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ssibility Factors

검색결과 789건 처리시간 0.024초

도시녹지의 시각적 접근성 측정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measuring visual accessibility to urban green spaces)

  • 임승빈;허윤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4
    • /
    • 1995
  • The aspect of visual accessibility to urban green spaces is an important factor because it contributes making pleasant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 visual experience of nature in urban environment. But we have tried neither to consider nor to measure it. Since he concept of visual accessibility has not formally defined yet, it was operationally defined in this study. And then the model of measuring visual accessibility was suggested and verified through the case study on neighborhood parks in Seou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concept of visual accessibility is defined as opportunity and potentiality to observe green spaces. 2) The model of measuring visual accessibility deals with not only adjacent area but also viewshed area. In adjacent area, considering factors are the area of road adjacent to green spaces and the area of exposed green spaces. In viewshed area, considering factors are the area of road located in viewshed area, the area of exposed green spaces, and the weight according to observing distance. 3) The final model of measuring visual accessibility suggest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 PDF

공간회귀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영향 요인 분석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Public Libraries in Busan)

  • 구본진;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7-87
    • /
    • 2021
  •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도서관의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접근성의 불균형적인 분포는 도서관 서비스의 공평한 제공을 제한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접근성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지역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공공도서관이 인구수나 대중교통 이용과 무관하게 입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형평성 측면에서도 공공도서관 입지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현황을 이해하고,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공공도서관 접근성 격차 완화 및 신규 입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거주지역에 따른 물리적 접근성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경험 (Association between Residential Area and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Physical Accessibility)

  • 김지은;함명일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7-206
    • /
    • 2021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physical accessibility by residential area by utilizing the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Methods: Andersen's medical service behavioral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enabling factors, predisposing factors, and needs factors of unmet healthcare needs focusing on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CHS (2017-2019, n=440,792). We used multivariate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affecting factors.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sidential areas. Results: Some participants (2,621, 0.59%) had experienced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physical accessibility and 2,047 subjects (78.1%) of them lived in rural areas. Multivariate survey logistic regressions revealed that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physical accessibility increased when people lived in rural areas (odds ratio [OR], 3.95; 95% confidence interval, 3.46-4.5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despite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efforts to alleviate medical inequality, residents in rural areas may still have higher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physical accessibility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city regardless of any other sub-group differences (OR range, 1.90-6.31). This study suggested that government and policymakers should identify the causes of the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physical accessibility and should develop policies to alleviate those healthcare disparities.

베이커리 이용객의 서비스 품질 만족도가 재 구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purchase Intention on Baker Shop Customer's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 김용식;박상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0-5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 extract important factors, systematically analyze them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bakery industry through studying th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bakeries. The researcher modifi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CH(1998), Lee, JH(2000), Yoon, YC(2000), and Kim SE(2002). In order to assess the level of customers' satisfaction with bakeries, a five point Likert scale was used. The used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factor analysis,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all analyses of the research question, an alpha level of.05 was used. The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ellows. First on the factors of reliability and service ability, there was a high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singles and the married. Second, on the factors of accessibility using convenience, service ability, and service response, there was a high difference among using frequence. Third, on the reliability factors, there was a high difference among average using amount per month. Forth, on the factors of accessibility using convenience, and service response, there was a high difference among types of customers' residing styles. Fifth, on the factors of income level, there wa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Lastly, on the factors of accessibility using convenience, tangibleness, and service response, thes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

  • PDF

서울시 역세권의 TOD환경과 대중교통이용수요 관계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and TOD Design Factors in Seoul subway adjacent area)

  • 문영일;노정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211-220
    • /
    • 2011
  • 최근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이 활발해지며, 역세권의 환경 변화를 통하여 국내의 대중교통 이용 증진을 시키기 위해서는 TOD 통합계획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역세권 유형과 이용수요에 관한 실증분석이 전제되어야 향후 계획수립시 활용이 가능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역세권을 대상으로 다양한 TOD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대중교통 이용수요와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TOD의 대표적 요소인 Density, Diversity, Accessibility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분석과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1) 요인분석을 토대로 7개 영향요인이 도출되었으며, Factor 1(Diversity/토지이용복합도 (LUM)), Factor 2(Density/개발밀도수준), Factor 3(Accessibility/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4(Design/가로설계수준), Factor 5(Gree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Design/지하철시설규모),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유형화되었다. (2) 요인-회귀분석 결과를 토대로 역세권 승하차 인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Factor 1(Diversity : 토지이용복합도(LUM) 요인), Factor 3(Accessibility : 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2(Density : 개발밀도수준), Factor 5(Desig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지하철시설규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역세권의 승하차 인원에 부정적(-) 영향은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하철과 버스의 배차간격이 증가할 경우 이용수요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정보 접근성 향상 정책 (An Improvement Policy of Digital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Handicapped Persons)

  • 김황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181-18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들의 디지털 정보 접근성 향상에 필요한 전체적인 환경을 조명하고 새로운 발전 방안을 제안한다. 장애인들의 디지털 정보 접근성 향상은 정보의 입력부터 처리 및 출력까지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물론이고 필요한 사회적 요소까지 모두 함께 갖추어져야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기존의 많은 논문에서는 웹 접근성이나 장애인을 위한 IT 기술들에 대하여 개별적 주제로 다루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이들을 컴퓨터 접근성과 함께 통합적으로 기술하고, 기술적 요인과 함께 사회적 요인을 포함한 통합적 발전 방안을 제안 하였다.

