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Ameliorative effect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o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vitro and in vivo

  • Choi, Young-Jin;Fan, Meiqi;Tang, Yujiao;Moon, Sangho;Lee, Seung-Hyun;Lee, Bokyung;Bae, Sung Mun;Lee, Sang Moo;Kim, Eun-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4호
    • /
    • pp.419-434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is the most common prostate disease and one of the most common chronic diseases caused by aging in men.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BPH using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 distichum).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distichum on BPH. MATERIALS/METHODS: A. distichum leaves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70% ethanol, and 95% hexane as solvents. Subsequently, the inhibitory effects of each A. distichum extract on androgen receptor (AR) signaling were evaluated in vitro. The testosterone-induced BPH model was then used to confirm the efficacy of A. distichum leaves in 70% ethanol extract (ADLE). RESULTS: ADLE ha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 on AR signaling. A comparison of the activity of ADLE by harvest time showed that the leaves of A. distichum harvested in autumn had a superior inhibitory effect on AR signaling to those harvested at other times. In the BPH rat model, the administration of ADLE reduced the prostate size and prostate epithelial cell thickness significantly and inhibited AR signaling. Subsequently, the administration of ADLE also reduced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thereby inactivating the PI3K/AKT pathway. CONCLUSIONS: An analysis of the efficacy of ADLE to relieve BPH showed that the ethanol extract grown in autumn exhibited the highest inhibitory ability of the androgen-signaling related factors in vitro. ADLE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the androgen-signaling related factors in vivo. Overall, ADLE is proposed as a functional food that is effective in preventing BPH.

미선나무의 저온 추출 공정에 의한 항주름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wrinkle Activiti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through Low Temperature Extraction Process)

  • 김남영;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1-236
    • /
    • 2015
  • Skin anti-wrinkle activities of the stems and leav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ere evaluated by the extracts obtained from various extraction processes such as using hot water at $100^{\circ}C$, 70% ethanol at $85^{\circ}C$, and 70% ethanol with ultrasonication at $60^{\circ}C$ The ultrasonicated extract showed 95.62% of the highest cell viability in addition of $0.3mg/m{\ell}$ of the extracts into the normal human fibroblast cell, CCD-986sk. For antioxidant activities, the extracts using ultrasonicated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 80.27%, followed by 75.88% and 62.44% for the extracts using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The ultrasonicated extract also showed the highest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as 25.32%, compared to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based method at 22.01% and 12.88%, respectively. MMP-1 production was most effectively decreased down to $2908.1pg/m{\ell}$ with ultrasonicated extract while $6640.8pg/m{\ell}$ with water extract and $3609.3pg/m{\ell}$ with ethanol extract, in addition of $0.3mg/m{\ell}$. Collagen production was increased up to $154.7ng/m{\ell}$ in addition of ultrasonicated extract, and followed by $121.4ng/m{\ell}$ and $31.2ng/m{\ell}$ for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thanol extract should have skin anti-wrinkling activities and can be improved by the ultrasonication process that high energy input elute more amounts of bioactive substances eluting more amounts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the high energy input of ultrasonication.

Evaluation of the wound healing ability of an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extract in ICR mouse and of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uman cutaneous flora

  • Go, Young Bin;Lee, Ji Hwan;Oh, Han Jin;Kim, Yong Ju;An, Jae Woo;Chang, Se Yeon;Song, Dong Cheol;Cho, Hyun Ah;Cho, Jin 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3호
    • /
    • pp.567-574
    • /
    • 2021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wound healing rate and, inflammatory cells effects of by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DN) extract in mice. We also assessed the stability of the ADN extract upon exposure to sunlight. Treatments were as follows: 1) CON (only saline solution), T1 (CON + 0.0125% ADN extract), T2 (CON + 0.05% ADN extract), and T3 (CON + 0.5% ADN extract). A 4 mm punch was us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dorsal area to separate it from the subcutaneous tissue, causing a full-thickness skin wound. An amount of 1 mL of each sample was sprayed onto the treatment section of the wound with a pipette every day from the day of wound creation, with proper application ensured using brush. In the stability test, the pH was measured at 1, 4, and 8 weeks after exposing the samples of each treatment section to sunlight considering, the higher concentrations of the ADN extra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wound contraction rate in the mice to which the ADN extract was applied was low. Moreover, the stability of the sample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the ADN extract could not be verified. In addition, no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inflammatory reaction assessment.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focusing on wound contraction, stability, and inflammatory cell outcomes of the ADN extract is needed.

