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Resilience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6초

사서의 문헌정보학분야 학술논문 출판 활동 현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를 중심으로 - (Librarians' Contribution for Publishing in LIS Journal: In the case of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신은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1-64
    • /
    • 2019
  • 실용성을 강조하는 여타 학문 분야처럼 문헌정보학은 실무자인 사서의 연구 활동과 학술논문 출판에 관심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직접 다룬 국내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 연구는 사서의 국내 학술논문 출판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황을 분석하고, 사서의 학술논문 출판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 수록된 사서 저자의 논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고, 출판한 사서의 특성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학술지 저자 전체에서 사서의 비중은 15.56%로 높지 않았다. 다만 사서 저자의 논문수 추이가 안정세였고, 공저 논문 가운데 사서가 주저자인 경우가 많다는 점은 고무적이었다. 활발한 출판을 보이는 사서는 공공 도서관과 학교 도서관 사서였고, 대학 도서관 사서는 다소 뒤져 있었으며, 지도교수와 공저하는 대학원 재학 사서도 있었다. 사서의 학술논문 출판을 활성화하는 데는 사서 개인의 노력뿐 아니라 소속 기관의 인식 개선과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사서와 도서관 모두 학술논문 출판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업무 시간의 탄력 적용, 보상, 지원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실천함으로써, 사서의 귀중한 실무 경험이 학술논문으로 출판되고 이를 타 연구자 및 사서가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항만안전 위험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Port Safety Risk Factors Using by Topic Modeling)

  • 이정민;김율성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59-7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일반대중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뉴스 기사 데이터와 항만 연구자들의 인사이트가 반영된 국내 학술지 초록 데이터를 통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항만안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쏟아지고 있는 현 시대에 맞는 새로운 방식인 온라인상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시각에서의 항만안전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탐색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썬을 활용한 NMF기반의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여 데이터별 주요 토픽을 도출한 후 각 토픽에 대한 의미분석을 실시하였다. 뉴스 기사 데이터에서는 주로 항만안전 위험요인 중 자연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도출되었고 학술지 초록 데이터에서는 보안적 요인, 기계적 요인, 인적요인, 환경적 요인, 자연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항만안전의 회복탄력성 강화 등 국내 항만의 안전강화전략 필요성, 항만안전에 대한 일반대중들의 시각을 넓히기 위한 안전의식개선 필요성, 항만산업 환경이 안전하고 전문화된 성숙한 항만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정책적 차원과 인식적 차원의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일반대중들의 시각과 항만 연구자의 시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항만안전 위험요인을 탐구함으로써 국내 항만이 항만안전을 위해 개선해야할 주요 요인들을 밝혔고 항만의 안전성확보가 더욱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기존의 항만에서 항만안전 문화를 가진 성숙된 항만으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심리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건설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Turnover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 이수진
    • 벤처혁신연구
    • /
    • 제7권1호
    • /
    • pp.151-166
    • /
    • 2024
  • 본 연구는 건설업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 그리고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며 이직의도를 낮추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어진 환경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태도나 행동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심리적 자본을 희망, 복원력(탄력성), 자기효능감, 낙관성의 4개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건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31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심리적자본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조직몰입이 심리적자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심리적자본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희망과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복원력과 낙관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희망, 복원력, 낙관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인 중 희망과의 관계에서 이직의도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건설업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대한 외부적인 측면을 주로 고려하였다면, 연구를 통해 심리적인 측면에 접근하여 조직몰입을 더 높이고, 이직의도를 완화시키고자 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건설업 종사자들의 심리적 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조직에서의 직무에 대한 희망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정 속에서 직무를 이행하기 때문에 이직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기효능감과 희망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직무 자율성 부여, 유연한 근무 등과 같은 다양한 제도 정비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산업집적지의 위기와 회복 가능성: 동대문 패션산업 생산네트워크와 공간적 특성 (A Hint of Crisis Resilience of Industrial Agglomeration: The Production Network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Dongdaemun Fashion Industry)

