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Discipline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3초

The Lived Space of Mathematics Learning: An Attempt for Change

  • Wong Ngai-Ying;Chiu Ming Ming;Wong Ka-Ming;Lam Chi-Chu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25-45
    • /
    • 2005
  • Background Phenomenography suggests that more variation is associated with wider ways of experiencing phenomena. In the discipline of mathematics, broadening the 'lived space' of mathematics learning might enhance students' ability to solve mathematics problems Aim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1. enhance secondary school students' capabilities for dealing with mathematical problems; and 2. examine if students' conception of mathematics can thereby be broadened. Sample 410 Secondary 1 students from ten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reference group consisted of 275 Secondary 1 students. Methods The students were provided with non-routine problems in their normal mathematics classes for one academic year. Their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their conceptions of mathematics, and their problem-solving performance were measured both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the year. Results and conclusion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problem-solving performance of students receiving non-routine problems improved more than that of other students, but the effect depended on the level of use of the non-routine problems and the academic standards of the students. Thus, use of non-routine mathematical problems that appropriately fits students' ability levels can induce changes in their lived space of mathematics learning and broaden their conceptions of mathematics and of mathematics learning.

  • PDF

지오매틱스/지오인포매틱스의 형성과 교과과정 개발연구 (The Form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of Geomatics/Geoinformatics)

  • 고준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9-270
    • /
    • 1998
  • 본 연구는 최근 대학에서 정규학과로 새롭게 설치되고 있는 지오매틱스/지오인포매틱스 분야의 학문적인 체계화를 위하여 국내외 관련분야의 교과목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시범적인 교과과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오매틱스/지오인포매틱스 교과과정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련학과의 교과과정을 문헌 및 인터넷 등을 통하여 수집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현재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 구축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도시정보화 사업, 시설물관리, 지적도 전산화, 지적재조사 사업 등 관련 분야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시스템통합(SI)업체 등의 사회적 수요를 파악하여 새로이 제시할 교과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오매틱스/지오인포매틱스 분야의 표준 교과과정(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과과정(안)은 종합과학적인 학문적 특성을 고려하여 측량/지도제작 술과 컴퓨터/정보과학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관리와 관련된 계획기법 및 관련법 제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 향후 교과과정(안)에 따라서 표준적인 교재개발과 관련분야 자격증의 신설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와 의사소통 및 효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ilial piety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enagers)

  • 김황기;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134-6141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와 의사소통 및 효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O구의 인문계, 실업계 고등학생 대상으로 2014년 3월부터 7월까지 29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부(父)와의 의사소통은 학교 구분, 경제수준, 종교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며, 모(母)와의 의사소통은 학교구분, 학년, 성적, 가정교육, 경제수준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둘째, 효에 대한 인식은 부(父)와의 의사소통과 모(母)와의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정의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과 부모 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이 원활할수록 효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연구가 정책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기반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의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Micro-learning Contents o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Flow and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Extracurricular Program)

  • 곽찬미;이동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973-980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기반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를 일반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거점 국립대학 G대학교 소속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학습몰입과 학습의욕을 학습효과 측정의 주요 지표로 사용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과 전공계열에 따른 학습몰입, 학습의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고. 학년에 따른 학습몰입, 학습의욕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집단 간 일원분산분석(ANOVA)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별과 학년은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참여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전공계열에 따라 학습몰입과 학습의욕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프로그램은 전공계열에 따라 적절한 환경과 자극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예방교육이 부모의 긍정정서 반응, 양육 스트레스,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연구 (The effects of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on parents' response to positive emotion, parenting stress, and child abuse potential: A randomized controlled pretest posttest design)

  • 김미현;박부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28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Furthermore, the aim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on parents' response to positive emotion, parenting stress, and potential for child abuse.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pretest posttest design was used. A total of 60 participants, who were parents with children aged 1~5 and attending 8 nurserie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Daegu, were recruite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30) and a control group (n=3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d χ2-test along with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IBM SPSS Statistics 25.0.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four modules on child rights, understanding child abuse, proper child discipline,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rumination from the control group (t=2.15, p=.036).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mpening from the control group (t=-2.49, p=.016).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from the control group (t=-2.12, p=.038) and also repor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abuse potential from the control group (t=-2.26, p=.028).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parents can improve positive rumination, reduce dampening, and reduce parenting stress and child abuse potential. Therefore, this study is useful in demonstrating how parental susceptibility to child abuse can be decreased. Future studies should pursue long-term programs and counseling programs.

Multidisciplinary Research Analysis on Virtual Wear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 Su-Joung C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83-192
    • /
    • 2024
  • 본 연구는 가상의류를 키워드로 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상의류 관련 연구를 수집한 후, 가상의류 분야의 연구시기, 내용, 방법 등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가상의류 관련 연구의 진행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상의류 관련 학술지와 학위논문의 학문분야를 분석한 결과, 패션 분야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자연과학 분야, 예술 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상의류 관련 연구의 연도별 분포는 2000년 이후 점차 증가하다가 2016년에서 2020년 사이 감소하고, 코로나 펜데믹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가상의류 연구내용은 마케팅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가상착의, 디자인, 소재, 시스템 등이 있었다. 가상의류 관련 연구방법은 실험 연구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조사연구, 개발 연구의 순이었다. 향후 패션 관련 시스템 개발 연구, 가상 의류의 실효성 검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국외의 가상의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만화 연구 경향 분석과 향후 과제 (The development of the comics studies in Korea)

