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writing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1초

Ten Tips for Performing Your First Peer Review: The Next Step for the Aspiring Academic Plastic Surgeon

  • Frendo, Martin;Frithioff, Andreas;Andersen, Steven Arild Wuyts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4호
    • /
    • pp.538-542
    • /
    • 2022
  • Performing the first peer review of a plastic surgical research article can be an overwhelming task. However, it is an essential scholarly skill and peer review is used in a multitude of settings: evaluation of journal articles, conference abstracts, and research proposals. Furthermore, peer reviewing provides more than just the opportunity to read and help improve other's work: peer reviewing can improve your own scientific writing. A structured approach is possible and recommended. In these ten tips, we provide guidance on how to successfully conduct the first peer reviews. The ten tips on peer reviewing concern: 1) Appropriateness: are you qualified and prepared to perform the peer review? 2) Familiarization with the journal and its reviewing guidelines; 3) Gathering first impressions of the paper followed by specific tips for reviewing; 4) the abstract and introduction; 5) Materials, methods, and results (including statistical considerations); and 6) discussion, conclusion, and references. Tip 7 concerns writing and structuring the review; Tips 7 and 8 describe how to provide constructive criticism and understanding the limits of your expertise. Finally, Tip 10 details why-and how-you become a peer reviewer. Peer review can be done by any plastic surgeon, not just those interested in an academic career. These ten tips provide useful insights for both the aspiring and the experienced peer reviewer. In conclusion, a systematic approach to peer reviewing is possible and recommended, and can help you getting started to provide quality peer reviews that contribute to moving the field of plastic surgery forward.

팀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eflective journaling in team learning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learners)

  • 박인숙;김미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849-859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eam learning by having learners keep a journal to record, check and reflect on their own learning. It's basically mean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m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s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eaching-learning strategy setting tailored to learner characteristic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 college sophomores. After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of 24 students engaged in team learning from March to June, 2012, and that group was asked to keep a reflective journal every week to determine whether writing a reflective journal in every session served to boost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r not. Results : 1.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kept a reflective journal, that group underwent a significant change in learning motivation from a mean of 3.34 in the pretest to a mean of 4.01 in the posttest(p<0.05).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positive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2.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kept a reflective journal, they underwent a significant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from 22.7 in the pretest to 23.5 in the posttest(p<0.05).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keeping a reflective journal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learners,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in new teaching methods for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Using Small Corpora of Critiques to Set Pedagogical Goals in First Year ESP Business English

  • Wang, Yu-Chi;Davis, Richard Hill
    • 아시아태평양코퍼스연구
    • /
    • 제2권2호
    • /
    • pp.17-29
    • /
    • 2021
  • The current study explores small corpora of critiques written by Chinese and non-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how strategies used by these writers compare with high-rated L1 students. Data collection includes three small corpora of student writing; 20 student critiques in 2017, 23 student critiques from 2018, and 23 critiques from the online Michigan MICUSP collection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The researchers employ Text Inspector and Lexical Complexity to identify university students' vocabulary knowledge and awareness of syntactic complexity. In addition, WMatrix4® is used to identify and support the comparison of lexical and semantic differences among the three corpora. The findings indicate that gaps between Chinese and non-Chinese writers in the same university classes exist in students' knowledge of grammatical features and interactional metadiscourse. In addition, critiques by Chinese writers are more likely to produce shorter clauses and sentences. In addition, the mean value of complex nominal and coordinate phrases is smaller for Chinese students than for non-Chinese and MICUSP writers. Finally, in terms of lexical bundles, Chinese student writers prefer clausal bundles instead of phrasal bundles, which,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re more often found in texts of skilled writers. The current study's findings suggest incorporating implicit and explicit instruc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orpora in language classrooms to advance skills and strategies of all, but particularly of Chinese writers of English.

The Prison and the Sea

  • Mrazek, Jan
    • 수완나부미
    • /
    • 제11권1호
    • /
    • pp.7-40
    • /
    • 2019
  • The essay reflects on the work of Adrian Lapian (1929-2011), an Indonesian scholar of archipelagic/maritime Southeast Asia and its "sea people-sea pirates-sea kings." The essay suggests that Lapian's writing mirrors navigation at sea, and the constant re-orientation and ever-changing, multiple points of view that are part of it. This is contrasted to Foucault's "panopticism" and academic desire for discipline. Taking cue from Lapian's writing and from the present author's experience of seafaring, the essay envisions Southeast Asian studies as a fluid, precarious, disorienting, even nauseating multiplicity of experiences, dialogues, and moving, unstable, and uncertain points of view; a style of learning that is less (neo)colonial, more humble, and closer to experiences in the region, than super-scholarship that imposes universalizing, panoptic standards, theories and methods (typically self-styled as "new") that reduce the particular into a specimen of the general, a cell in the Panopticon. The essay concludes with reflections on certain learning initiatives/tradition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including seafaring voyages-experiences, encounters, and conversations that make students and scholars alike to move and see differently, to be touched, blown away, rocked, swayed, disoriented, swallowed, transformed, and feel anew their places, roots, bonds, distances, fears, blindness, powerlessness.

