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 distribution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19초

광범위 분산처리 기반 BLE 핑거프린팅 실내 측위 기법 (Distribution Method of BLE Fingerprinting for Large Scale Indoor Envirement)

  • 이도희;손봉기;이재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10호
    • /
    • pp.373-378
    • /
    • 2016
  • 실내 위치 측위 관련 IPS(Indoor Positioning System)의 기술이 계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핑거프린팅 및 삼변 측량 기술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술은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측위하기 때문에 광범위 측위에 있어 불안전한 RSSI 값의 측정으로 인한 측위 정밀도가 신용적이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광범위 내 정밀 측위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기존의 핑거프린팅 기법의 Cell 구성이 아닌 Sector 개념을 도입하였다. 각 Sector는 서로 간에 관여를 하지 않고 해당 Sector 내에서만 핑거프린팅 기법을 수행하여 효울 및 정밀성을 고려한 시스템을 제안하며, 기존의 핑거프린팅과 비교하여 효율성을 수학적 기법으로 입증하였다.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을 이용한 치과용 복합레진의 수복 시 중합수축분포 관찰 (Polymerization Shrinkage Distribution of a Dental Composite during Dental Restoration Observed by Digital Image Correlation Method)

  • 박정훈;최낙삼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6호
    • /
    • pp.393-398
    • /
    • 2017
  • 손상된 치아의 복구에 사용되는 재료인 치과용 복합레진 Clearfil AP-X (Kuraray, Japan)을 대상으로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을 이용하여 광중합 시 발생하는 수축분포를 관찰하였다. 디지털 이미지 상관분석법을 위해,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조사 중과 광조사 이후의 촬영 조건을 달리하여 사진을 획득하였다. 광조사중의 최적의 촬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노출시간을 0.15 ms부터 0.55 ms까지 0.05 ms 간격으로 촬영한 사전 실험을 통해 촬영 조건을 획득하였다. DIC 분석 결과 복합레진의 비균일한 수축 분포를 관찰하였으며 복합레진의 중심 부분에서 시편의 계면부보다 좀 더 자유로운 유동성으로 더 큰 수축이 발생하였다.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은 초기 20 s 의 광조사에서 최종경화수축률의 50~60% 수준까지 발생하였다. 이러한 치과용 복합레진의 큰 수축량은 레진/기질계면 근처에서 인장응력이 집중하도록 영향을 주었다.

소에서 분리(分離)한 Escherichia coli의 항생물질내성(抗生物質耐性) 및 전달성내성인자(傳達性耐性因子)의 분포(分布) (Susceptibility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Cattle to Some Antimicrobial Agents)

  • 박청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8
    • /
    • 1977
  • One hundred and fifty seven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18 cattle (9 dairy cattle received penicillin, streptomycin (SM) or sulfadimethoxine for treatment of diseases and 9 Korean native cattle not received antibiotics) were studied for the drug resistance and distribution of R factors. Of 88 E. coli strains isolated from cattle not received antibiotics, only 1 strain was resistant to SM, but about 46 per cent of 69 E. coli strains isolated from cattle received antibiotics were resistant to SM, tetracycline (TC), ampicillin (AP), kanamycin (KM), chloramphenicol (CM), and sulfisomidine (Su), alone or in combination thereof. Of resistant strains, about 72% were resistant to three or more antibiotics, but 28% were found to singly resistant. The most frequent resistant pattern was triple resistance to AP, KM and Su (37.6%), and quadruple one to SM, TC, CM and Su (12.5%). About 28% of resistant strains carried R factors which were transferable to E. coli ML 1410 $NA^r$ by conjugation.

  • PDF

겨울 김치에 대한 팽창 방지 포장 기법 (Packaging Techniques to Prevent Winter Kimchi from Inflation)

  • 홍석인;박노현;박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85-291
    • /
    • 1996
  • 소포장 김치의 팽창 파열방지 포장기법으로서 각 포장방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겨울 배추를 원료로 제조한 김치 에 대하여 포장방법 에 따른 품질변화를 확인하였다. 상압(AP), 배기(CV), 이중(DP), 진공(VP) 등으로 포장방법을 달리하여 김치의 품질변화를 관찰한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AP와 CV의 포장내$O_2$ 농도는 지수적으로 감소하고 $CO_2$, 농도는 선형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해졌다. DP에서 $O_2$ 농도는 감소 후 증가, $CO_2$ 농도는 증가 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VP는 저장말기에 저농도 $O_2$와 고농도 $CO_2$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 각기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장내 자유용적은 AP에서 S자 곡선형으로 증가하였으나 CV와 DP는 거의 일정하였고 VP는 저장중기 이후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가장 높은 최중 용적량을 나타내었다. 각포장구의 pH는유의차 없이 대부분 비슷하였으나 산도는 DP가 다른 포장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분쇄 김치 여과액의 색지수는 지수적으로 감소하다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포장방법에 따른 차이는 거의 구분할 수 없었으나 VP가 다소 높게 나타탔다. 젖산균수의 변화에 있어서도 포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초기 급격히 증가하여 중기 이후 일정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신맛이나 조직감은 각 포장구에서 유의차를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김치의 팽창 파열방지 포장기 법으로서 배기포장과 이중포장이 매우 효과적이며 제한적 범위 내에서 진공포장도 상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IEEE 802.11s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위한 위치 기반 핸드오버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tion Based Seamless Handover for IEEE 802.11s Wireless Mesh Networks)

