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Analyzing Public Transport Network Accessibility

  • Jun, Chulmin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4권2호
    • /
    • pp.53-57
    • /
    • 2004
  • Due to the traffic congestion and public-oriented transportation policies of Seoul, public transportation is receiving attention and being used increasingly. However, current transport routes configuration is showing unbalanced accessibility throughout the city area creating differences in time, expenses and metal burden of users who travel the same distances. One of the reasons is that transport route planning has been partially empirical and non-quantitative tasks due to lack of relevant methods for assessing the complexity of the transport route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compute the connectivity of public transport system based on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the network of transport routes. The main methodological issue starts from the fact that the more transfers take place, the deeper the connectivity becomes making that area evaluated as less advantageous as for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By computing the connectivity of each bus or subway station with all others in a city, we can quantify the differences in the serviceability of city areas based on the public transportation. This paper is based on the top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routes network and suggests an algorithm that can automate the computation process. The process is illustrated using a simple artificial network data built in a GIS.

  • PDF

GIS 기반 Space Syntax를 이용한 대중교통 접근성 (Public Transport Network Connectivity using GIS-based Space Syntax)

  • 전철민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5-33
    • /
    • 2007
  • 교통체증을 줄이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 대도시들은 대중교통 위주의 정책에 중점을 두고 있다. 대중교통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접근성의 분석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기존의 접근성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존(zone) 레벨에서 이루어진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버스루트나 정류장과 같이 세부레벨에서의 대안적인 접근성측정 방법을 제시한다. 시종점 경로를 구성하는 수단들의 최적의 조합을 산출하고 이들의 접근성을 토폴로지에 기반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시종점루트와 최적조합을 산출하는데에는 GA(유전자알고리즘)가 사용되었으며, 접근성 산출에는 space syntax 이론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작업으로 그려지는 space syntax의 axial line 대신 GIS의 nodelink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출된 접근성은 O-D 데이터를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하였으며, 서울 강남지역에 적용하여 예시하였다.

  • PDF

알뜰교통카드를 활용한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분석 기준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Minimum Level of Service for Public Transportation Using Altteul Transport Card Data)

  • 심상우;정준영;오관교;김민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04-115
    • /
    • 2023
  • 수요대응 교통수단 및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등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수요대응 교통수단의 도입 기준인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은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의 부재로 운영자 중심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파악할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법정동보다 작은 GRID 분석을 통해 동일 법정동 내에서도 대중교통 접근성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을 적용한 결과 현재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에서는 확보 지역인 많은 법정동이 비확보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알뜰교통카드 데이터의 접근 시간은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확보 여부 판단 기준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정류장 단위의 미시적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 - KTX 서울역 사례연구 - (Micro-scale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by Stations - KTX Seoul Station Case Study -)

  • 최승우;전철민;조성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16
    • /
    • 2016
  •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대중교통 접근성은 교통체계 설계에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 대중교통 접근성을 분석할 때 실질적인 이동경로를 반영하기 위해 최단거리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으며, 한 지점에서 네트워크상의 다른 모든 지점에 대하여 얻은 최단거리 및 시간을 이용해 정류장 단위의 세밀한 접근성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접근성 계산을 위해 환승횟수에 따른 페널티와 다수 노선들의 대기시간을 반영하여 개선한 최단거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KTX 서울역을 대상으로 다층 네트워크로 구현한 서울시 지하철 버스 네트워크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KTX 서울역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정류장 단위로 확인하였다.

헤도닉모형을 이용한 농촌지역 생활편익시설의 접근성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mplication of Accessibility to Community Facilities for Land Price in Rural Areas using a Hedonic Land Price Model)

  • 김솔희;김태곤;서교
    • 농촌계획
    • /
    • 제22권1호
    • /
    • pp.93-100
    • /
    • 2016
  • Land price can be affected by convenience or psychological repulsion like PIMFY (Please In My Front Yard) or NIMBY (Not In My Back Yard) for various facilities. Services related to public establishment, welfare, medical attention, and amenities in rural areas are comparatively poorer than those in urban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implications of the accessibility to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areas for land prices using a hedonic price model. The accessibility to facilities is estimated by real road distances and the land prices are applied for four types of land usages: field, rice paddy, building lots, and village halls. Community facilities are classified from public and community services view: education, safety, culture, transport, environment, health care, and fina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and transport can positively affect land prices and the accessibility to environment (waste facilities and junkyard) and unpleasant services (funeral hall and charnel house) can negatively affect land prices. Especially, the accessibility to hospital is the most positive influential factor for all types of land usages.

