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ident related factors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3초

국외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선박 피난처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Plan of the Places of Refuge in Domestic Areas based on the Analysis of Foreign Cases)

  • 이창현;박성현;정중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35-241
    • /
    • 2012
  • 해상에서 발생하는 대형 해양사고는 재산상의 손실뿐만 아니라 심각한 해양환경 오염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해양사고 발생으로 인한 2차적인 해양환경오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조를 필요로 하는 선박"에 선박 피난처를 제공하도록 결의서 Res. A.949(23)로 채택하였다. 해상교통 환경 요소 등에 의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측면에서 잠재적 위험평가를 실시하여 위험도의 레벨이 일정한 크기를 초과하게 되면 피난처로 지정될 필요가 있고, 선박의 통항안전성, 혼잡도 및 위험도의 정량화/표준화된 기술을 기반으로 선박 피난처 지정 시스템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또한, 선박 피난처를 지정하는 문제는 연안국의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관련 법안을 마련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 피난처를 지정 운영하고 있는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국내 선박 피난처 도입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통계자료를 활용한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 개발 (Development of Risk Assesment Index for Construction Safety Using Statistical Data)

  • 박환표;한재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1-371
    • /
    • 2019
  • 2017년 전체 산업에서 건설업의 재해자와 사망자의 비중은 각각 25.2%, 29.6%로 가장 높은 실정이다. 특히 건축 현장의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공사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종별 안전위험도 평가지수를 개발하였고, 그 주요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건축공사 현장의 안전사고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하여 17개 요인을 도출하여, 전문가 자문회의를 걸쳐 9개 항목(공종, 공사종류, 공정율, 계약금액, 층수, 공사기간, 안전교육, 현장근무일수, 날씨)을 제안하였다. 둘째,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위험도 평가지수는 안전사고의 발생 비율과 발생강도를 토대로 공종별 평가지수 산정모델을 개발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위험도 평가지수 평가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건설재해사고 통계자료를 조사 및 분석하여, 공종별 건설안전 위험 평가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건설안전사고로 인한 인적손해를 사망자와 부상자로 구분하여 위험강도를 산출하였다. 공종별 안전사고 발생빈도와 발생강도에 따른 위험평가지수와 도출된 위험요인은 향후 건설안전 위험도 예측시스템 개발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침몰된 항타선 분석을 통한 한국선급 규칙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option of Korean Register of Shipping Rules through the Analysis of Pile Driving Boat Capsizing)

  • 정원준;김정대;박성부;정광효;이제명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3-41
    • /
    • 2019
  • 2012년 12월, 한국 울산항 앞바다에서 항타선이 침몰되었다. 본 사고 선박의 침몰원인은 인적요소, 기상악화 등의 복합적인 문제라 여겨진다. 사고 이후 선박안전기술공단에서는 리더부(크레인)는 충분한 안전율이 확보된 강도로 설계되었다고 결론을 내렸으나 국립과학수사 연구원의 현장조사 감정서에서는 선박 침몰은 리더부의 파손으로 인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이에 본 저자들은 선박안전기술공단이 선박 검사에 사용하는 선박안전법과 강도 계산 및 구조해석 방법 등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한국선급의 규칙을 기반으로 두어 선박 침몰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유체동역학적해석 및 구조해석에 관한 수치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현장조사 결과와 유사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사고 선박과 같이 선급 규칙의 적용을 받지 않고도 자유롭게 국내에서 운항 될 수 있는 항타선의 경우 유사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국선급 규칙의 적용을 받는 검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임을 제안한다.