  • 이성한;양승철;김종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2004-2010
    • /
    • 2009
  • IEEE 802.11s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분배 서비스를 위한 중심망(Backbond)은 메쉬 포인트들을 무선 링크로 연결하여 구성한 무선 다중 홉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와 같은 무선 다중 홉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경로를 설정한다. 통신 중인 단말이 이동으로 인해 새로운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비스를 받아야 할 때, 즉 핸드오버 상황에서, 기존 무선 랜 네트워크의 경우 새 AP와 무선 링크를 설정 하는 것만으로 바로 통신을 재개할 수 있지만 메쉬 네트워크는 무선 다중 홉 중심망에서의 경로 설정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경로 설정 지연을 제거하여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에게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는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대상 AP를 예측하고 대상 AP로 하여금 미리 경로를 설정하게 함으로써 지연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핸드오버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메쉬 노드들을 임베디드 보드를 이용하여 직접 구현하였고 실험망을 구성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경로 설정 지연이 있는 기존 방법에 비해 핸드오버 지연시간은 2.47초에서 0.05초로 줄었고 데이터 손실률을 20~35% 수준에서 0~10% 수준으로 줄어 들었다.

선박 내 효과적인 콘텐츠 분배를 위한 다중 단말 간 직접통신 (Multi-Device-to-Multi-Device Communication for Efficient Contents Distribution on Board the Ship)

  • 유동호;권은정;김동호;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8호
    • /
    • pp.681-687
    • /
    • 2014
  • 최근 몇 년 간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확산으로 인해 인터넷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다. 이는 지상에 있는 기지국뿐만 아니라 건물, 버스, 철도, 선박 등에 설치된 AP(Access Point)나 기지국에도 심각한 과부하를 야기한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크루즈선과 같은 선박 내부에서 효과적인 콘텐츠 분배를 위한 통신시나리오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시나리오 안에서 기존의 단말 간 직접통신(D2D: Device-to-Device)을 확장하여 다중 단말 간(MD2MD: Multi-Device-to-Multi-Device) 직접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에 적합한 전송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한 선박 내 다중 단말 간 직접통신 방식은 STBC(Space-Time Block Coding) 전송기법, SM(Spatial Multiplexing) 전송기법, 그리고 하이브리드 STBC-SM 기법을 비교분석하여 전송률(throughput) 관점에서 향상된 성능을 보인 전송기법을 채택했다. 제안한 방식은 선박 내 통신 특히 사용자의 수가 많아 트래픽이 심하여 선박 내 설치된 AP의 과부하가 심할 경우 이를 분배하고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으로 보다 질 높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로 기대된다.

Seasonal Distribution of Ticks in Four Habitats near the Demilitarized Zone, Gyeonggi-do (Province), Republic of Korea

  • Chong, Sung Tae;Kim, Heung Chul;Lee, In-Yong;Kollars, Thomas M. Jr.;Sancho, Alfredo R.;Sames, William J.;Chae, Joon-Seok;Klein, Terry 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3호
    • /
    • pp.319-325
    • /
    • 2013
  • This study describes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larvae, nymph, and adult life stages for 3 species of ixodid ticks collected by tick drag and sweep methods from various habitats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Grasses less than 0.5 m in height, including herbaceous and crawling vegetation, and deciduous, conifer, and mixed forests with abundant leaf/needle litter were surveyed at United States (US) and ROK operated military training sites and privately owned lands near the demilitarized zone from April-October, 2004 and 2005.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adults and nymphs were more frequently collected from April-August, while those of Haemaphysalis flava Neumann and Ixodes nipponensis Kitaoka and Saito were collected more frequently from April-July and again during October. H. longicornis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tick in grass habitats (98.9%), while H. flava was more frequently collected in deciduous (60.2%) and conifer (57.4%) forest habitats. While more H. flava (54.1%) were collected in mixed forest habitats than H. longicornis (35.2%),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I. nipponensis was more frequently collected from conifer (mean 8.8) compared to deciduous (3.2) and mixed (2.4) forests.

