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rtia hongi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경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Kyeonggi Bay, Yellow Sea)

  • 윤석현;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3호
    • /
    • pp.243-250
    • /
    • 2003
  • 본 연구는 경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1년 2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인천 연안에서 선갑도에 이르는 수역에서 5개 정점을 대상으로 월별 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기간중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월평균 1,100∼404,200 indiv./㎥의 범위로 2월에 가장 적은 개체수가 출현하였고 8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였으며 연구 기간 평균 개체수는 55,000 indiv./㎥였다. 정점별 평균 개체수는 인천 연안 수역에서 114,600 indiv./㎥로 가장 많았고 외해쪽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선갑도 부근 수역에서 16,500 indiv./㎥가 출현하였다. 경기만에서 우점하여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Noctiluca scintillans, Acartia hongi, Oithona davisae, Paracalanus crassirostris, Paracalanus indicus, Oikopluera spp. 였으며 이들에 의해 전체 평균 동물플랑크톤 개체수의 94.9%가 점유되었다 대부분의 우점종들은 경기만에서 연중 넓게 분포하지만 계절에 따른 개체수의 대량 증가 현상은 내만 수역에서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시, 공간적 분포 특성은 수온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광 와탄천의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동태 (Mesozooplankton Community Dynamics in Watan Stream, Yeonggwang, Korea)

  • 이동주;김세화;이원철
    • 환경생물
    • /
    • 제27권4호
    • /
    • pp.425-432
    • /
    • 2009
  • 전라남도 영광군 와탄천 지류에 서식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풍부도, 요각류의 분포 및 환경과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4월, 7월, 8월, 10월, 12월, 2007년 2월 6회에 걸쳐 총 8개의 정점에서 채집을 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출현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은 45개의 분류군으로 요각류는 29종, 지각류는 8종 등이 출현하였다. 우점하는 분류군 중 요각류는 2월에 13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난 반면, 7월, 8월에는 4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출현개체수는 10월 ($31{\sim}127,587\;indiv.m^-3$)에 가장 높았으며, 12월 ($12{\sim}233\;indiv.m^-3$)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 다양성 지수는 7월(0.67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8월(0.368)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와탄천 지류에서 주요 우점종은 Acartia hongi로 나타났다. A. hongi는 2006년 4월, 12월, 2007년 2월에 출현하였다. 수온 약 $12.0^{\circ}C$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나타내었고, 주로 염분도 30.0 psu 이상인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담수지역에서는 지각류인 Polyphemus pediculus, Moina weismani가 06년 8월에 대량 발생하였다. 우점 분류군이었던 요각류는 집괴분석 결과 조사시기 별로 염분의 변화에 따라서 두개 또는 세개의 무리로 구분되었다. 연구지역에서 중형동물플랑크톤은 수문의 개폐에 따른 염분의 변화와 계절적 차이에 의한 수온이 출현종 조성과 출현 개체수에서 영향을 받았다.

황해 영광 안마 군도 해역의 요각류 출현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계절적 환경 요인 (The Season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Copepod Community in the Anma Islands of Yeonggwang, Yellow Sea)

  • 정영석;이석주;추서휘;윤양호;조현서;김대진;서호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5권2호
    • /
    • pp.43-55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easonal patterns and variation of the copepod community in the Anma Islands of Yeonggwang, Yellow Sea, with a focus on seasonal surveys to assess the factors affecting their occurrence. Throughout the survey period, Acartia hongi, Paracalanus parvus s. l., and Ditrichocorycaeus affinis were dominant species, while Acartia ohtsukai, Acartia pacifica, Bestiolina coreana, Centropages abdominalis, Labidocera rotunda, Paracalanus sp., Tortanus derjugini, Tortanus forcipatus occurred differently by season and station. As a results of cluster analysis, the copepod communities were distinguished into three distinct groups: spring-winter, summer, and autum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occurrence patterns of copepod species can vary depending on environmental conditions (topographic, distance from the inshore, etc.), and their spatial occurrence patterns between seasons were controlled by water temperature and prey conditions. One of the physical mechanisms that can affect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Yellow Sea is the behavior of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YSBCW), which shows remarkable seasonal fluctuations. More detail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clear grounds for mainly why to many Calanus sinicus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Yellow Sea are seasonally moving to the inshore, what strategies to seasonally maintain the population, and support the possibilities of complex factors.

