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Library Open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16초

오픈 액세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학술지 발행기관별 차이 및 학문분야별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among Journal Publisher and among the Academic Disciplines of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Open Access)

  • 고영만;김보애;박태식;이길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31-449
    • /
    • 2009
  • 본 연구는 오픈 액세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학술지 발행기관에 따라 그리고 학문 분야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학술지 발행기관의 오픈 액세스에 대한 태도, 능력, 자신감, 발행기관에 대한 사회적 압력 및 물질적 자원의 다섯 요인이 도출되었다. 학술지 발행기관에 따라서는 사회적 압력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행기관 회원들의 긍정적 인식을 위한 노력과 해당 기관에 대한 물질적 자원이 중요한 것임을 보여 주는 것이다. 학문분야에 따라서는 오픈 액세스에 대한 태도와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오픈 액세스에 대한 홍보 강화 및 능력이 있는 학문분야의 학술지를 오픈 액세스의 우선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대학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채택과 확산 현황 (A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Diffusion Status and Adoption by Academic Libraries)

  • 도태현;정영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7-215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채택 현황을 조사 분석한 것으로 새로운 OPAC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시스템개편을 계획하고 있는 도서관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차세대 OPAC 기능의 예비항목들을 추출하고 이것을 검증하기 위해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에서의 조사대상은 우리나라 191개 대학도서관 전수로 하였으며 데이터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두 명의 연구원이 중복 조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PASW Statistics 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장 많이 채택된 차세대 OPAC 기능은 간단검색창이었고, 그 다음은 결과내검색이었다. 클러스터링, 오픈서치플러그인, 적합성순정렬, 철자오류 수정은 소수의 도서관만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lan S 정책에 대비한 오픈액세스 출판의 추진 및 과제 (Challenges and Tasks of Open Access Publishing for Plan S Policy)

  • 신은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01-124
    • /
    • 2020
  • Plan S는 유럽공동체 등 특정 단체로부터 지원받은 연구논문은 반드시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할 것을 의무화한 정책이다. 이는 연구자에게 APC를 지원하여 오픈액세스 출판을 지원하는 것이기에 골드 오픈액세스 시대를 앞당기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고, 이것이 전환점이 되어 학술출판 생태계가 크게 변화할 가능성도 많다. 이에 이 연구는 Plan S가 연구지원기관, 학회 및 출판사, 연구자, 도서관 등 학술출판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체에게 미칠 영향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아울러 데이터를 수집하여 국내의 골드 오픈액세스 출판 현황과 구성주체별 준비상황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골드 오픈액세스 학술지 비중은 전체의 22%로 세계 수준인 26%에 못 미치고 있었다. 국내의 연구지원기관은 Plan S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대응을 서두르고 있는 반면, 학술지의 약 70%를 생산하고 있는 국내 학회의 오픈액세스 논문 비중은 의약학(51%)을 제외하고는 높지 않았다. 국내 도서관의 이해와 대응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연구의 생애주기에 따라 활발하게 연구지원서비스를 하는 미국을 비롯한 해외 도서관과 대비되었다. 이로써 국내 도서관도 연구자가 오픈액세스 출판을 잘 하도록 연구과제 지원서 작성을 돕고, 오픈액세스 학술지 저작권 상담을 수행하는 등 사서의 연구지원서비스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는 2021년 전격 시행을 앞 둔 Plan S의 추진 배경, 원칙, 영향 등을 알아보고, 국내의 대응 상황을 점검함으로써, 향후 국내 학술출판 생태계의 보존과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공간효율 개선을 위한 폐가식 도서관 운용 -지역 대학도서관 시설을 중심으로- (Library Space Efficiency Improvement Through Closed Access System -Focused on Academic Libraries-)

  • 안준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17-24
    • /
    • 2016
  • Since the users have direct access to search and browse freely, the open access system has been employed to all the usual modern libraries. However, library space shortage problem created by the continuously increasing printed materials caused the degradation of usability and quality of the library space. Open Access system is superior in user convenience but is inferior in space efficiency. Keeping the open access system is considered as one of the reasons of the space shortage problem. Even though the closed access system does not provide free access or easy browsing for the uses, it's space efficiency is much higher than the open access system. The closed access system should be employed as a plan to relieve space shortage problem. Since the closed access system does not allow the public direct access to books, it is very economical. It also provides much better space efficiency with higher book shelving density. In this article, closed access library system model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as the reduction plans for the library space shortage problems.

