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ricidal activit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7초

꿀벌응애에 대한 신규화합물 K16776의 살비효과 (Acaricidal Activity of A Newly Synthesized K16776 against Honeybee Mite, Varroa destructor (Acari: Varroidae))

  • 오만균;안희근;김현경;윤창만;김진주;김태준;이동국;정근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2-196
    • /
    • 2008
  • 꿀벌(Apis mellifera)의 중요 해충인 꿀벌응애(Varroa destructor)에 대한 한국화학연구원과 동부하이텍이 공동으로 개발한 신규화합물 K16776(6.6 EC)과 꿀벌응애 방제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amitraz(20 EC), 점박이응애 방제약으로 등록된 5종의 약제, 그리고 꿀벌응애 방제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국약제 2종에 대한 살비활성($15{\times}7.5{\times}7.5\;cm$)을 소형용기와 야외 벌통에서 수행하였다. 소형용기에 K16776과 amitraz는 100%의 살비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꿀벌에 대해서는 독성이 없었다. 그 외 acequinocyl, bifenazate, chlorfenapyr, fenpyroximate, milbemectin은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야외 벌통에서 실험한 결과, K16776은 250배와 500배에서 각각 98.7%와 88.6%의 높은 살비활성을 보였으며, 꿀벌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mitraz도 500배와 1,000배에서는 각각 100%와 90%의 살비활성을 나타내었다. 중국약제인 초살산만편과 왕스는 각각 56.9%와 66.7%의 살비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신규화합물인 K16776는 꿀벌응애 방제약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닭진드기 성충에 대한 대회향 유래 아네톨 및 유사 화합물들의 살비활성 (Acaricidal Activity of (E) - Anethole Derived from Illicium verum and Its Analogues against Dermanyssua gallinae Adults)

  • 조형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63-268
    • /
    • 2009
  • 닭진드기 성충에 대한 대회향 열매에서 유래한 추출물들의 살비활성 직접접촉법을 이용해서 조사하였다. 실내시험에서 대회향 메탄올 추출물의 높은 활성이 관찰되었기 때문에 그것의 살비활성 본체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살비제들인 디클로르보스, 다이아지논 그리고 카바릴과 비교하였다. 칼럼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해서 대회향 열매의 살비활성 본체를 분리하였고 이것을 GC-MS를 이용해 (E)-아네톨로 규명하였다. 이 활성물질과 비슷한 구조를 갖고 있는 12종의 화합물들의 살비활성과 아네톨의 활성을 $LD_{50}$ 값을 기준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2종의 네오멘솔 이성체들이 아네톨보다 강한 활성을 보였고 (0.01 $mg/cm^2$), 2종 멘솔 이성체들, (${\pm}$-이소보르네올, (-)-멘손, 그리고 (1S)-엔도-(-)-보르네올이 비슷한 활성을 보였으며 (0.02 $mg/cm^2$), (1R)-(+)-캠퍼와 (+)-멘손은 아네톨 보다 약한 활성을 나타냈다. 이들 화합물 모두는 각각 0.05 그리고 > 0.2 $mg/cm^2$의 값을 보인 다이아지논과 카바릴보다 더 우수한 활성을 보였지만, 디클로르보스의 활성 (0.0002 $mg/cm^2$)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들은 대회향 열매 유래 물질들과 시험한 물질들이 닭진드기의 야외 개체군들을 방제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S-Aryl Arenethiosulfonate 유도체의 살응애력과 살란력 (Acaricidal Activity of S-Aryl Arenethiosulfonates)

  • 이상익;박창규;금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3호
    • /
    • pp.249-253
    • /
    • 1997
  • 19종의 S-Aryl arenethiosulfonate 유도체를 합성하여 살응애력 및 살란력을 검정하였다. 치환 thiophenol, chloronitrobenzene, 치환 aniline 등으로부터 합성된 diphenyl disulfide 유도체와 m-choroperoxybenzoic acid 와의 산화반응을 통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성충 및 알에 대한 유도체들의 살충 효과를 검정한 결과, 3종의 para 치환체가 50% 이상의 강한 살란효과를 나타냈으나 성충에 대하여는 호과가 없었다. Ovex, genite등의 살응애력을 지닌 sulfonate계 화합물이 meta 또는 para chloro 치환체인 반면에 thiosulfonate계 화합물의 meta또는 para-choro 치환체는 활성이 없었다.