  • 정선화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34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시 동대문 패션산업 집적지의 위기의 원인을 포착하고 해결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그 공간적 범위를 획정하고 가치사슬 및 생산네트워크의 형태, 집적지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동대문 패션산업 집적지의 공간적 범위는 동대문시장의 확장과 생산 배후지역의 확산을 통해 기존 연구 결과와 달리 동대문시장을 중심으로 서울 동북부지역에 넓게 분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동대문 패션산업에서는 임가공방식의 생산방식을 채택하여 가치사슬의 각 단계가 발주업체인 도매업체를 중심으로 분절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생산네트워크는 방사형 네트워크 형태로, 생산네트워크 간의 경쟁관계와 이를 반영한 생산 과정을 통해 개별 수준의 방사형 네트워크 특성이 전체적으로도 유지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동대문 패션산업 집적지는 이를 하나의 전체로서 바라본 기존 연구 결과와 달리 생산네트워크의 형태에 따라 공간적으로 분절되어 있는 분절된 산업집적지라고 볼 수 있다. 최근의 동대문 패션산업 집적지의 위기는 수요 감소라는 외부 충격에 취약한 방사형 네트워크의 위상구조적 문제이자 내재적 문제로 해결 방향도 그에 따라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서울시의 동대문 패션산업 연구 의 한계나 오류를 일정 부분 극복함과 동시에 현재 위기를 겪고 있는 산업집적지를 연구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산업집적지 연구를 확대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탈북여성들이 경험하는 도덕적 손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탈북여성을 대상으로 한 질적 선행연구물 내용분석 (Exploratory study on the Moral Injury among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Qualitative Studies on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 심우찬;이순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36-652
    • /
    • 2018
  • 본 연구는 심리적 트라우마를 경험한 후 일상에 적응하지 못하는 현상에 대한 비정신병리적 접근으로의 도덕적 손상이라는 개념을 탈북여성의 경험을 재해석하고 이해하는데 적용시키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KISS와 DBpia를 이용하여 2017년 8월 13일까지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질적 연구물 중 '탈북여성' '새터민 여성' '북한이탈 여성'이라는 주제어를 포함하는 연구물을 검색 했다. 최종 선정된 총 51개의 질적 연구물의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로는 적응경험, 어머니로서의 경험, 북한 체제와 전쟁에 대한 경험, 일/직업/고용 경험, 정신적인 충격에 대한 극복 및 성장과 회복탄력성의 경험, 중국에서의 삶에 관한 경험, 트라우마나 심리적인 경험, 심리적 불안함을 치료하는 과정과 효과에 대한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도덕적 손상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감정에 관한 단어는 총 260회, 존재론적 믿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단어는 총 82회, 인지의 변화와 관련 단어들이 총 71회, 그리고 행동의 변화와 관련 표현이 총 21회 나타났다. 셋째, 도덕적 손상의 현상을 일으키는 맥락으로 크게 '정체성 부정'과 '가족 해체'가 드러났다. 그리고 도덕적 손상을 일으킬 만한 맥락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도덕적 손상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던 정 반대되는 사례들 속에서 '정체성 재구성'이라는 맥락을 공통적으로 발견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탈북여성이 도덕적 손상으로부터 예방 되는, 혹은 도덕적 손상으로부터의 회복에 필요한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상담사의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 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in Relationship of Youth Counselors' Job Environment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 이영애;변상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238-249
    • /
    • 2015
  • 본 연구는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상담사의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5년 5월 5일 충남 청주에 소재한 한국교원대학교에서 개최된 청소년 상담 학술대회에 참가한 전국 공공기관 상담실, 학교상담실, 대학부설 상담실, 일반 기업상담실 등 청소년상담 현장에서 활동하는 경력이 풍부한 전문상담사와 수련감독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최종 분석에는 113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SPSS v.20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과 근무조건은 직무환경 스트레스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직무환경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도전기회의 부족'과 '역할모호성'이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위로능력 중 '회복력'과 '자기노출'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이 매개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력이 풍부한 청소년상 담사들은 물론 전반적인 상담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처할 수 있는 대안 개발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 특성화 사업 성과에 관한 연구-보건의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chievements of Characterized Education for Healthcare Data Science Initiative)