Effects of Water Exercise on the Foot Pressure Distribution of a Female Adult with Hemiplegia: A Biomechanical Case Study

  • Lee, In-Woo;Kim, Jin-Ki;Yang, Jeong-Ok;Lee, Joong-Sook;Lee, Bom-Ji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9-187
    • /
    • 2013
  •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water exercise on the foot pressure distribution (FPD) of persons who have a hemiplegia. A 43-year old female with hemiplegia acquired at the age of 3 years was selected from a local disability program. A 12-week water exercise program (60 min. per session and twice a week) focusing on gait training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s the intervention of this study. A recent product of the Pedar-X (Novel, Germany) was used to measure the FPD of hemiplegic gai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Variables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average pressure (AP), contact area (CA), maximum pressure (MP), ground reaction force (GRF), and center of pressure (COP).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via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qualitative analyses on the graphical presentations of the FPD. Results revealed that the AP and CA of the hemiplegic foot was considerably increa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Similar results were also found in the MP and GRF. Additionally, the graphical route of the COP related to hemiplegic foot was changed in a positive way after the interven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water exercise may be beneficial to restore hemiplegic gait. Limitations related to measurement and generalizability are further discussed.

대구지방에서의 장열성 Salmonella의 분포와 항균제내성 (Distribution and Drug Resistance of Salmonella Causing Enteric Fever in Taegu Area of Korea)

  • 박종욱;서성일;전도기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5-300
    • /
    • 1987
  • Salmonella strains isolated from blood in the Dong-san hospital, Taegu during the period from 1971 to 1986 were studied for species distribution, drug resistance, and R plasmids. The number of strains was 2,527 and all of them were classified into S. typhi and S. paratyphi A. Approximately 300 strains were isolated in the period from 1974 to 1976 and 1978, 268 in 1982, and 204 in 1983, but the numbers isolated in the 1980's have a tendency to decrease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1970's. S. typhi occupied 85% or more of strains isolated until 1976, but the isolation frequency decreased yearly with some variation, and S. paratyphi A increased gradually from 1974. Only 4 strains of S. paratyphi A were resistant to some drugs, and the resistance was not transferred to E. coli by conjugation. S. typhi resistant to drugs were 15 in 1971 through 1973, 24 in 1974, and 13 in 1975, but afterwards only few resistant strains were isolated. These strains were resistant to two or more drugs; chloramphenicol(Cm), tetracycline(Tc), streptomycin(Sm), sulfisomidine(Su), ampicillin(Ap), and kanamycin(Km) and no strain resistant to other drugs tested was found. Strains resistant to 3 or less drugs didn't transfer the resistance to E. coli by conjugation. There were 15 strains resistant to four or more drugs, and were isolated in years from 1972 to 1976. These strains transferred the resistance to E. coli, and the resistance was considered to be mediated by R plasmids. Transfer frequency was higher at $25^{\circ}C$ than at $37^{\circ}C$ and patterns of transferred resistance were Cm, Tc, Sm, Su; Ap, Km; Cm. R plasmids having markers of Cm, Tc, Sm and Su were classified into Inc H1.

  • PDF

경기도 가평 지역 조림지 내 전나무(Abies holophylla)의 분포와 천연갱신 (Distribution and Natural Regeneration of Abies holophylla in Plantations in Gapyeong, Gyeonggi-do)

  • 남광현;주광영;최은호;정종빈;박필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341-354
    • /
    • 2021
  • 전나무속(Abies)은 내음성 수종으로 천이 후기 단계 또는 노령림의 주요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경기도 가평 지역은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임분이 산재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현황은 알려진 바가 드물고, 전체 산림의 상당 부분을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와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조림지가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평 지역의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와 주변의 전나무 임분을 조사하여 조림 수종에서 지역 자생수종인 전나무로의 천이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평군 이화리 및 산유리의 전나무가 분포하는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와 주변 전나무 천연 임분에서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전나무 치수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해당 지역의 조림 기록을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에서 전나무의 우점치는 36.1-79.1%로 가장 높았으며, 하층의 전나무 밀도는 ha당 50-5,820본이었다. 전나무의 직경분포를 이용한 비계량 다차원척도법(NMDS) 분석 결과, 전나무 분포 특성에 따라 조사지의 임분은 4개의 유형(AN, AP, AM, P)으로 구분되었다. AN는 전나무의 직경분포가 역 J형을 보이는 전나무 천연림과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AP는 전나무 모수가 임분 내에 존재하는 조림지로 전나무가 상층과 중층에서는 조림목과, 하층에서는 활엽수와 경쟁을 하고 있었다. AM은 전나무 모수가 임분 내 존재하나 산림작업이 이루어져 밀도가 조절된 임분이었다. P는 임분 내 전나무 모수가 없는 조림지이나 인근에 전나무 모수가 있어 하층에 전나무의 갱신이 이루어지는 유형으로 전나무림으로의 수종 전환이 예상된다. 가평 지역 내 종자 공급이 가능한 전나무 모수가 남아있거나 인접한 곳에 전나무림이 위치한 일본잎갈나무와 잣나무 조림지에서 자생수종인 전나무는 천연갱신이 활발하였고 이들 조림지는 점차 전나무림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천연림 복원이나 복층림 경영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향후 전나무의 입지, 내음성과 생장 특성에 대한 정보와 이를 바탕으로 한 갱신과 관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