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M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32초

사용자 요구 기반의 AIS-ASM 표준통신메시지 개발에 관한 연구 (AIS-ASM Standardised Communication Message Development Based on Users' Communication Needs at Sea)

  • 최승희;안영중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39-645
    • /
    • 2017
  • Application Specific Messages(ASM)은 다수 선박들의 AIS사용으로 인한 통신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MO, ITU, IALA와 같은 국제기구들에 의해 해상에서의 적용이 결정되었다. ASM을 이용한 통신은 기상 정보, 사고보고 및 항해 경고를 포함하여 해양에서 많은 양의 안전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ASM통신 시스템은 음성을 통한 선박 간, 선박과 육상 간(4S) VHF통신의 일부를 메시지로 전달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상의 4S통신에서 중요도가 높은 문장을 표준통신메시지로 선정하여 ASM통신에 이용한다면, 정확하고 신속한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할 것이다. 표준통신메시지의 결정은 사용자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57명의 항해사와 50명의 Vessel Traffic Service(VTS) 관제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결과를 분석하여 해상통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53개의 표준통신메시지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표준통신메시지는 해상에서 사용되는 주요 문장들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이며, ASM을 이용한 통신장비 및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참고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장갑무기체계 현대화 계획(ASM)

  • 허선무
    • 국방과기술
    • /
    • 4호통권158호
    • /
    • pp.59-65
    • /
    • 1992
  • 미국의 장갑무기체계 현대화(ASM)계획은 일련의 계열모듈을 사용하여 전차, 자주포, 보병전투기무기, 공병체계 및 유도무기 등을 모두 같지는 않더라도 유사한 차체 즉 공통자체(Common Chassis)위에 올려 체계를 구성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계획의 규모는 총 예산이 약 4조원(5백 50억불)에 이르며, 6천대의 ASM계열을 생산할 예정이다

  • PDF

ASM과 컬러 분산 스네이크 기법을 이용한 혀 영역 검출 (The tongue dominant region detection using ASM and Color Variance Snake Algorithm)

  • 박진웅;송원창;강선경;정성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253-256
    • /
    • 2011
  • 본 논문은 기존의 디지털 설진 시스템이 아닌 임베디드 환경에서의 실시간 설진 진단 방법을 제안한다. 임의의 환경에서 얻어낸 이미지에서 혀 영역의 추출과 추출된 영역에서의 혀의 상태를 진단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다양한 조명환경에서의 영상으로부터 혀 영역을 추출해 내는 방법으로는 ASM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검출률이 낮아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ASM과 물체 외곽 정보 복원에 기반을 둔 컬러 분산 스테이크 기법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능동형태모델 기반 다시점 영상 추적 (Multiview Tracking using Active Shape Model)

  • 임재현;김대희;최종호;백준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9-183
    • /
    • 2007
  • 다시점에서의 다중 객체 추적은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다시점 영상 추적은 두 객체가 서로 근접하면 하나로 인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능동형태모델(active shape mode: ASM)을 들 수 있다 ASM은 훈련집합을 이용하여 다른 객체에 가려진 목표 객체를 추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겹쳐진 객체를 추적하기 위해 ASM 기반의 다시점 추적 알고리듬(Multi-view tracking using ASM: MVTA)에 대해서 제안한다. 제안된 추적 방법은 (i) 영상 획득, (ii) 객체 추출, (iii) 객체 추적, 그리고 (iv) 현재 형태의 업데이트, 4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해서 다시점 영상을 획득하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객체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하며, 겹쳐진 객체로부터 목표 객체를 분리해낸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추적을 위해 ASM을 사용하며, 마지막 단계인 네 번째 단계는 현재 입력 영상의 업데이트이다. 실험결과 제안한 MVTA는 겹쳐진 객체를 추적 시에 생기는 문제에 대해서 향상 된 결과를 보여준다.

  • PDF

시멘틱 기반의 의료 워크플로우 시스템 모델링 기법 (A Semantics-based Modeling Technique for Healthcare Workflow System)

  • 이상영;이윤석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551-558
    • /
    • 2005
  • OMG가 UML 액티비티 다이어그램에 대한 텍츄얼한 시멘틱을 제공하지만 정확한 시멘틱의 부족으로 인하여 모호해지는 단점이 있다. OMG의 UML 액티비티 다이어그램이 제공하는 가이드로는 워크플로우 시스템의 정확한 시멘틱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안적인 방법으로 ASM을 사용하여 UML 액티비티 다이어그램의 정형화를 제시한다. 또한 워크플로우 시스템의 특성에 맞춰 ASM 시멘틱을 확장한다.