개나리와 미선나무의 새로운 자생지 보고 (Recently Augmented Natural Habitats of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nd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Korea)

  • 신현탁;이명훈;김용식;이병천;윤정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4-277
    • /
    • 2010
  • 본 연구는 개나리와 미선나무의 새로운 자생지의 보고이다. 개나리의 자생지는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에서 발견하였다. 자생지의 규모는 $5m{\times}5m$크기로 12개체가 생육 중이었으며 그 중 3개체는 7-10 cm 정도의 유묘였다. 자생지의 식생은 주로 소나무와 아까시나무가 우점하는 2차림으로 교목층의 피도는 15% 정도였으며, 관목층의 피도는 40%로 조팝나무가 우점하였다. 경상북도 의성읍에서 발견한 미선나무는 하천변에 위치하여, 전석지 혹은 돌이 많은 곳으로, 하천을 따라 15개의 패치(patch)상으로 분포하고 있다. 자생지 크기는 $50m{\times}15m$로 약 $750m^2$이며, 교목과 아교목층은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관목층은 산팽나무가 우세하였다. 기존의 보고 및 새롭게 밝혀진 개나리와 미선나무의 자생지를 대상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 종보전위원회의 적색목록 평가기준의 하나인 분포역(EoO)를 적용하여 미선나무에 대한 분포역을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 면적$21,513Km^2$로 산출하였다.

Inhibitory Effects of The Flower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cv. Okhwang 1 on Melanogenesis in B16 F10 Cells

  • Mi-Ji Noh;Hye-Jeong Park;So-Yeon Han;Jeong-Yong Park;Seo-Hyun Yun;Soo-Yeon Kim;Tae-Won Jang;Jae-Ho Par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53
    • /
    • 2021
  •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 distichum), endemic species of Korea,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etals and calyx colors. Recently, A. distichum cv. Okhwang 1, which has the golden flower, designated the first official cultivar improved from A. distichum species. The study on the chloroplast genome of A. distichum cv. Okhwang 1 have been reported, but no studies on bioactivity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have been progres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hibition on melanogenesis of the flower from A. distichum cv. Okhwang 1 (FAO).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s. Inhibition effects on melanogenesis of FAO were confirmed by expression of tyrosinase-related proteins and mRNAs using immunoblotting and RT-qPCR. Tyrosinase is an enzyme that regulates both stimulation and inhibition of melanogenesis. Stimulated MITF in cellular levels increases the expressions of tyrosinase, TRP-1, and TRP-2 to induce melanogenesis. As a result, FAO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ITF, followed by down-regulated tyrosinase, TRP-1, and TRP-2, which lead to inhibit melanin overproduc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AO re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marked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elanin-related factor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providing that FAO has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derived from natural.

  • PDF

액아배양에 의한 희귀 수종 미선나무의 기내번식 (Micropropagation of a Rare Species,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via axillary bud culture)

