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T Slab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Slip Form과 Deck Plate를 채용한 벽식 APT의 접합부 Detail개발의 기초적 연구 (The basic study of the detail development of the Wall-type APT joint using Slip Form and Deck plate.)

  • 이희두;박신;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127-132
    • /
    • 2003
  •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about how to construct wall-type APT in slip form and Deck plate applied different connection of materials that wall and slab. A proposal construct's solution is using the continuous a binding string that the main of contents are slab or stairs which horizon structure part construction is joined the vertical structure part, new we Proposed of 2 solution that new technology development. We'll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is in the construct of higher stories APT more better other construction method. We expect that the new method is good but we have many things to solute themes. Thus, we decided that this development contents are needed that correct structural investigation and constructor's security of speciality and through a fact construct, correct verification.

  • PDF

초고층 주거용 건물 FLAT PLATE SLAB SYSTEM 시공 사례

  • 조순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141-147
    • /
    • 2002
  • I-PARK 삼성동 APT PROJECT는 무역센타에서 영동대교 사이의 구릉에 위치한 지상 46층의 주거용 건물로서 3개동 449세대로 구성되었고 각 동을 4세대 조합의 타워형으로 설계되었다. SLAB 구조 방식은 2방향 플랫 프레이트 구조(2WAY FLAT PLATE SLAB SYSTEM)로서 SLAB는 수직하중에 대한 기본적인 지지구조 역할 뿐만 아니라 주 골조 SYSTEM 구성 요소의 일부로서 풍하중 및 지진하중등의 횡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 SLAB 구조 SYSTEM을 적용한 국내 최고 높은 건물로서 당 현장에 적용된 시공사례중 가설계획, 고강도 콘크리트, SYSTEM FORM, RE-BAR, 4-DAY CYCLE SCHEDULE 등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 PDF

공동주택 리모델링 현장의 바닥충격음 저감대책 (Reduction Method for Floor Impact Noise on APT Remodeling)

  • 박철용;홍구표;이중원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24-525
    • /
    • 2009
  • Heavy-weight impact noise(HN) is the most irritating noise in Korean apartment houses. It has been proclaimed standard floor system of 210mm thick slab with isolation material in the wall type structure. But this regulation is applied only new construction field and is not considered remodeling field. In general, the LN can be reduced by using isolation material but HN is known as relating with stiffness, strength & boundary condition of slab. Therefore it is difficulty in improving the HN on remodeling field.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reinforcement of concrete slab using C.F.S.(carbon fiber sheet), steel plate and steel beam after on-dol with isolation material on the remodeling field. As the test results, It appeared using C.F.S was no improved but using steel plate & steel beam were a little improved on HN.

  • PDF

Experimental and analytical behavior of a prestressed U-shaped girder bridge

  • Wu, Xun;Li, Hu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1권3호
    • /
    • pp.427-436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and analytical investigation on the behavior of a U-shaped girder subjected to operation, cracking and ultimate loads. A full-scale destructive test was conducted on a U-shaped girder to study the cracking process, load-carrying capacity, failure mechanism and load-deformation relationships. Accordingly, the tested U-shaped girder was modeled using ANSYS and a non-linear element analysis was conducted. The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U-shaped girder meets the specified requirements of vertical stiffness, cracking and ultimate load capacity. Unfavorable torsional effect is tolerable during operation. However, compared with box girders, the U-shaped girder has a more transverse mechanical effect and longitudinal cracks are apt to occur in the bottom slab.

단경간 슬래브 중앙 소형박스(개구부)주변의 건조수축 거동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f Shrinkage around Small Box of Short Span Slab)

  • 김상연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4호
    • /
    • pp.323-328
    • /
    • 2016
  • 아파트의 슬래브에는 전기등박스 매입을 위한 소형 박스 개구부가 존재한다. 이 박스 개구부 주변에는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에서는 용접철망이나 플라스틱 링 등으로 보강한 상세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경제적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대안으로 보강을 한 슬래브 전기박스 주변의 건조 수축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등박스 주변의 보강방법 대안은 기존에 여러 건설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접철망보강안과 플라스틱링 보강안 및 보강을 하지 않은 무보강안 3가지로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서 대상으로 한 아파트는 전용면적 $59m^2$ 이하의 소형평형을 대상으로 하였고 거실 등의 슬래브 하부에 전등박스 주변에 신축량 측정용 팁을 부착하고 컨텍게이지로 신축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 3가지 대안들에서 상호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전반적인 변형량은 $-264{\mu}{\varepsilon}{\sim}+216{\mu}{\varepsilon}$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한 변형량의 추이는 거푸집 탈형일 기준치에서 3~5주까지는 조금씩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여 수축(-)하는 경향을 띠고 있으며, 한두번의 측정을 제외하고는 변형률이 $+120{\mu}{\varepsilon}$ 이내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어, 콘크리트의 인장 균열 발생 가능성이 매우 거의 없었다.

동절기 벽식구조 건축물 벽부분의 버블시트 포설방법 변화가 이음부 노출철근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ubble Sheet Applying Methods on Temperature of Exposed Joint Rebar at Wall Surface of Load-Bearing Wall Structure Building During Winter)

  • 한천구;이제현;김민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9-15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을 낮은 열전도율 재료로 덮어 주므로서 우수한 단열성을 갖으며, 높은 전용성으로 경제성까지 뛰어난 2중 버블시트에 의한 표면피복 양생공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하지만, 벽식구조 건축물 시공의 경우 버블시트로 포설되는 슬래브 부분은 초기동해를 방지할 수 있지만, 노출 철근 부분의 경우 버블시트의 포설이 까다롭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양생법 변화는 초기동해 피해 여부와 관련하여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공중인 벽식구조 Apt 현장의 벽체부분을 동절기 저온 조건하에서 시공하는 것을 모사하여 각종 표면피복 양생방법 변화에 따른 매립 및 노출철근 부분의 위치별 온도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양생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여러 양생방법 중 D방법의 양생이 가장 우수하게 초기동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시공의 효율성 및 시공의 편리성 까지도 감안하면 철근과 철근의 간격부 만큼에 버블시트를 좁은 폭으로 잘라 덮어주는 B방법도 우수한 방법으로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