  • PDF

ASM 메시지를 이용한 스마트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제공 방안

  • 김건웅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58
    • /
    • 2022
  • '스마트 항로표지 현장시설 고도화 연구'를 통해 항로표지의 상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센서를 통해 해상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선박과 육상 연계시스템에 전파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항로표지에서 신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IS 서비스와 데이터 모델, AIS AtoN 기지국의 필수 기능, ASM 도입 절차 등을 검토하고, 스마트 항로표지 통합 플랫폼에 장착할 센서들의 정보를 선박에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미 선정된 센서들의 정보의 경우 국제적 ASM 31번 메시지로 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기존에 논의되지 않은 신규 센서의 활용이 결정되면, 지역 ASM 메시지를 새로 정의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Enhanced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by Biosurfactant-Producing Pseudomonas

  • Ozyilmaz, Umit;Benlioglu, Kema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418-426
    • /
    • 2013
  • Pseudomonas isolates from different crop plants were screened for in vitro growth inhibition of Phytophthora capsici and production of biosurfactant. Two in viv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selected Pseudomonas strains against Phytophthora blight of pepper by comparing two fungicide treatments [acibenzolar-S-methyl (ASM) and ASM + mefenoxam]. Bacterial isolates were applied by soil drenching ($1{\times}10^9$ cells/ml), ASM ($0.1{\mu}g$ a.i./ml) and ASM + mefenoxam (0.2 mg product/ml) were applied by foliar spraying, and P. capsici inoculum was incorporated into the pot soil three days after treatments. In the first experiment, four Pseudomonas strains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 from 48.4 to 61.3% in Phytophthora blight severity. In the second experiment, bacterial treatments combining with olive oil (5 mL per plant) significantly enhanced biological control activity, resulting in a reduction of disease level ranging from 56.8 to 81.1%. ASM + mefenoxam w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while ASM alone was less effective in both bioassay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ur Pseudomonas fluorescens strains (6L10, 6ba6 and 3ss9) that have biosurfactant-producing abilities are effective against P. capsici on pepper, and enhanced disease suppression could be achieved when they were used in combination with olive oil.

미생물호흡률 측정에 의한 COD분액과 공정모사를 이용한 동절기 하수유출수의 NBOD 발생원인 분석 (The Analysis of NBOD from Sewer Outflow in Winter Season by the COD Fractions using the Respirometry and Process Simulations)

  • 조욱상;강성욱;임동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6-103
    • /
    • 2010
  • In this work, the presence of nitrification biochemical oxygen demand (NBOD) frequently occurred in the sewer outflow in winter season was analysed by the COD fraction methods using the respirometry and process simulations with real operation data measurements and analysis. The activated sludge models applied in this process simulation were based on the ASM No.2d temp. models, published by International Association on Water Quality (IAWQ). The ASM No.2d model is an extension of the ASM No.2 model and takes into account of carbon removal,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and phosphorus removal. The denitrifying capacity of phosphorus accumulating organisms has been implemented in the ASM No.2d model because experimental evidence shows that some of the phosphorus accumulating organisms can denitrify. It was shown that the concentrations of autotrophs (X_AUT) in the secondary clarifier and the $NH_4-N$ of T-N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NBOD measurements. Because of the low temperature (average $8^{\circ}C$) and possible operational troubles, the outcoming autotrophs exhausted oxygen in the process of nitrifying $NH_4-N$.

ASM 기반의 얼굴 특징 영역 추출 및 변형된 알파 블렌딩을 이용한 가상 메이크업 프로그램 (A Virtual Makeup Program Using Facial Feature Area Extraction Based on Active Shape Model and Modified Alpha Blending)

  • 구자명;조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827-1835
    • /
    • 2010
  • 본 논문은 사용자 사진에서 ASM(Active Shape Model)을 이용하여 얼굴의 각 특징 점을 추출하고, 추출 된 특징점을 이용하여 화장할 부분의 영역을 생성 한다. 기존의 가상 메이크업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몇 개의 특징 점을 정확히 선택해야 하는데서 불편함을 초래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가상 메이크업 프로그램에서는 ASM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자연스러운 화장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알파 블렌딩을 각각 화장품의 특징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자 피부색과 화장품의 색을 혼합한다. 얼굴 윤곽, 눈, 눈썹, 입술, 볼의 영역을 생성하고, Foundation, Blush, Lip Stick, Lip Liner, Eye Pencil, Eye Liner, Eye Shadow 종류의 화장을 할 수 있게 구현하였다.

ASM기반 (2D)2 하이브리드 전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얼굴인식 시스템 설계 (Design of ASM-based Face Recognition System Using (2D)2 Hybird Preprocessing Algorithm)

  • 김현기;진용탁;오성권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73-17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ASM기반 $(2D)^2$ 하이브리드 전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얼굴인식 분류기와 그것의 설계방법론을 소개한다. 얼굴인식을 위한 이미지는 외부 환경에 쉽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처리 단계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ASM을 사용하였다. 특히 사람 얼굴의 특징 추출을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ASM을 이용해 얼굴영역을 추출 한 뒤 PCA와 LDA를 이용한 $(2D)^2$ 하이브리드 전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원을 축소한다. 전처리 알고리즘을 통한 얼굴데이터는 제안된 다항식 기반 방사형 기저함수 신경회로망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기존의 신경회로망과는 달리 제안된 지능형 패턴 분류기는 강인한 네트워크 특성을 가지며, 예측능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 입출력에 대한 문제도 해결했다. 분류기의 중요한 필수 설계 파라미터(행의 고유벡터의 수, 열의 고유벡터의 수, 클러스터의 수, 퍼지화 계수)는 ABC알고리즘에 의해 최적화 되어진다. 얼굴인식에 많이 사용되는 Yale과 AT&T를 사용하여 인식률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