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scisic acid (ABA)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5초

Pentafluorobenzyl ester 화(化)에 의(依)한 미량(微量) Abscisic Acid 의 GLC 분석법(分析法) (A Micro-quantification of Abscisic Acid from Plant Tissue by Pentafluorobenzyl Esterification Using GLC)

  • 정영호;홍무기;송병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4-117
    • /
    • 1985
  • 식물체내(植物體內) ABA의 미량분석법(微量分析法) 개발(開發)을 위(爲)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식물체(植物體)의 ABA 추출물(抽出物)을 pentafluorobenzyl bromide로 ester 화(化)시켜 ABA-PFB ester 형태(形態)로 GLC-ECD 분석(分析)하므로서 ABA-methyl ester 보다 높은 감도(感度)를 보여 5 pg의 ABA 까지 측정(測定)이 가능(可能)하였다.

  • PDF

Gibbrellic Acid와 Abscisic Acid가 보리 초엽(?葉)의 핵산(核酸) 및 핵산분해효소(核酸分解酵素)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Gibbrellic Acid and Abscisic Acid on Ribonucleic Acid and Ribonuclease in Barley Coleoptiles)

  • 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2호
    • /
    • pp.242-246
    • /
    • 1977
  • 보리(Hordeum vulgare cultivar Sedohadaka)초엽에 $1{\times}10^{-5}M$ Gibbrellic acid 및 $1{\times}10^{-5}M$ Abscisic acid를 처리(處理)하여 RNase활성(活性)의 경시적(經時的) 소장(消長)을 무처리구(無處理區)와 비교(比較)하고, 핵산(核酸)의 형태(形態)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GA는 RNase의 활성(活性)을 억제(抑制)시키는 반면(反面)ABA는 촉진(促進)시켰다. 2)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 정상적인 식물(植物)에 비(比)하여 r-RNA의 비(比)가 낮고 r-RNA의 비(比)가 높았는데 이것은 배양(培養)중 RNase의 작용(作用)에 의한 것 같다. 3) GA는 r-RNA의 분해(分解)를 완화시켰으나 ABA는 촉진(促進)시켰는데 이것은 RNase의 활성(活性)과 관계된 것 같다. 4) GA는 DNA-RNA 복합체(複合體)의 합성(合成)을 촉진(促進)시켰으나 ABA는 이를 억제시켰다. 5) ABA에 의한 s-RNA의 증가(增加)는 r-RNA의 분해산물(分解産物) 때문이라 생각된다.

  • PDF

무우 유식물의 자엽에서 Abscisic acid와 Polyamine 처리에 의한 아미노산 변화의 분석 (Analysis of the Change of Amino Acids by Abscisic acid and Polyamine Treatment in Radish Young Cotyledons)

  • 조봉희
    • 분석과학
    • /
    • 제12권5호
    • /
    • pp.441-446
    • /
    • 1999
  • 무우 유식물의 자엽에서 Abscisic acid(ABA). ABA plus cyeloheximide(CH)와 ABA plus polyamine(PA) 처리로 유도되는 아미노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ABA 처리로 봄무우에서는 총 아미노산의 농도가 증가되었고, 겨울무우에서는 감소되었다. 봄무우에서는 친수성 아미노산인 proiine, glycine, serine과 cysteine 등이 증가되었고(특히 proline), 반면 겨울무우에서는 cysteine, leucine와 phenylalanine이 증가되었다(특히 cysteine과 leucine). CH는 ABA가 유도시킨 탈수에 대항할 수 있는 단백질의 합성을 방해하여 아미노산의 축적을 초래하였다. PA처리는 반대로 봄무우에서는 총 아미노산의 농도가 감소되었고, 겨울무우에서는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축적된 친수성 아미노산과 단백질이 스트레스에 대항하여 탈수의 적응을 유도하였고, PA은 ABA에 의한 탈수 스트레스의 적응능력을 조절한다고 본다.

