and 15.5 $\mu\textrm{g}$/$m\ell$, respectively. (omitted)

  • PDF

살충제 Carbofuran과 Phenobarbital Sodium 및 3-Methylcholanthrene이 쥐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secticide Carbofuran and Phenobarbital Sodium and 3-Methylcholanthrene on Activity of Enzyme in Rat)

  • 임요섭;한성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7-36
    • /
    • 1999
  • 쥐에 있어서 carbamate계 살충제 carbofuran의 독성에 미치는 phenobarbital sodium(PB) 또는 3-methylcholanthrene(3-MC)의 영향과 작용기작을 효소적 측면에서 구명할 목적으로 이들을 단독 또는 조합으로 경구투여 하여 in vivo 효소활성을 조사하였다. Acetylcholinesterase(AChE)와 butyrylcholinesterase(BuCheE)의 효소활성은 carbofuran 3.8 mg/kg을 투여하였을 때 48시간까지 $20{\sim}70%$ 범위의 저해를 보였고, carbofuran과 PB 또는 3-MC를 조합투여하였을 때 효소활성은 초기에 감소하다가 24시간 후에는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경우 carbofuran만을 투여하였을 때 초기($0.5{\sim}6$ hr)에 $15{\sim}35%$의 저해를 보였으나, carbofuran과 PB 또는 3-MC의 조합투여시 초기에는 약간 저해를 보이다가 3시간 후에는 대조군과 유사한 효소활성을 보였고, 6시간 후에는 대조군에 비해 활성이 20%이상 증가하였다. UDP-glucuronosyltransferase(UDPGI) 및 cytochrome P-450 효소계의 효소활성은 carbofuran과 PB 또는 3-MC를 조합 투여하였을 때 투여 후 6시간까지는 carbofuran만의 투여에 비해 효소활성이 $2.6{\sim}2.8$배 이상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PB 및 3-MC의 투여가 이들 효소활성을 유도하므로써 carbofuran의 독성으로부터 쥐를 보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