  • 문흥규;석진영;권영진;손성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3-136
    • /
    • 1999
  • 미선나무의 기내번식을 위하여 MS배지에 세 가지 싸이토키닌 (zeatin, kinetin 및 BA)을 세 가지 농도로 처리하여 액아 배양을 실시하였다. 줄기유도는 BA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생장은 zeatin이 좋았다. Kinetin은 2.0 및 5.0 mg/L 처리에서 줄기발생 효과가 있었으나 그 효과는 zeatin, BA에 비해 저조했다. 500 lux정도의 약광 하에서 배양은 싸이토키닌 처리에 관계없이 줄기의 생장을 촉진하였다. 발근은 IBA가 첨가된 1/2 GD배지에서 주효했다. 발근된 개체는 인공배양토에서 100% 활착되었고, 정상 생장이 가능했다. 이상의 결과에서 미선나무의 기내 번식이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 PDF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새로운 미선나무 자생지의 식물학적 연구 (A Study on the Botany of New Natural Habita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오현경;소민석;노재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2호
    • /
    • pp.4-25
    • /
    • 2011
  • 본 연구대상지인 미선나무 자생지는 2010년도에 새롭게 확인된 곳으로, 일반인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지역에 입지하고 있다. 이 자생지는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청림 소재 미선나무 군락지(천연기념물 제370호)에 비해 개체수가 많고 생육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천연기념물로써의 가치여부 및 모니터링자료로 활용하고자 식생 및 토양환경을 면밀히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새로운 미선나무 자생지의 식물상은 45과 82속 93종 4변종 3품종으로 총 10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에는 미선나무(멸종위기종), 개족도리(약관심종), 이팝나무(약관심종)가 발견되며, 특산식물에는 고광나무, 미선나무, 병꽃나무, 청괴불나무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미선나무 자생지는 부안호로 유입되는 백천유역의 북서사면 낮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풍화토인 전석지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미선나무 자생지는 밤나무군락 3개소, 느티나무군락 3개소, 졸참나무군락 1개소 등 7개 군집구조로 구분되었다. 이중 층위별 중요치는 밤나무군락에서 말채나무, 굴피나무, 은사시나무, 느티나무, 까마귀베개, 팽나무 순으로, 느티나무군락에서 팽나무, 갈참나무, 때죽나무, 굴피나무, 당단풍, 복자기 순으로 나타난 반면 졸참나무군락에서는 굴참나무, 밤나무, 산벚나무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미선나무의 중요치는 밤나무군락에서 6.6%, 느티나무군락에서 5.6% 그리고 졸참나무군락에서 5.1%로 분석되었다. 또한 7개의 조사구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산도, 전기전도도, 유효인산, 유기물함량, 치환성양이온(칼륨, 칼슘, 마그네슘)을 분석한 결과, 조사구 3번인 느티나무군락에서 다른 조사구나 군락에 비해 토양의 화학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희귀 수종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기내 증식 및 발근에 미치는 LED (light emitting diode) 효과 (Effect of LEDs on shoot multiplication and rooting of rare plant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 이나념;최용의;문흥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94-99
    • /
    • 2014
  • 희귀 멸종위기 식물인 미선나무를 재료로 기내 증식 및 발근에 미치는 광질 및 절편체(정아지 및 액아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광질은 냉백색 형광등(F), 100% 청색광 LED(B), 혼합광(BR; 50% blue LED+50% red LED) 및 100% 적색광(R)을 사용하였다. 줄기의 증식은 절편체 종류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광질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줄기의 증식은 청색광 및 혼합광에서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청색광에서는 일부 절편에서 발근이 이루어 졌다. 줄기의 생장 역시 광질에 따른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적색광에서 줄기 신장이 촉진된 반면 잎의 발달은 저조하였다. 발근은 전반적으로 광질에 관계없이 정아지가 액아지보다 양호하였고, 뿌리수도 증가하였으나 혼합광에서는 발근이 억제되었다. 한편 적색광에서는 뿌리의 발달이 매우 부진하여 다른 광질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발근유도 시 줄기는 주로 단일 줄기로 자랐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LED를 이용한 미선나무의 기내번식은 정아지를 절편으로 청색광 및 혼합광 LED (BR) 하에서 배양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방법에 따른 미선나무 잎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resh and air-dried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ves)

  • 장성준;전남배;박주원;장태원;정진부;박재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7-35
    • /
    • 2018
  • 건조 방식에 따른 미선나무 잎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결과, 높은 항산화 활성를 나타냈으며, 건조 잎에 비해 생잎의 항산화 활성이 뛰어났다. 페놀류 화합물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미선나무의 활성물질로 알려진 acteoside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생잎의 acteoside의 함량이 높았다. 또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nitric oxide의 함량 및 세포 수준에서의 염증 관련 인자인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수준을 확인한 결과, 생잎의 억제활성이 건조잎보다 높았다. 이를 통해 건조 잎에 비해 생잎의 이용가치가 높았으며, 이러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은 acteoside의 함량의 차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