  • 박화규
    • 서비스연구
    • /
    • 제9권3호
    • /
    • pp.87-99
    • /
    • 2019
  • 본 소고는 '대학 특성화 사업'의 헬스케어분야에 선정된 순천향대학교의 CK-1 사업단의 보건의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특성화 프로그램인 HDSI 성과에 관한 연구이다. 현 대학들의 HDSI 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은 미진하나 해외 경우 전문인력 양성교육 및 과정 개발등 에 특성화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대부분의 HDSI 국내 인력양성 프로그램은 기업과의 멘토링·사례 공유 등 단기적 콘텐츠 위주로 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업에서 요구하는 기술수준과 직무능력에 맞춘 교육을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CK-1 사업단에서는 현재 대학의 HDSI 보건의료의 IT 교육이 급변하는 환경과 현실 간 괴리가 있음을 판단하고, 실무중심의 특성화 산학연계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여 1) 실무형 Field Inside 교육 2) 융합형 트랙교육, 3) 회복탄력성 및 변화대응력 강화 교육의 3가지 특화전략을 갖고 추진되었다. 이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우수사업단으로 선정되었고, 종합평가에서 A등급을 받아 매우 유의미한 연구 성과로 인정받았다. 더불어, 본 특성화프로그램에 참여 학생들은 설문분석과 결과지표 분석을 통해, 만족도 유의미하게 상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HDSI 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을 통해 특성화 사업의 과정, 결과와 성과를 비특성화 사업 참여 대학 및 일반에 알림으로서 CK-1 정책이 대학 경쟁력 강화에 얼마만큼 기여하고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감정노동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n Emotional Labor in Korea using text mining)

  • 조경원;한나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119-133
    • /
    • 2021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연구가 많은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감정노동 분야에서는 텍스트마이닝을 사용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2004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연구재단의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감정 노동'이라는 주제어가 포함된 1,465건의 검색된 논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감정노동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LDA분석으로 주제들을 추출하고, 토픽의 비중과 유사도를 확인하기 위해 IDM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유사도가 높은 토픽들의 의미유용성을 고려하여 토픽의 통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토픽은 11개로 구분되며, 감정노동의 스트레스(12.2%),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12.0%), 고객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10.9%), 감정노동과 회복탄력성(10.2%), 감정노동전략(9.2%), 콜센터상담사의 감정노동(9.1%), 감정노동의 결과(9.0%), 감정노동과 직무소진(7.9%), 감성지능(7.1%), 예비돌봄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6.6%), 감정노동과 조직문화(5.9%) 순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토픽모델링과 트렌드분석을 통하여 감정노동의 연구동향과 학문적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감정노동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감정노동에 관한 실무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Export Potential of the Digital Service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Based on RCEP Country Data

  • Wen-Si Cheng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7권2호
    • /
    • pp.61-76
    • /
    • 2023
  • Purpose - The digital service trade has become an important driver of the global service trad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digital service exports from China and Korea to RCEP sample countries respectively, and to comprehensively study the export potential of China and Korea to RCEP countries, so as to provide theoretical guidance and a decision-making reference to promote digital service trade exports and digital economy development in China and Korea. Design/methodology - First, the stochastic frontier gravity model was improved by introducing nonefficiency factors affecting digital services trade, extending the gravity model of traditional services trade exports to digital services trade exports. Secondly, the panel data of China and Korea for the eight sample countries of RCEP from 2011 to 2021 were adopt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digital service export potential by a stochastic frontier model. Findings - China's economic growth plays a role in increasing China's digital service trade exports, while Korea's economic growth does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creasing Korea's digital service trade exports. However, the economic growth of trading partner countrie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boosting the digital service trade in both China and Korea, and comparison shows that Korea has higher resilience in the digital services trade than China. In addition, the market size of target countries plays a positive role in promoting the digital service trade exports of both China and Korea, and the increase in the value-added share of services in target countries will lead to a decrease in the digital service trade exports of both China and Korea. Originality/value - This study is innovative in terms of research perspective and method. Academic research on the export potential of international trade has been extensive, but most studies ar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goods trade, fewer studies ar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service trade, and there are almost no studi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digital service trade. There is a gap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port potential of the digital service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This study extends the gravitational model of traditional service trade exports to digital service trade export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export potential of China and Korea to RCEP countries. This study addresses this limitation by analyz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gital service trade export potential of China and Korea.

상표자산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 아시아와 유럽의 의류시장을 중심으로 - (Brand Equity and Purchase Intention in Fashion Products: A Cross-Cultural Study in Asia and Europe)

  • 김경훈;고은주;;;이동해;정홍섭;전병주;문학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45-276
    • /
    • 2008
  • 본 연구는 상표자산의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상표자산 구성요소와 상표자산 영향요인간의 관계 그리고 상표자산 구성요소와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한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상표자산관리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보탐색은 제품지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상표태도와 상표지식은 상표 충성도와 상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표충성도와 상표가치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천의 경우, 한국에서는 제품지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영국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