항만하역업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심민섭;이정민;김율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9-390
    • /
    • 2022
  • 최근 국제 교역량 증가와 비대면 사회 기조에 따른 물동량 폭증은 항만산업 내 위험 노출 및 안전사고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2021년 1월 27일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서 항만터미널 내 안전 및 생명을 보호하는 각종 지침과 법안들이 제정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항만터미널산업 내 중대형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9년 동안 항만하역업의 재해자수는 4.2%씩 증가하였다. 항만 사고의 효율적인 사후관리나 관련 안전 법/제도의 마련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사고 원인과 피해를 고려한 위험도 분석이 진행되어야 현실적인 사고 저감방안과 방지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집계된 항만터미널 사고사례 1,039건을 바탕으로 위험성 평가를 진행하여 주요 위험요인 및 예방대책을 도출하였다. 이후 IPA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예방대책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 PDF

교통약자의 보행 교통사고 특성과 보행 횡단요소 분석 (여수시를 사례로) (Walking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Walking Factors for Road Crossing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he Case of Yeosu)

  • 김상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439-448
    • /
    • 2016
  • 2014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은 전체인구의 12.7%로서 우리나라는 조만간에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고 노인 등 교통약자들도 다양한 사회경제적 활동으로 일반인과 동등하게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교통약자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인 보행은 일반인과 다른 보행특성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보행 관련 시설 및 운영은 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를 맞이하여 교통약자(노인)의 보행 관련 교통사고 특성을 살펴보고 여수시를 사례로 횡단보도에서 노인의 보행실태와 보행횡단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2014년 기준 교통사고 자료에 의하면, 노인 교통사고는 전체 교통사고의 9.9%로 발생하고 있으나 노인사망자수는 전체의 40.3%를 차지하고 있고 노인 사망자수의 47.4%가 차대보행자 사고로 기인한다. 또한 전체 보행자 중 노인 보행자 발생은 18.7%이나 노인 보행자 사망자 비율은 49.3%에 해당하는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노인보행자 치사율이 3.03명으로 전체보행자 치사율보다 3배정도 높게 나타난다. 교통약자(노인) 횡단 보행요소인 반응시간과 보행속도를 조사한 결과, 노인 신체능력 하위 15%-tile에 해당하는 반응시간은 4.56초와 보행속도는 초당 0.76m가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사지점의 횡단보행 신호운영을 평가한 결과 보행안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개선된 보행신호 운영이 요구되었다.

기상인자를 고려한 도로 위험지도 개발 (Development of a Road Hazard Map Considering Meteorological Factors)

  • 김형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33-144
    • /
    • 2017
  • 최근 기상정보는 우리 실생활에 더욱 밀접해지고 있으며, 특히 교통분야에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에 따른 교통분야의 피해는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기상상태에 따른 도로 위험정도, 교통사고 발생가능성 등 상관관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됨에도 불구하고 교통예보서비스, 교통안전정보 제공 등 국내 연구는 기초연구 수준에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상인자별 사고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실시간 기상정보와 교통정보를 연계하여 기상상황별 도로위험 예보서비스를 위한 위험지도 개발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자료 수집 및 분석, 자료가공, 기상상태별 예측모형을 적용, 웹 지도상에서 전국고속도로를 대상으로 기상상태별도로 위험지도를 제공하는 방안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로 위험지도는 향후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등 도로 관리자, 사용자에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인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에 있어 기상요소에 따른 위험도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위험지도 DB를 지속적으로 아카이빙하고 제공하여 보다 안전한 자율주행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차량 간 통신 기반 추월보조 서비스를 위한 시나리오 및 네트워크 성능 평가 (Scenario and Network Performance Evaluation for A Do Not Pass Warning Service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 서현수;정진수;이상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3호
    • /
    • pp.227-232
    • /
    • 2013
  • ITS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교통 분야에 관련한 서비스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IEEE WG802.11과 P1609에서 추진하고 있는 WAVE가 차량 간 통신 표준으로 제정되고 있다. WAVE는 빠른 연결과정을 가지며 이동성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국제적으로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한 국가 프로젝트 및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에서 진행 중인 VSC-A 프로젝트에 다수의 차량 제조사가 참여하고 있고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한 안전 서비스 및 측위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 서비스에 대한 모델 및 성능을 위한 차량 간 통신 성능에 대한 규격을 분석하고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한 추월보조 안전 서비스에 대한 시나리오 및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이용하여 WAVE 환경 하에서의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통신 성능을 평가하였다. 향후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한 추월보조 서비스의 실차 적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인 채널별 전송거리 및 지연시간에 대한 결과를 결론에서 제시하였다.