  • PDF

11종의 살비제를 이용한 5개지역 닭진드기의 감수성 평가 (Evaluation of Susceptibility of Red Poultry Mite, Dermanyssus gallinae (Acari: Dermanyssidae) in Five Regions to 11 Acaricides)

  • 이승주;윤종웅;박근호;김현경;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27-434
    • /
    • 2017
  • 5개 지역 양계장에서 채집한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 성충에 대한 11종 살비제의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Bifenthrin과 formic acid + pyridaben은 100배의 희석배수로 처리한 결과, bifenthrin은 5가지 지역에서 모두 100%의 살비율을 보였으나 formic acid + pyridaben 합제는 연천과 안성을 제외한 나머지 3지역(경주, 칠곡, 금산)에서 20% 이하의 낮은 살비율을 보였다. 카바메이트계 약제인 carbaryl은 경주(45.0%)를 제외한 4지역에서 100%의 살비효과를 보였다. 유기인계 약제인 dichlorvos는 연천을 제외한 4지역 모두 100%의 살비효과를 보였지만 연천은 66.7%의 살비율을 보였다. 연천과 안성지역의 양계장이 살비제에 대한 감수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3지역(경주, 칠곡, 금산)의 경우에는 약제에 따라 활성의 차이를 보였다. Clothianidin, thiamethoxam, fenitrothion, formic acid + pyridaben은 지역에 따라 살비활성의 효과에 차이를 보여 사용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나, carbaryl과 cartap hydrochloride, dichlorvos, bifenthrin은 실험에 사용된 모든 지역에서 활성이 높아 모든 지역에서 사용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양계장별 살비제 활성이 차이를 보이는바 효과적인 닭진드기의 방제를 위해서는 살비제의 활성평가와 더불어 약제의 교호살포와 무분별한 사용을 지양해야할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가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caricidal effects of herb essential oils against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Acari: Pyroglyphida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a herb Mentha pulegium (pennyroyal)

  • Rim, In-Sook;Jee, Cha-H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133-138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screen the acaricidal effects of herb essential oils (pennyroyal, ylang ylang, citronella, lemon grass, tea tree, and rosemary) at different doses (0.1, 0.05, 0.025, 0.0125, and $0.00625{\mu}l/cm2$) and exposure times (5, 10, 20, 20, 30 and 60 min) on house dust mites Dermatoph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The most effective acaricidal components of pennyroyal (Mentha pulegium) were analyzed using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GC-MS). Of these essential oils, the most effective was pennyroyal, which is composed essentially of pulegone (> 99%), at a dose of $0.025{\mu}l/cm^2$, which at an exposure time of 5 min killed more than 98% of house dust mites. In the pennyroyal fumigation test, the closed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open method and maximum acaricidal effect was 100% at $0.025{\mu}l/cm^2$, 60 min. The results show that herb essential oils, in particular, pennyroyal was proved to have potent acaricidal activity.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대한 다양한 식물체 및 천궁유래물질의 살비 및 기피 효과 (Acaricidal and Repellent Activities of Cnidium officinale-derived Compounds Against Haemaphysalis longicornis (Acari: Ixodidae))

  • 안현모;신은경;김현경;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15-322
    • /
    • 2021
  • 충북 청주지역에서 채집된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에 대하여 다양한 식물체 메탄올 조추출물과 천궁유래 물질들을 이용하여 살비활성과 기피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24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대한 살비활성을 조사한 결과, 천궁(Cnidium officinale)에서 93.3%의 살비율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기피 효과의 경우 도라지, 미국자리공, 백목련, 어성초, 천궁, 칡잎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기피 및 살비활성이 가장 높은 천궁의 메탄올추출물을 용매 분획한 물질들과 천궁 유래물질인 butylidenephthalide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헥산(hexane)층 처리 3일 후에 90%의 높은 살비효과를 보였으며 기피반응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천궁유래물질인 butylidenephthalide은 처리 7일 후에 90%의 살비활성을 보였고 T-tube olfactometer 실험에서 모든 작은소피참진드기가 무처리구로 이동하여 기피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천궁 조추출물과 천궁유래물질인 butylidenephthalide를 이용하여 작은 소피참진드기의 방제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caricidal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derived from the Albizziae julibrissin barks

  • Park, Jun-Hwan;Lee, Sang-Guei;Kim, Jeong-Moon;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2호
    • /
    • pp.125-128
    • /
    • 2016
  •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Albizziae julibrissin bark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ectrometry. Fourteen components were identified, representing 89.23 % of the total oil composition. The analysis of the essential oil revealed that the essential oil contains 14 compounds, accounting for 89.23 % of the total oil. Hexanoic acid was the principal component (41.43 %) of the essential oil, followed by 4,4,6-trimethyl-cyclohex-2-en-1-ol (11.16 %), palmitic acid (9.00 %), 2-pentylfuran (5.66 %), 2-butyl-2-octenal (4.12 %), linoleic acid (3.10%), amyl hexanoate (3.01%), (E,E)-2,4-decadienal (2.49 %), 2-hexylthiophene (2.47 %), caprylic acid (2.13 %), ${\delta}-undecalactone$ (1.52 %), heptanoic acid (1.27 %), 3,5-octadien-2-ol (0.99 %), and 2-octenal (0.88 %). The acaricidal activity of the A. julibrissin oil was tested against Dermatophagoides farina, D. pteronyssinus and Tyrophagus putrescentiae by the fumigant bioassay. Based on the $LD_{50}$ values, the essential oil exhibited strong acaricidal activities against D. farinae ($LD_{50}$, $4.88{\mu}g/cm^3$), D. pteronyssinus ($2.44{\mu}g/cm^3$), and T. putrescentiae ($1.22{\mu}g/cm^3$).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julibrissin oil could be a source of acaricidal agents for mite control.