  • 이상민;임학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6호
    • /
    • pp.1-20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만화를 연구한 논문을 분석하여 그 경향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만화를 주제로 한 학술논문 664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고, 정부와 공공 부문에서 추진한 만화 정책 관련 연구 개발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배경은 우리나라에서 만화 연구가 1990년대 이후부터 중요한 관심분야로 대두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만화의 학문적 정체성과 연구영역, 그리고 연구범위와 방법에 대해서는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는 점과 지금까지 이루어진 만화 연구에 대한 학문적 성찰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 있다. 만화 연구는 주로 교육학 전공자와 인문학 전공자들에 의해 이루어졌고 만화 연구 논문을 게재한 학술지도 교육학과 인문학 성향의 것이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만화 연구 분야는 1980년대까지 만화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다가 1990년대에 이르면서 만화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논문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만화텍스트에 대한 연구도 이 시기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서 만화정책, 만화산업, 만화도시 등에 대한 연구로 다양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아직 만화의 다양한 가치 창출의 힘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만화/만화산업/만화문화에 대한 담론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만화가 독립된 예술형식으로 그 위상을 정립하고, 문화영역의 중요한 요소로 그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만화연구가 체계화되고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만화연구 방향의 몇 가지를 제시해 보았다. 첫째 만화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만화에 대한 학제적 연구가 활성화되고, 연구의 다양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만화지표 및 통계조사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만화 박물관, 도서관의 활용, 만화 연구 커뮤니티의 활성화 등 만화 연구의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 PDF

학문분야별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관리 현황에 관한 연구 - 문헌정보학, 통계학, 생태학 및 한국음악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by Researchers in Each Academic Field: Focusing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atistics, Ecology, and Korean Musicology)

  • 김주섭;김선태;한연중;유원재;전바울;양성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9-247
    • /
    • 2022
  • 오픈 사이언스의 일환으로 정부는 국가 연구데이터 공유 및 활용 전략을 채택하고, 국가 차원의 거버넌스 체제를 구성하여 연구기관이 이행하도록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정책이 학계를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며 이 마저도 현장에 도입하기에는 연구자의 인식도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분야별 연구자의 연구데이터 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학문분야는 문헌정보학, 통계학, 생태학 및 한국음악학을 포함한 4개 분야로 구성하였으며 데이터 관리 현황은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데이터 관리 현황은 연구데이터 생산, 공유 및 관리, 저장, 보존 및 재사용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데이터 저장을 제외하고 데이터 생산, 데이터 공유 및 관리, 데이터 보존 및 데이터 재사용의 경우 학문 분야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Pharmacognosy for Korean Medical Food in the 21st Century

  • Kim, Dong-Myong;Cha, Eun-Chung;Chung, Ku-Jeu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95-102
    • /
    • 2005
  • The term pharmacognosy as applied to a constituent scientific discipline of Korean Medical Food (KMF) has been in use for nearly several years, and it refers to studies on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natural products foods. During the last half of the 20th century, pharmacognosy for KMF evolved from being a descriptive botanical subject to one having a more chemical and biological focus.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eaching pharmacognosy for KMF teaching in academic culinary arts and natural healing institutions has been given new relevance as a result of the explosive growth in the use of herbal foods (health foods) in modern KMF practice. In turn, pharmacognosy for KMF research areas are continuing to expand, and now include aspects of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in relation to natural products, ethnobotany and phytotherapy, in addition to the more traditional analytical method development and phytochemistry. Examples are provided in this review of promising bioactive compounds obtained in two multidisciplinary natural product KMF development and discovery projects, aimed at the elucidation of new plant-derived cancer chemotherapeutic agents and novel cancer chemopreventives, respectively. The systematic study of KMF offers pharmacognosy groups an attractive new area of research, ranging from investigating the biologically active principles of KMF and their mode of action and potential active substance interactions, to sanitary and quality control, and involvement in clinical trials.

선(禪)생태학관점에서 본 전통사찰의 공간조형개념 연구 - 조선시대 선(禪)적 특성이 두드러진 전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Formative Concepts of Traditional Temple viewed in the Seon Ecology - Focused on Traditional Seon Buddhist Temple of Joseon Dynasty -)

  • 이고은;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58-67
    • /
    • 2013
  • Since environmental pollution emerges as an important issue, integration of academic discipline has been accomplished for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thics. Combination of Buddhism and Ecology is the instance of this background. The background of this research is the assumption that from Seon Ecology standpoint, Buddhist temple would define conception of Seon Ecology specifically. The study based on advanced study about Seon Ecology, the peculiarity of Seon Ecology was dependent originations, order, the nature of Buddha, moderation, and impersonated nature. In addition, this study researched how these peculiarity has relation with traditional temples. This attempt has a significance in that finding a new approach of interpreting traditional temple and possibility of Seon Ecology Seon Ecology space formative concepts of traditional temple is cyclical allness, transitory balance, Denial of perfection and natural void characteristics from Seon Ecological studies. This study examined how characteristic of Seon Ecology is reflected in traditional temple, through analyzing Buseoksa-Anyangru, Bongjeongsa-Yeonsanam, Seonamsa simgeomdang, Songgwangsa woohwagak, Hwaamsa woohwaru which hav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selection using above space formative concepts. traditional temple was filled with life coexisted with dynamics, independence, and equality within inter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