Seasonal changes in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f Incheon

  • Youn, Seok-Hyun;Choi, Joong-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8권3호
    • /
    • pp.111-121
    • /
    • 2003
  • The seasonal success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area off Incheon, Kyeonggi Bay, was investigated with the samples collected at intervals of 10 to 15 days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0. Total abundance of zooplankton communities showed remarkable seasonal variations, ranged from 1,100 to $120,400{\;}indiv./\textrm{m}^3$, and annual mean abundance was $22,000{\;}indiv./\textrm{m}^3$. There were several times of the total abundance during a year, and the timing ofhigh abundances were about the same in 1999 and 2000. During the study period except summer, the abundance of dinoflagellate Noctiluca scintillans and copepod Acartia hongi contributed to the most part of total zooplankton. Whereas, during summer, smaller copepod Oithona davisae and Paracalanus crassirostris were dominant species.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f Incheon show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estuarine communities, which were dominated by a few species, and abrupt seasonal variations in abundance. We suggest that the seasonal succession and abundance variations of zooplankton communities were caused by the seasonal variations in water temperature and by the seasonally varying phytoplankton biomass in the study area.

울돌목 수로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Udolmok Waterway, Korea)

  • 유정규;정정호;남은정;명철수
    • 환경생물
    • /
    • 제24권2호
    • /
    • pp.201-211
    • /
    • 2006
  • 울돌목 수로에서 요각류 35개 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55개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연안종은 계절적인 종천이를 보였으며, 난류 외양성 종은 전 조사 시기에서 출현하였다. 분류군 수는 창조 시 저조에서 고조로 갈수록 증가하며 낙조 시 고조에서 저조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따라서 울돌목 해역은 연중 외해수 영향에 따른 외양종의 유입으로 동물플랑크톤 종조성에 영향을 받는다. 전체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은 $104\sim2,717indiv.m^{-3}$의 범위를 나타내며 2003년 8월에 가장 높고 2004년 2월에 가장 낮았다. 조석주기에 따른 현존량 변화에서 11월과 2월에 시간적 변이성이 크고 불규칙적인데 반해 8월과 4월에는 비교적 규칙적인 변화 추세를 나타냈다. 8월과 4월에는 창조 및 낙조에서 조류가 가장 강한 시간에는 낮은 출현 개체수가 나타났으며, 조류가 약해질수록 개체수가 증가하여 고조 및 저조에서 개체수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Paracalanus indicus, Cirripedia nauplii, Acartia hongi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우점종은 창조보다 낙조에서 평균 개체수가 대략 2배 정도 높았다. 그러나 창조 및 낙조 내에서도 개체수의 변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조석주기에 따른 수온, 염분, 그리고 엽록소 a등 환경변화가 작았다. 따라서 울돌목 해역에서는 강한 조류와 지형적인 조류 속도 차에 의해 형성된 와류 등이 개체군 확산, 이동 그리고 손실에 영향을 미쳐 시간적으로 복잡하고 불규칙한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보인다.

아산만 해역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in Asan Bay)

  • 이창래;박철;양성렬;신용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1호
    • /
    • pp.1-10
    • /
    • 2006
  • 서해 중부 연안에 위치한 아산만의 과거 동물플랑크톤 연구는 주로 3개월 간격의 계절별 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의 월별 채집을 바탕으로 동물플랑크톤의 월 변동을 파악하고, 수온과 염분, 식물플랑크톤의 출현량을 환경 요인으로 취급하여 이들의 변화 특성 및 이와 동물플랑크톤 분포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수온은 시간적으로 전형적인 온대수역의 변화양상을 보여주며, 공간적으로는 만의 안쪽에서 연간 변화의 폭이 다소 크게 나타났다. 염분의 계절변화는 장마에 의한 계절변화가 크며 이 시기 인공담수호의 간헐적인 담수유출이 플랑크톤 생태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클로로필 양은 과거에 비해 상당한 증가를 보였는데 만의 안과 밖에서 봄철 대증식의 시작과 기간에서 차이가 있었다. 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가면서 춘계 대증식이 2월에서 4월로 늦춰졌고, 만 안쪽과 중앙에서는 대증식 기간이 3개월 정도 유지된 반면, 만 바깥쪽에서는 약 1개월 정도로 그 기간이 짧아졌다. 식물플랑크톤의 클로로필 양과 동물플랑크톤의 양, 특히 최 우점종 Acartia hongi의 양 간에는 약하지만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과거 계절별 자료에 근거한 시간변동과 비교하여 월별 채집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반폐쇄적인 천수만 해역의 플랑크톤 군집 변화 (Variations in Plankton Assemblage in a Semi-Closed Chunsu Bay, Korea)

  • 이재광;박철;이두별;이상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95-111
    • /
    • 2012
  • 반폐쇄적인 구조의 천수만에서 환경요인과 동 식물플랑크톤 군집과의 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계절에 따라 변하는 일사량과 수온 그리고 담수 유입에 따른 영양염 공급에 의해 조성변화가 일어났으며, 한 달 이내의 짧은 기간에 서해 연안의 다른 해역에서보다 큰 폭으로 변화하였다. 담수 방류가 겨울철(2월)에는 규조류의 증식에, 여름철(7~8월)에는 표층에 한해서 와편모류의 증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식물플랑크톤 중 규조류 군집은 크기별 천이현상이 관측되었다. 동물플랑크톤은 먹이농도와 수온, 염분에 의해 군집의 구조가 변하고 있었으며, 주성분 분석 결과 계절변화와 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동에 약 32%, 담수방류에 의해 약 17%정도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과거 1985-1986년, 1991-1992년과의 비교에서 주요 우점종인 Acartia hongi, Paracalanus parvus sensu lato, Centropages abdominalis는 비슷한 계절별 변동과 조성률을 보였으나 출현양은 과거보다 약 3배 이상 증가하였고, 요각류 이외의 다른 분류군에서는 조성의 변화가 관측되었다.