  • PDF

합성 ABA 유도체의 벼 유묘 생장저해 작용 (Synthesis of Abscisic Acid Analog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y on Growth of Rice Seedling)

  • 이상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9-273
    • /
    • 1997
  • 천연의 (S)-(+)-ABA 보다 우수한 생육저해 활성을 갖는 ABA 유도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p-hydroxy methyl cinnamate와 umbelliferone을 (S)-(+)-2-cis, 4-trans-ABA에 ester 결합시켜서 ABA-methyl cinnamate ester(AC)와 ABA-umbelliferone ester(AU) 화합물을 각각 83%와 78%의 높은 수율로 얻었다. 이들의 벼 유묘 생육저해 활성은 (+)-ABA에 비해서 AC가 $3{\sim}10$배, AU가 $10{\sim}30$배 정도로 훨씬 더 강한 활성을 보였다.

  • PDF

The Shaker Type Potassium Channel, GORK, Regulates Abscisic Acid Signaling in Arabidopsis

  • Lim, Chae Woo;Kim, Sang Hee;Choi, Hyong Woo;Luan, Sheng;Lee, Sung Ch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684-691
    • /
    • 2019
  • Evolution of adaptive mechanisms to abiotic stress is essential for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Plants adapt to stress conditions by activating the abscisic acid (ABA) signaling pathway.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ABA receptor, clade A protein phosphatase, SnRK2 type kinase, and SLAC1 anion channel ar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ABA signaling pathway. In this study, we report that the shaker type potassium (K+) channel, GORK, modulates plant responses to ABA and abiotic stresse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full length of PP2CA is needed to interact with the GORK C-terminal region. We identified a loss of function allele in gork that displayed ABA-hyposensitive phenotype. gork and pp2ca mutants showed opposite responses to ABA i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Additionally, gork mutant was tolerant to the NaCl and mannitol treatments, whereas pp2ca mutant was sensitive to the NaCl and mannitol treatments. Thus, our results indicate that GORK enhances the sensitivity to ABA and negatively regulates the mechanisms involved in high salinity and osmotic stresses via PP2CA-mediated signals.

염 및 건조스트레스 하에서 포복형 백리향의 생육과 Abscisic Acid 농도변화 (Growth and Abscisic Acid Changes of Creeping Thyme in the Exposure of NaCl and Drought)

  • 김민제;엄석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28-334
    • /
    • 2009
  • Experimental purpose was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 and abscisic acid (ABA) responses against salt/drought stresses. In the shoot biomass, creeping thyme was tolerated in mild NaCl stress, ranging 0 to 100 mM, while it was severely reduced in higher salinity. Under constant drought stress, the shoot biomass of creeping thyme showed a worse value compared to that of 100 mM NaCl treatment. Chlorophyll degradation was more severe in immature leaf than mature leaf under salt and drought stresses. In salt stress, immature leaf produced much amounts of ABA compared to mature leaf and also immature leaf showed faster increase of ABA than that of mature leaf. In drought stress, immature leaf responded to stress within 24 hours by the increase of ABA, while mature leaf responded to at 72 hours. Our results recommended that the optimal salinity level of creeping thyme was 50~100 mM NaCl.

방사면역측정법에 의한 수도종자발아중 Abscisic Acid 함량변동 (Changes in Abscisic Acid level During Seed Germination of Rice by Radioimmunoassay)

  • 황태익;임현옥;김용재;이민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3-62
    • /
    • 1985
  • Abscisin산(ABA)의 방사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발아과정에 있는 수도에 있어서 ABA함량이 어떻게 변동되는가를 구명하였다. 수도종자중에 함유된 ABA함량은 동진벼에 있어서는 76.5ng/g 건물중이었고 삼강벼는 91.1ng/g 건물중이었다. 발아중에 있는 수도의 ABA함량은 종자 침지후 24시간내에 크게 감소되었으며 이와같은 ABA감소율은 침지온도와 발아중 수분흡수율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수도발아중 ABA의 감소는 조직내 ABA가 침지액중으로 일부 용출되고 일부는 조직내에서 다른 화합물로 대사되는 것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수도의 발아는 체내의 함량이 일정수준 이하에서만 일어나며 발아중 ABA함량의 감소율이 수도의 품종간 저온 발아성과도 관련이 있었다.