  • PDF

고등학생들의 글쓰기에서 나타난 다중 표상의 내재성에 미치는 다중 표상 수업의 효과 (The Impact of Multimodal Representation-based Lesson on Embeddedness of Multimodal Represent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 남정희;이동원;남영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500-508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중 표상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글쓰기에서 나타난 다중 표상의 내재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광역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자연계열 2학년 2개 학급 학생 74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2개 학급 중 1개 학급 41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개 학급 33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차시의 다중 표상 수업과 7가지 주제에 대한 전통적인 방식의 수업을 처치하였고, 비교집단에는 다중 표상 수업을 제외하고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Summary Writing의 분석 결과, 다중 표상의 내재성에 대한 실험집단의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쓰기 활동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riting activities Based on Polya's Problem solving Stages on Learning Accomplishment and Attitudes)

  • 이정혜;안병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7-103
    • /
    • 2013
  • 본 연구는 Polya의 문제해결 4단계에 따른 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한 P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실험집단 : 27명, 비교집단 : 2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집단은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쓰기 활동을 구안하여 문제해결이나 탐구활동 단계를 선별하여 수업에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은 같은 활동을 전통적인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업성취도 사전검사는 G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에서 개발한 5학년 2학기 서술형 평가에서 영역별로 5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사후검사는 6학년 1학기 내용 중에서 서술형 평가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수학적 태도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모두 동일한 문항을 이용하였다. 학기 초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동일한 검사지를 한 학기간의 실험 처치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성취도는 t-검정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학적 태도는 t-검정한 결과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쓰기 활동이 학업성취나 수학적 태도의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을 활용한 과학고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 특성 연구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on above-level testing of newly entering students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 안태환;박경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9-138
    • /
    • 2015
  • 본 연구는 과학고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물리, 화학, 영어 교과에서의 상급 학년 성취 수준을 평가하였다.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천장효과를 배제한 성취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동형검사지를 개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신입생들의 수학, 과학 교과 학업성취도는 응시생의 50%이상이 수능 5등급이내에 위치하고 영어교과는 19.3%미만의 학생들이 5등급이내의 성적을 나타내어 수학이나 과학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과목 내 단원별 학업성취도가 높고 낮은 단원을 보면, 수학은 '행렬' 단원이 높고 '수열' 단원이 낮았다. 미적분과 통계 과목은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단원이 높고, '통계' 단원이 가장 낮았다. 물리 과목에서는 '전기와 자기' 단원이 중간 수준, '파동과 입자' 단원이 하위수준이었다. 화학 과목에서는 '생활 속의 화합물' 단원이 높고, '공기' 단원이 낮았다. 영어 교과에서는 읽기 영역의 '실용문'이 매우 높았으며, 쓰기 영역의 '문장'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좋은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 학업 성취도 수준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Science Process Skills, Logical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전성수;박종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47-655
    • /
    • 2014
  •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이 학업성취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SCST), 과학 탐구능력 검사(TSPS), 논리적 사고력 검사(GALT)를 실시하였으며, 과학교과지필 평가와 과학교과 서술형 평가, 전체교과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각각의 능력의 하위 요소별로 학업 성취도와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영향을 주고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업성취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아래세 가지 유형의 성취도평가와의 상관관계를 구조적인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세 능력은 학습자의 과학교과 지필, 과학교과 서술형, 전체교과 학업 성취도 수준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하위 요소별로 그 상관정도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주고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전체 교과에 대한 학업 성취도 수준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CMC기반의 영어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교수설계가 영어학습에 미치는 효과 : 교양 영작문 과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Further Interaction on English Learning in a CMC Base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Focusing on University General English Education)

  • 정양수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3권2호
    • /
    • pp.281-30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MC-based English learning. In this study, CMC components were found to provide circumstances of facilitating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tudent and student-student-teacher, which enabled students to accomplish language learning task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MC based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helps students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English language learning. Second, student-student-instructor interaction group outperformed other group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activity participation. Third, cooperative learning groups mor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activity than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resulting in better academic performances. These findings supported the fact that cooperative learning with CMC components are useful in bringing more class participation and positive attitude that were believed to foster language learning than other groups in traditional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structor needs to us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helpful to facilitate active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better effectiveness of English learning in a CMC based learning environment.

  • PDF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화학분야의 수준별 학습지도안 연구 (A Study on a Lesson Plan for Middle School Chemistry by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on the Basis of Students’ Academic Characteristic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엄우용;이장현;김정성;윤문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95-602
    • /
    • 2001
  •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학습의 핵심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나누어 학습을 하는 것이다. 이는 수준별 심화${\cdot}$보충형 학습으로 특징지워지는데, 교육현장에서 이에 대한 대비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과학과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특성과 제한점을 분석하고, 수준별 학습에 적합한 학습유형을 제시하며, 이들을 토대로 제 7차 교육과정에 취지에 적합한 과학과의 학습지도안 작성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화학분야의 한 단원을 선정하여 수준별 심화${\cdot}$보충학습을 위한 학습지도안의 예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