조립된 가설기자재 안전인증제도 도입의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Analysis for the Introduction of Safety Certification System for Assembled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 정성춘;권준혁;원정훈;권용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2-42
    • /
    • 2020
  • In this study, in order to secure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assembled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the feasibility of the introduction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tructural analysis, and actual experiments and surveys related to the assembled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In the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on the assembled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was insufficient, and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assembled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In addition, in the results of the serious accid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oundness of the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is determined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fter it was assembled. As a result of the feasibility analysis of the introduction of the safety certification of the assembled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nd rationally reflect the main geometrical influence factors, and to introduce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that can test the procedures and procedures of the assembled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and based on i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As a result of feasibility analysis 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for assembled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through actual experiments, the existing single member performance evaluation has limitations in evaluat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assembled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a safety certification system. As a result of gathering opinions on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for assembled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of manufacturers and users through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positive response result was high and the effectiveness was high.

안전약자의 재난안전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s Social Activity in the Safety Fields)

  • 유병태;김현정;김상용;오금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35-140
    • /
    • 2015
  • Individuals who are vulnerable during disaster - including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children, pregnant women and etc - have a strong desire to protect themselves when disaster strikes since they are less capable to deal with the impact of disaster. Their experience and effort to keep them safe can be used as a resource to reduce the impacts of disaster not only for them but also for the community as a whole. Therefore, voluntary disaster management program will contribute to our society as a tool to respond effectively to disaster not only to meet the vulnerable's special needs but also to enhance community safety and public interest. This paper suggests a model that able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 to take a leadership role in identifying risk and vulnerability factors, recommending disaster management strategy, and through that, contributing to enhance society's disaster pla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urveyed individuals including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 in order to assess the vulnerable's participation in disaster related volunteer work and surveyed associated institutions(volunteer centers, community centers) in order to research currently existing relevant programmes and the participation of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 in such programmes. Also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to explore voluntary program which will possibly integrate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 into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As a result, three types of voluntary disaster management programs - education, public-relations, and activity - were suggested.

중추 신경계 혈관질환(C. V. A)환자 중 퇴원환자의 신체기능장애정도와 그 특성에 관한 고찰 (Selected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Physical Disability of Stroke Survivors at Discharge from Five General Hospitals in Seoul, 1975)

  • 이선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3-28
    • /
    • 197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obtain information about selected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of physical disability of patients with a diagnosis of cerebrovascular accident upon their discharge from a general hospital. It was hoped that this information would contribute to the assessment of their needs for follow-up nursing care. Nurse's and Physician's Progress Notes of all stroke patients discharged from five general hospitals in Seoul from January to December 1975 were analysed using a prepared check list. Patients with other complicating diagnosis such as diabetes, tuberculosis or heart disease were excluded from the sample. According to six factors used to grade the total sample of 334 stroke victims degree of physical ability at discharge, 144 (43%) of the Survivors had good functional ability, 72 (22%) fair, 62 (18%) poor, and 57(17%) very Poor. Certain clinical diagnosis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physical ability. Intra cranial Hemorrhage and Subarachnoid Hemorrhage tended to be related to poor and very poor outcome categorie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ae and ability outcome, women had reveal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oor and very poor ability outcomes. The hospitalization period was less than three days for 37.5% of the total group, and more than one month for 4.7%. Those patients with less than three days hospitalization accounted for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poor and very poor ability outcomes. Of the total groups 175(50.99%), were discharged with a diagnosis of condition improved (though not necessarily with good physical ability). The results suggest serious need for comprehensive follow- up nursing care for stroke survivors discharged a from general hospitals in Seou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