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ility of understanding

검색결과 1,355건 처리시간 0.029초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이해 교과목이 공감능력과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subject on the Empathy and Multicultural Attitude of Nursing Student)

  • 황혜영;전열어;허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06-115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다문화이해 교과목이 다문화 공감능력과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행된 단일군 전후 비교조사 연구이다. 다문화이해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대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13주간의 다문화이해 교과목 수강 전후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t-test, ANOVA 분석과 사후검증은 Scheffe로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공감능력이 향상되고, 다문화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공감능력은 연령이 어릴수록, 외국인 친구가 있는 경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다문화 태도는 적극성과 개방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향후 교과 과정 내에서 간호 대학생들의 다문화 역량이 증가될 수 있는 다문화 이해 프로그램의 검증과 효과성의 확인이 필요하며, 효과성의 지속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산 결과의 의미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in Results of Arithmetic Operation)

  • 노은환;강정기;정상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211-244
    • /
    • 2015
  • The arithmetic operation have double-sided character. One is calculation as a process, the other is understanding in results as an outcome of the operation. We harbored suspicion on students' misunderstanding in an outcome of the operation, because the curriculum has focused on the calculation, as a process of arithmetic operation. This study starts with the presentation of this problem, we tried to find the recognition ability and character in the arithmetic operation. We researched the recognition ability for 7th grade 27 students who have enough experience in arithmetic operation when studying in elementary school. And we had an interview with 3students individually, that has an error in understanding in results of arithmetic operation but has no error in calculation. We focused on 3students' detailed appearance of the ability to understand in results of arithmetic operation and analysed the changing appearance after recommending unit record using operation expression. As a result, we could find the abily to underatanding in results of arithmetic operation and applicability to recommend unit record using operation expression. Through these results, we suggeste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understanding in results of arithmetic operation.

수학 우수아의 통계적 개념 이해도 조사 (An Investigation of Mathematically High Achiev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Concepts)

  • 이경화;유연주;홍진곤;박민선;박미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547-561
    • /
    • 2010
  • 통계학은 학교수학의 일부분으로 포함되어 있지만 전통적인 수학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통계 고유의 특징에 대한 교육 연구, 특히 학교수학의 다른 영역과 차별되는 통계적 개념 이해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와 논의가 매우 부족하다. 그러므로 수학적 사고 능력과 통계적 개념 이해 능력이나 통계적 사고 능력 사이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통계적 사고의 근간을 이루는 몇 가지 핵심 개념들을 추출한 후, 수학적으로 우수한 능력을 갖춘 학생들이 이 통계적 개념들을 이해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수학적으로 우수한 능력을 갖춘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발달시킨 개념과 발달시키지 못한 개념이 있었다. 수학적 능력과 통계적 개념 이해 수준 사이에는 낮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PDF

문제 해결력과 수학문제의 분류 관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lassific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 김철환;박배훈;정창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9-13
    • /
    • 1988
  • Mathematics education is generally to cultivate mathematical thought. Most meaningful thought is to solve a certain given situation, that is, a problem. The aim of mathematies education could be identified with the cultiv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To cultivat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nature of mathematical ability and its aspects pertaining to problem-solving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lassficational viewpoint of mathematical verbal problems, and bet ween the detailed abilities of problem-solving procedure and classificational viewpoint of mathematical verbal problems. With the intention of doing this work, two tests were given to the third-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one is problem-solving test and the other classificational viewpoint test. The results of these two tests are follow ing. 1. The detailed abilities of problem-solving procedure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such as ability of understanding, execution and looking-back. 2. From the viewpoint of structure and context, students classified mathematical verbal problems. 3. The students who are proficient at problem-solving, understanding, execution, and looking-back have a tendency to classify mathematical verbal problems from a structural viewpoint, while the students who are not proficient at the above four abilities have a tendency to classify mathematical verbal problems from a contextual viewpoint. As the abov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1. The students have recognized at least two fundamental dimensions of structure and context when they classified mathematical verbal problems. 2. The abilities of understanding, execution, and looking- back effect problem-solving ability correlating with each other. 3. The instructi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structure of mathematical problems could be one of the methods cultivat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 PDF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능력과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Respect and Cognitive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Media Utilization and Critical Media Understanding)

  • 김다솔
    • 한국교육논총
    • /
    • 제43권1호
    • /
    • pp.29-57
    • /
    • 2022
  • 이 연구는 한국 미디어패널 2020의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능력, 자아존중감, 인지 욕구가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PC 활용 능력과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은 청소년의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에 영향을 주었다. PC,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인터넷 활용 능력과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 사이에서 인지 욕구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PC와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이메일 활용 능력과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 사이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의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PC와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을 높이는 동시에 PC와 스마트기기를 교육적인 상호작용의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보 및 기술 교과는 인지 욕구를 높일 수 있는 미디어 활용 능력 중심의 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그 외의 교과에서 미디어를 활용한 협동학습이 바람직하다.