  • PDF

Abscisic acid(ABA) 및 fluridone의 처리가 'Hongro' 사과의 과피 착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bscisic Acid (ABA) and Fluridone on Red Coloration of 'Hongro' Apple Fruit Skins)

  • 류수현;권용희;도경란;정재훈;한현희;한점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40-248
    • /
    • 2016
  • 식물 호르몬의 일종인 ABA의 처리가 사과 과피의 착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착색이 시작되는 시기의 'Hongro' 사과에 abscisic acid (ABA)와 ABA의 생합성 저해제인 fluridone (FD)을 처리한 뒤 과피의 색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ABA와 FD 처리에 의해 'Hongro' 사과의 착색이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과피의 붉은 색을 나타내는 hunter a값이 처리 7일 후까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실제 과피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과피의 hunter a값의 변화와 같은 경향을 보이며 증가하였으며, ABA나 FD의 처리가 과피의 안토시아닌 축적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ABA의 처리 직후 과피의 내생 ABA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처리 종료 시까지 높게 유지되었다. FD 처리구의 과피 내 ABA함량은 처리 6시간 후부터 대조구보다 낮아지다가, 처리 4일 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ABA의 처리에 의해서 과피의 MdNCED2 (ABA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MdACO1 (ethlyene 생합성 유전자) 및 안토시아닌 생합성 유전자 중 MdCHS와 MdDFR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MdUFGT의 발현량은 ABA 처리에 의해서 변화가 없었다.

Indole acetic acid 와 Abscisic acid 가 핵산(核酸)과 RNase 에 미치는 영향에 관(關)하여 (The Effect of Indole Acetic and Abscisic Acid on Ribonucleic Acid and Ribonuclease)

  • 조도현;이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3호
    • /
    • pp.181-186
    • /
    • 1972
  • 소맥 자엽초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식물생장 조질제인 교dole acetic acid (IAA)와 abscieic acid (ABA)를 처리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AA는 고분자 핵산의 F2와 F3을 감소시킨 반면에 ABA는 F4를 증가 시켰다. 2. IAA는 G2 isozyme의 활성도를 증가시켰으나 G3 isogyme의 활성도는 ABA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3. 상기의 결과로 부터 IAA와 ABA는 핵산과 RNase에 대하여 어느정도 공통되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암시됨을 알수 있었다. 4. SH group을 저해하는 pb, p-hydroxymercury benfoa 둥에 의해서 발현되는 latent RNase의 활성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벼의 오존피해 경감에 미치는 ABA의 효과 (Effects of Abscisic acid on Ozone Injury in Rice)

  • 김주령;손태권;조정환;이상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74-185
    • /
    • 2002
  • 벼의 오존 처리에 따른 피해 경감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자포니카품종인 화명벼와 통일형 품종인 남천벼에 오존처리와 함께 식물생장조절제인 ABA를 농도별로 30일 동안 엽면 처리한 후 분얼기 및 수잉기에 생육, 수량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오존처리에 의해 화명벼 수잉기의 ABA무처리에서 가장 낮은 초장억제를 보였고 ABA $10^{-4}$ M 처리에서 초장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분얼기의 오존처리에 의한 분얼수의 감소는 크지 않았으나 분얼수 확보를 위해서는 $10^{-4}$ M 처리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명벼 분얼기 오존처리의 경우는 ABA $10^{-4}$ M, 화명벼 수잉기 오존처리의 경우는 $10^{-3}$M, 남천벼 분얼기 오존처리의 경우는 ABA $10^{-4}$ M,그리고 남천벼 수잉기 오존처리의 경우는 ABA $10^{-4}$ M처리가 엽록소 함량 감소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ABA $10^{-5}$M처리를 할 때 오존 피해에 의한 수량 감소를 최소화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남천벼 분얼기 오존처리의 경우 모든 ABA 처리에서 SOD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APX는 분얼기와 수잉기 화명벼의 오존 15일간 처리에서 활성이 약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얼기 벼의 GPX활성이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