난황유의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방제효과 (Effect of COY(Cooking Oil and Yolk Mixture) on Control of Tetranychus urticae)

  • 박종호;류경열;이병모;지형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9-254
    • /
    • 2008
  • 점박이응애의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을 개발하기위해 식용유와 계란 노른자를 재료로 한 난황유(COY)를 이용하여 점박이응애 성충에 대한 살비효과를 실험실과 유리온실에서 검정하였다. 해바라기유, 콩기름, 카놀라유, 올리브유를 재료로 한 난황유를 사용하여 살비력을 비교 검정하였으나 식용유의 종류에 따른 살비효과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난황유를 점박이응애에 살포하였을 때 식용유의 농도가 0.1%에서 1%까지 증가할수록 살비율은 17.6%에서 94.1%로 높아졌으며 난황유의 처리 방법도 처리량이 많을 경우 살비력이 더 높았다. 점박이응애의 알을 난황유에 침지 처리했을 경우 살란율은 95%였다. 점박이응애가 발생한 장미재배 온실에 0.3%의 해바라기유로 제조한 난황유를 3회 살포 후 69.0%에서 93.9%의 높은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아프리카산 식물체 추출물의 벼멸구 및 점박이응애에 대한 살충 및 살비활성 (Insecticidal and Acaricidal Activities of African Plant Extracts against the Brown Planthopper and Two-Spotted Spider Mite)

  • I. G. Hiremath;Young Joon Ahn;Soon Il Kim;Byung Ryul Choi;Jum Rae Cho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0-205
    • /
    • 1995
  • 아프리카 나이제르산 13관 21종 식물체의 부위별로 채집된 31 시료 메탄올 추출물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활성 및 점박이이응애에 대한 살비활성을를 가각 미량국소처리법과 잎침지법으로 조사한 결고, 시료의 부위 및 종에 따라 살충 및 살비활성에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Caesalpinacras과의 Cassia occidentalis와 Cassia tora 전부위 및 Mimosaceas 과의 Prosopis chinensts줄기의 메탄올 추출물은 벼멸구에 대해서 강한 살충활성을 보인 반면, 비름과의 Celosia trigyna 전부위, Combretaceae과의 Combretum glutinotum 잎과 Combretum micronthum 전부위 및 Prosopis chinensis 잎과 열매의 메탄올 추출물은 점박이응애에 대해 강한 살비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Color Alteration and Acaricidal Activity of Juglone Isolated from Caesalpinia sappan Heartwoods Against Dermatophagoides spp.

  • Lee, Chi-Hoon;Lee, Hoi-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0호
    • /
    • pp.1591-1596
    • /
    • 2006
  • Acaricidal effects of materials derived from Caesalpinia sappan heartwoods against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were assessed and compared with those evidenced by commercial benzyl benzoate and DEET. The observed responses varied according to dosage and mite species. The $LD_{50}$ values of the methanol extracts derived from C. sappan heartwoods were 6.13 and $5.44{\mu}g/cm^3$ against 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ethyl acetate fraction derived from the methanol extract was approximately 8.71 more toxic than DEET against D. farinae, and 4.73 times more toxic against D. pteronyssinus. The biologically active constituent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C. sappan heartwood extract was purified via silica gel chromatography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structure of the acaricidal component was analyzed by $GC-MS,\;^1H-NMR,\;^{13}C-NMR,\;^1H-^{13}C\;COSY-NMR$, and DEPT-NMR spectroscopy, and identified as juglone (5-hydroxy-l,4-naphthoquinone). Based on the $LD_{50}$ values of juglone and its derivatives, the most toxic compound against D. farinae was juglone ($0.076{\mu}g/cm^3$), followed by benzyl benzoate ($9.143{\mu}g/cm^3$) and 2methyl-l,4-naphthoquinone ($40.0{\mu}g/cm^3$).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caricidal activity of C. sappan heartwoods is likely to be the result of the effects of juglone. Additionally, juglone treatment was shown to effect a change in the color of the cuticles of house dust mites, from colorless-transparent to dark brownish-black. Accordingly, as a naturally occurring acaricidal agent, C. sappan heartwood-derived juglone should prove to be quite 'useful as a potential control agent, lead compound, and house dust mite indic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