A Study on UI/UX and Understanding of Computer Major Students

  • JOO, Heon Si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6권4호
    • /
    • pp.26-32
    • /
    • 2017
  • In this study, we showed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ability of the interface about internet, operating system, contents, and devices. This study aimed to make a list of 18 items in 4 areas for basic knowledge of UI/UX, establishment of design research, design concept, and design production for 22 sophomore, junior and senior students in IT departments, and the results of understanding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excellent, normal, and insufficient, and evaluated. It was found that excellent was 18.39%, average was 38.52% and insufficient was 43.07%. Therefore, 18.39% of the students understood UI/UX, and 81.61% of students did not understand UI/UX well. In particular, in the comparison analysis of four areas, the design research area was 44 points, the design content area was 29 points, and the design production area was 11 points which was found to be the lowest. Next, the 10 evaluation items in the mobile UI/UX build guide evaluation were evaluated in the same way as the UI/UX understanding, and the excellent score was 3 points, the average score was 73.3 points, and the poor score was 155 points. The UI/UX build guides showed worse evaluation than UI/UX understanding. Therefore, to cultivate UI/UX understanding and content production ability, UI/UX experts should be fostered with professional course organization and systematic curriculum.

Influences for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Chemistry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chemical subjects in high school

  • Koo, Min Ju;Park, Jong 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37-24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n the understand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chemistry according to chemical grades in high school and College Scholatic Ability Test.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leted subjects in high school and the elective subjects in the Test,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chemistry according to the subjects completed in high school, and th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chemistry by dint of the chemical grades in high school and the Test, etc. By the results of the student's perception survey, most of the students choose Chemistry I at the Test.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chemistry was greatly affected by the chemical elective subjects of high school. Chemical grades in high school and the Tes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chemistry.

초등과학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지식수준과 공간지각 능력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level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ience)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52-26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out the correlation of level of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o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ienc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3, for 15 weeks, the classes were conducted for 3 hours per week and we find out knowledge Understanding degree and select terms offered by 5th grade science courses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s', 'Earth and Moon', 'change of seasons' section and measured space perception ability degre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a questionnaire.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understanding level of knowledge in the field of astronom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wed a low level of knowledge understanding as it goes the upper grades about upper concept in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s', 'Earth and Moon', 'change of seasons' section' of astronomy area of elementary science 'Earth and space sector'.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to acquire knowledge of astronomy area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dividually in 'finding solid body' of sub-element of space perception ability. This shows that 'finding solid body' factor is associated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Third, in the section of 'The earth and the Universe' for elementary education, 'Reflection' and 'Finding solid body' which are low-level components of space perception ability were verified that have a corelationship with general grades in the astronomy conception test.

비유를 사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대응 이해 및 대응 오류 유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Mapping Understanding, Mapping Errors and Cognitive/Affective Variables in Learning with Analogy)

  • 김경순;황선영;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50-157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비유를 사용한 '농도와 반응속도'에 대한 학습에서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변인들의 상 하위 수준에 따른 대응 관계 이해도와 대응 오류 유형의 차이를 비교하고, 이 변인들과 대응 관계 이해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사전검사로 논리적 사고력, 시각적 심상화 능력, 비유 추론 능력, 자아 효능감, 인지욕구 검사를 실시하였다. 비유를 사용한 수업을 진행한 후, 친숙도 검사와 대응 관계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적 심상화 능력과 친숙도를 제외한 모든 인지적 정의적 변인의 수준이 상위인 학생들의 대응 관계 이해도 점수가 하위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과잉 대응, 대응 불이행, 불가능한 대응, 인위적 대응, 부적절한 대응, 무분별한 대응, 비유물 속성 보유 등의 대응 오류 유형의 빈도가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변인의 수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학생들의 대응 관계 이해도 점수는 모든 인지적 정의적 변인들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다중 회귀 분석 결과, 과학 성취도, 논리적 사고력, 친숙도가 대응 관계 이해도에 대한 유의미한 예언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분자 구조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이해도와 인지 변인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olecular Structure and Cognitive Variables)

  • 노태희;서인호;차정호;김창민;강석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97-50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165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분자 구조에 대한 개념 이해도와 인지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두 학기 동안 '고등학교 화학 II 과목을 학습한 후, 분자 구조에 대한 개념, 공간 지각 능력, 논리적 사고력, 기억 용량, 학습 접근 방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분자 구조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는 불완전하였으며, 몇 가지 오개념이 발견되었다. 개념 검사 점수는 모든 인지 변인 검사 점수들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개념 이해에 대한 인지 변인들의 예언력을 조사하기 위해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미 학습 접근 방식이 가장 큰 예언력을 나타내었고, 논리적 사고력, 기계적 학습 접근 방식, 기억 용량의 순으로 예언력이 컸다. 그러나 공간 지각 능력은 예언력이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