대중교통시설과 근린시설의 접근도에 따른 교통이용행태 및 교통비용 (Travel Demand and Transportation Cost of Household According to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and to Service Facilities)

  • 김성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5-74
    • /
    • 2006
  • 승용차이용이 많이 유발될 수밖에 없는 지역으로의 주거이동은 쉽게 간과되는 가구의 교통비 지출에도 원인이 있다. 가구의 자동차수요를 적게 일으키고 교통비를 절감시키는 주거입지와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주거지역의 공급시설수준에 따른 가구의 교통수용행태를 분석하고 이러한 자료를 기반으로 실제에 가까운 가구의 교통비용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시설을 비롯한 근린시설들에 대한 접근도가 가구의 교통이용행태와 더불어 교통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지역은 광역 함부르크 시이고 1,640가구들을 통행행태에 대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개인의 대중교통이용과 교통거리는 대중교통 공급시설만으로는 큰 영향을 받지 못하고 근린시설공급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분석결과에서 나타났다. 또한 대중교통시설 및 근린시설이 부족한 지역일수록 여기에 있는 가구들의 승용차 보유수와 교통거리가 증가되었으며 이에 따라 결국 가구들의 교통비용이 늘어났다. 가구그룹들에서 교통비의 최고치와 최저치 사이에 가구당 월 약 200유로 차이가 났다. 가구가 쉽게 감지하기 어려운 주거입지별 평균 교통비용이 가시화되어 가구들에게 홍보된다면 가구의 주거이동행태를 교통수요가 적은 지역으로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실시간 수요대응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도입 방안 연구 (A Study on Introducing Autonomous Public Transportation On-demand Service in Real Time Using Delphi Method)

  • 정준영;심상우;김민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83-196
    • /
    • 2022
  • 국내의 경우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분석을 통해 대중교통 접근성을 평가하고 있으나 이는 운영자 측면의 평가로 이용자 측면의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뜰교통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법정동보다 법정리의 접근시간 및 거리가 크며,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은 유형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접근 시간에 비해 유형 1은 95%, 유형 2는 64%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대중교통 접근성 문제 해결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한 실시간 수요대응 자율주행 대중교통차량의 효율적인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 기능은 환승연계 및 D2D, 서비스는 예약 및 정보제공서비스, 노선 운영 방식은 준동적 및 동적 운영, 접근거리는 300m, 노선 운행 거리는 10km, 정시성은 5분 이내와 같이 9개 항목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하였다.

대중교통 접근성이 카셰어링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on the Car-sharing Use Demand)

  • 김숙희;이규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1
    • /
    • 2016
  • 본 연구는 카셰어링의 대중교통 접근성이 카셰어링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원시에서 운영 중에 있는 그린카의 대여이력 데이터베이스와 대중교통 GIS DB를 활용하여 카셰어링 대여소별로 대중교통 접근성에 따른 카셰어링 이용수요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카셰어링 대여소로의 접근수단은 도보가 73%로 가장 많으며, 자전거 3%, 버스와 도시철도는 20%로 나타났다. 버스와 도시철도의 접근성이 반영된 카셰어링 이용 모형의 적합도는 0.818로 대중교통 접근성은 유의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즉, 카셰어링의 대여소는 대중교통과의 환승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보다 이용수요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중교통 수단 중 버스 접근성은 유의한 변수로 확인된 반면, 도시철도 접근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타 대중교통 수단과의 상호 이용수요 증진 측면에서 도시철도와 카셰어링간의 원활한 연계를 위한 환승할인 및 편도 반납 정책 등 다양한 보완적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카셰어링에 대한 기초적 연구에 불과하지만, 대중교통간 환승수요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 사회서비스 정책 지원을 위한 농촌 고령일인가구 분포와 대중교통 접근성의 관계 분석 (Relationship between Single-households Elderly Spatial Distribution and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for Rural Social Service Improvement)

  • 박로운;박미정;신민지;김상범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6권2호
    • /
    • pp.99-111
    • /
    • 2019
  • This paper aims to analysize the regional disparity of rural life service. In other words,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ingle-households elderly and servic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ru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high concentration of the single-households elderly in Gyeongsangbuk-do and Jeollanam-do, and the distribution of them shows a tendency to cluster locally. Second, the vulnerability area of public transportation are concentrated on the myeon area. Third, The above-average proportion of vulnerable single-households elderly in Gyeongsangbuk-do and Jeollanam-do are concentrated on the myeon area. This result show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and high values are concentrated. This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rural polices.

도시 교통체계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도시 접근성 지표 (Urban Accessibility Index for Evaluation of Sustainability in Urban Transport System)

  • 신성일;장윤미;김순관;김찬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31-42
    • /
    • 2005
  • 접근성은 접근의 쉬운 정도를 개념화 한 것으로 접근성을 지표화하여 현재 교통시스템의 상태를 수치화, 현재 교통수단의 서비스 개선효과 및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 효과 측정과 같은 교통사업 평가에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도시 내 통행 행태의 분석이 가능한 서울시 도시 접근성 지표의 제안 및 활용방안 소개를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 Texas-Austin 대학교 교통연구센터(CTR)에서 제시한 접근성 지표를 바탕으로 서울시의 통행행태를 고려한 서울시 도시 접근성 지표를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구성한 서울시 도시 접근성 지표를 에너지 효율적인 수단과 에너지 비효율적인 수단간의 접근성 차이를 반영하여 지속가능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MAG(Modal Accessibility GaP) 지표에 적용하여 2002년 서울시 교통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해 보았다. 이와 함께 서울시 대중교통체개개편 사업이 서울시 교통시스템의 지속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네트워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2002년도와 2004년도의 서울시 MAG 지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서울시 도시 접근성 지표분석에 이용한 데이터는 2002년 가구통행실태조사에서 30%를 추출한 표본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