새만금 수질 환경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방조제 건설에 따른 군집 변화 (Zooplankton Community and Distribution in Relation to Water Quality in the Saemangeum Area, Korea: Change in Zooplankton Community by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 유정규;정정호;남은정;정경미;이순우;명철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305-315
    • /
    • 2006
  • In order to examine the transi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by the Saemangeum sea dyk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with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was investigated using data collected in 2004 and 2005. Sixty-one zooplankton taxa were identified. Average abundance (except Noctiluca scintiliam) ranged from 236 to 1810 indiv. $m^{-3}$, and was the highest in May 2005 and the lowest in february 2005. Dominant species were Acartia hongi and Paracalanus indicus, and cirripedia nauplii and zoea were dominant groups. After the closure of the 4th sea dyke, brackish species such as Tortanus derjugini and Pseudodiaptomus inopinus are widely distributed while the abundance of N. scintillans decreased in the northern area inside the dyke. In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zooplankton, station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e northern area inside the dyke wa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areas and was represented by Acartia spp, and brackish copepods.; Also, this area was characterized by high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nd COD, and low diversity.

한국 연안에 출현하는 부유성 요각류의 종다양성과 주요 종의 분포특성 (Species Diversity of Planktonic Copepod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ts Major Species in Coastal Waters of Korea)

  • 서민호;최서열;박은옥;정달상;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525-537
    • /
    • 2018
  • 각기 다른 해양 환경 특성을 보이는 서해, 남해, 동해, 제주연안역을 대상으로 춘계(5월)와 하계(8월)에 출현한 부유성 요각류의 군집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봄과 여름에 출현한 부유성 요각류는 총 73종이었으며, 이 중 연안종이 28종이었다. 봄(49종)에 비해 여름(58종)에 출현 종이 다양하였다. 요각류 출현 개체수는 봄과 여름 Chl-a 농도가 낮게 나타난 동해연안해역에서 가장 낮았으며, 봄에 Chl-a 농도가 높게 나타난 서해연안해역에서 출현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름에 제주연안해역에서 Chl-a 농도가 $0.6{\mu}g\;L^{-1}$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높은 출현 개체수를 보였다. 봄에 한국 연안에서 우점적으로 출현하는 요각류는 Acartia hongi, A. ohtsukai, Paracalanus parvus s. l., Oithona similis 이었다. 여름에는 이들 종 이외에 A. omorii, A. pacifica, A. steueri, Calanus sinicus, Corycaeus affinis, Corycaeus sp., Pseudodaiptomus marinus, Tortanus forcipatus이었다. Paracalanus parvus s. l.은 봄에 조사 해역에서 최우점종 또는 차우점종으로 생태적 지위를 달리하였으나, 여름에는 전조사해역에서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요각류 군집특성은 수온, 염분, Chl-a 농도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서해, 남해, 동해, 제주 4구역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한국 주요 항에 출현하는 하계 동물플랑크톤 군집 특성 (Occurrence Patterns of Zooplankton Present in Ports of Korea during Summer)

  • 서민호;신경순;장민철;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448-457
    • /
    • 2013
  • 각기 다른 해양환경 특성을 보이는 서해, 남해, 동해 주요 항을 대상으로 여름철 동물플랑크톤 군집구조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해 항들에서 가장 높은 수온을 보였으며, 남해, 동해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이와 반대로 염분은 서해에서 가장 낮았으며, 동해에서 가장 높았다.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은 남해에서 가장 높았으며, 서해, 동해 순으로 낮았다. 동물플랑크톤 출현 분류군수는 서해, 남해, 동해 순으로 높았다. 요각류는 서해에서 최우점 분류군이었으나, 남해와 동해에서 그 중요도가 감소하였다. Paracalanus parvus s. l.가 전 해역에서 우점 출현하였다. 이외에 서해에서는 Acartia hongi, A. ohtsukai, Pavocalanus crassirostris가 우점 출현하였으며, 남해에서는 A. omorii가, 동해에서는 A. omorii, Oithona spp.가 우점 출현하였다. 여름철 한국 주요 항은 지역에 따라 확실히 구분되었다.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특성은 수온, 염분 이외에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