GIS와 설문분석에 의한 강원대 학술림의 비목재생산기능 평가 (Evaluation of Non-Timber Forest Functions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Using GIS and Questionnaire Analysis)

  • 최상현;김진국;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99-10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on-timber forest functions of the Research Forest area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this study, forest recreation func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survey method answered by forest management experts. The evaluation factors for forest recreation function were separat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Each factor was classified into intermediate element and detailed el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factors of forest recreation func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the potential of external factors and the suitability of internal factors. Potential of the external factors were divided into accessibility, location, landscape and induction factors while the suitability of internal factor was divided into stand structure, forest structure and human impact. The priority of the potential of external factors was in order that location, accessibility, induction factors and landscap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location, accessibility, induction and landscape factors are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우리나라 웹 접근성 정책 영향요인 분석 - 16개 광역자치단체 패널데이터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Panel Data on the Web-accessibility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 진상기;현준호
    • 정보화정책
    • /
    • 제18권4호
    • /
    • pp.42-58
    • /
    • 2011
  • 웹(Web)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 리 경(Sir. Tim Berners-lee)은 웹의 힘은 보편성에 있으며,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지적(W3C WAI, 2006)하였다. 또한 Lasswell(1971)과 허범(2009a;2009b)이 말하는 정책학의 이상과 가치의 핵심인 인간의 존엄성 추구라는 관점에서 볼 때에도 인터넷 상의 형평성 구현은 정보사회에서의 중요한 가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식정보사회의 핵심인 웹 상에서의 형평성을 구현하는데 있어 중요한 웹 접근성 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특히, 광역자치단체의 웹 접근성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문헌 연구와 수요공급 균형 모형의 가정을 준용하여 법제도 환경 요소, 재정 기반 요소, 정책자원 투입 요소, 정책 수요 요소로 가정을 하고 이에 따라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에 대한 전수 분석을 통해 웹 접근성 정책 결정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정확성을 위해 본 연구는 각 광역자치단체들의 5개년 패널자료를 바탕으로 최적모형 검정을 통해 도출한 패널분석모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패널분석모형은 웹 접근성 지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로는 정책수요(인터넷 이용률, 장애인 및 노인비율), 정책자원 투입(정보화 예산비율, 정보화 인력), 재정기반(재정자립도)을 설정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 수요, 정책자원 투입, 정보화 역량 변수가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웹 접근성 제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본 연구는 패널분석 모형과 문헌연구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웹 접근성 제고를 위한 법제도 환경요소의 중요한 역할을 추론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웹 접근성 인식제고를 위한 노력, 표준 제정 및 관련 기술 개발 연구 확대, 웹 접근성 관련 인력양성 그리고 법 제도 개선을 정책제안으로 제시하였다.

  • PDF

대구.경북 가구의 가구특성별 주거입지 선호요인 분석 (Analysis of Residential Location Preference Factors by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in the Case of Daegu.Gyeongbuk Households)

  • 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02-717
    • /
    • 2014
  • 이 연구는 대구 경북에 거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특성별로 주거입지 선호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서 첫째로, 대구 경북지역 가구의 주거입지 요인 선호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둘째로, 설문결과를 토대로 한 AHP 분석을 통해 가구특성별 주거입지 선호요인의 특징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대구 경북지역 가구의 주거입지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대구 경북 가구들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주거입지 요인으로는 향후 시세차익, 생활환경, 대중교통 접근성, 자가용 교통 접근성, 안전성 순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대구 경북 가구는 주거입지 선정 시 주택의 투자가치와 생활여건을 동시에 고려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로, 연령별 AHP 분석결과를 보면, 30대 이하는 접근성 요인에서, 40대는 향후 시세차익과 학군 요인에서, 50대 이상은 생활환경과 자연환경, 안전성 요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셋째로, 가구소득별 AHP 분석결과를 보면, 3천만원 미만의 저소득층은 생활환경과 접근성 요인에서, 3천만~6천만원의 중간소득층은 향후 시세차익과 접근성 요인에서, 6천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은 안전성, 자가용교통 접근성, 조망권/일조권 요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따라서 대구 경북 가구들은 연령과 가구소득에 따라 선호하는 입지요인이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Accessibility to Industrial Factors and Business Performance: A Case Study of Female Entrepreneurs in Sri Lanka

  • SALFIYA UMMAH, Mohamed Abdul Cader;HALEEM, Athambaw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8호
    • /
    • pp.127-135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accessing industrial factors in enhancing business performa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Muslim women entrepreneurs in Sri Lanka. Industrial factors are industrial resources available to Muslim women entrepreneurs in Sri Lanka and it was measured using the dimensions of resource accessibility and government and non-governmental support.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60 women entrepreneurs from the Muslim community who are registered with the chamber of commerce in the three districts of the Eastern province of Sri Lanka, using a simple random sampling techniqu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was used as the data analysis technique. The structural model showed that resource accessibility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business performance, whereas government and non-governmental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business performance. Especially, Muslim women entrepreneurs in Sri Lanka do not show interest in getting support such as finance, training, and other necessities from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s well as business development support agencies. Trade chambers and decision-making authorities may use this finding to gain insights and develop strategies to enhanc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women entreprene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