국내 기관 레포지터리 구축 및 활성화 방안 - KAIST의 KOASAS 사례를 중심으로 -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Methods in Korea - Focused on the KAIST's KOASAS -)

  • 이재민;손청기;이미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3호
    • /
    • pp.179-204
    • /
    • 2008
  • 전통적으로 연구자들은 학술지를 통하여 연구결과를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인정받아 왔으며, 그 이후 학회, 출판사, 대학 등의 단체가 학술지의 출판에 주력함으로서 학술지는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해왔다. 최근 학술정보 유통에서 출판사들의 지나친 가격급등 및 상업화 전략으로 인해 학술정보에 대한 접근과 이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공재인 학술정보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전제로 오픈 액세스(OA)운동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오픈 액세스의 가장 핵심적인 실천전략이라 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기관 레포지터리라고 할 수 있는 DSpace 시스템을 소속 기관의 환경에 맞게 재개발한 KOASAS의 구축 및 운영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대학 및 기관의 레포지터리 구축에 대한 필요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도서관의 장서폐기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eeding in Academic Library Collection)

  • 김미혜;리상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9-278
    • /
    • 2011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효과적인 장서폐기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외 대학도서관의 장서폐기지침과 장서폐기사례를 살펴보고, 장서폐기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국내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서폐기 운영현황과 지침현황을 알아본 후에 이들 내용을 토대로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학도서관 장서폐기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술정보 유통위기 및 해소전략의 해부 (Analysis of Crisis and Alternative in Scholarly Information Communication)

  • 윤희윤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1호
    • /
    • pp.1-32
    • /
    • 2005
  • 현재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위기는 잡지의 위기가 아니라 정보 유통상의 광범위한 위기이다. 그것은 STM 학술지의 구독비용이 대학도서관의 예산 증가율을 상회함에 따라 학술 및 연구자료의 접근력이 축소되거나 상실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오픈 액세스 잡지(OAJ), 저자 셀프 아카이빙(ASA), 학술기관 레포지터리(AIR)를 전략적 수단으로 하는 오픈 액세스가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오픈 액세스의 최근 동향을 개관하고, OA 전략에 내재된 장애요소와 다양한 현안인 학술정보의 공공재 논쟁, 무료접근의 신화와 한계, 저자의 비용지불 모델, 저작권 귀속문제 등을 분석한다.

오픈액세스 학술출판 지원 인터페이스 사용성 평가 및 개선안 사례 연구 (Case Study of Usability Evalua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Open Access Academic Publishing Support Interface)

  • 이정미;황혜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66
    • /
    • 2021
  • 본 연구는 오픈액세스 출판지원 서비스 플랫폼인 AccessON 학술지 리포지터리 인터페이스 중 관리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오픈액세스 출판지원 서비스 플랫폼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인터페이스의 사용경험 응답 수집, 이를 통한 이슈 및 개선점 도출, 타 오픈액세스 출판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제안사항 분석 및 도출이라는 세 가지 연구 질문에 대한 응답을 위해 오픈액세스 출판 및 사용성 평가에 관련된 각종 문헌과 사례같은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설문조사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관리자 인터페이스 사용경험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AccessON 학술지 리포지터리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평가 결과를 각종 수치정보를 통해 제시할 수 있었다. 사용성 평가의 결과는 AccessON 학술지 리포지터리 관리자 인터페이스의 이슈 및 개선점을 제안가능하게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이후 개발될 오픈액세스 학술출판지원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제안사항을 도출할 수 있었다.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A Study on the State of the Service-based Library 2.0 Through Web Sit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 노동조;민숙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4호
    • /
    • pp.195-223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179개 4년제 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의 운영 현황과 실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에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로 가장 많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형태는 (1) 이용자 서평, (2) RSS, (3) 태그, 태그 크라우드, (4) 모바일 앱, (5) Facet 기능, (6) Open API의 순이다. 둘째,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를 가장 많이 제공하는 도서관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전주대학교 중앙도서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다산정보관의 순이며, 5개 이상 9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31개 기관, 4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145개 기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는 9개 항목(이용자 서평, RSS, 모바일 앱, Facet 기능, 블로그, 트위터, 개인화서비스, 소장위치 문자전송, 페이스 북)에서 국공립대학교가 사립대학교보다 운영비율이 높았고, 나머지 6개 항목에서는 사립대학교가 국공립대학교보다 운영 비율이 높았다.

Determinants of Adoption and Use of Open Access Publishing by Academic Staff in Nigeria Universities

  • Bashorun, Musediq Tunji;Jain, Priti;Sebina, Peter M.;Kalusopa, Trywell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4호
    • /
    • pp.49-63
    • /
    • 2016
  • The emergence of the World Wide Web (WWW) has changed the scholarly publishing system. Today, Open Access (OA) scholarly publishing offers free access and wide dissemination for research findings anytime and anywhere as an additional value for scholarly content. Despite the potentials of OA publishing, its adoption and use is still low.This paper determines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and use of OA publishing by academic staff in universities in Nigeria using an adapt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Technology (UTAUT). The study applies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by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he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317 academic staff in universities in southwest Nigeria. The questionnaire form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IBM-SPSS) 19.0 version to generat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matically, analysis also applies to the interviews. The results show that awareness, attitude, performance expectancy, Internet self-efficacy, and facilitating condition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doption and use of OA publishing. The study also reveals that due to lack of OA policy, most of the respondents did not know about OA. The findings further establish that all predictors and moderating variables jointly contributed 64.4% total variance towards the adoption and use of OA publishing. One of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need for adequate facilities to support adoption and use of OA publishing. The findings inform the proposed framework for improving and evaluating the adoption and use of OA publishing. The findings also have theoretical, societal, and methodological significance to all stakehol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