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DROMOUS FISHE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57초

양양 남재천과 영덕 오십천의 어도 및 어류의 소상 (Fish migration through fish ways on Namdae-Cheon in Yangyang and Osib-cheon in Yungdeok)

  • 황종서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0-77
    • /
    • 2000
  • The fishways at Namdae-cheon and Osib-cheon were investigated from July 1998 through October 1999. There are three types of fishways on these rivers. those are baffied fishway, fish ladder, and fish ladder with gabion. Namdae-cheon has 7 baffled fishways and 19 fish ladders, and Osib-cheon has 7 gabion fishways. On namdae-cheon, 1,775 fishes of 24 species were collected. Among these fishes, 452 fishes of 11 species were anadromous fishes occupying 46% in species and 25% in number. On Osib-cheon, 1,953 fishes of 24 species were collected. Among these fishes, 483 fishes of 5 species were anadromous fishes occupying 21% in species and 25% in number. On Namdae-cheon the species number and abundance decreased gradually upstream. The poor structure of fishways seems to have worked as an obstacle to the upstream migration of fishes in the Namdae-cheon . On Osib-cheon all the observed fish species except three-spined stickleback(Gasterosteus aculeatus aculeatus) which stay and spawn around downstream of fiver could migrate upstream. The good structure of fishways on this river is thought to have helped upstream fish migration.

  • PDF

양양 남대천과 영덕 오십천의 어동현황과 어류의 이용 (The Fishways at Namdae-cheon and Osib-Cheon, and the Use of Migratory Fishes)

  • 황종서;허협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721-726
    • /
    • 1999
  • The fishways on Namdae-cheon and Osib-cheon and the use of migratory fishes were investifated from July 1998 through Jung 1999. There are three types of fishways on these rivers. Those are baffled fishways, fish ladder, and fish ladder with gabion. Namdae-cheon has 7 baffled fishways and 19 fish ladder, and Osib-cheon has only fish ladder with gaboin. On Namdae-cheon 1,195 fishes of 24 species were collected. Amog these fishes 241 fishes of 9 species were anadromous fishes occupying 38% in species and 19% in number. On Osib-cheon 1,015 fishes of 24 species were collected. Among these fishes 240 fishes of 5 species were anadromous fishes occupying 21% in species and 24% in number. On Namdae-cheon the species number and auundance decreased gradually upstream. The poor structure of fishways seems to have worked as an obstacle to the upstream migration of fishes on Namdae-cheon. On Osib-cheon all the observed fish species except three -spined stickleback(Gasterosteus aculeatus aculeatus) which stay and spawn around downstream of river could migrate upstream. The good structure of fishways on this river is thought to have helped upstream fish migration.

  • PDF

금강하구둑 어도의 생태적 기능 평가 (Ecological Function Assessment for a Fishways of Geumgang Estuary Dike)

  • 김재옥;장규상;신현상;양 현;장준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3호
    • /
    • pp.1-7
    • /
    • 2010
  • The ichthyofauna and passing efficiency of fishways were surveyed in Geumgang estuary from May to October in 2009. The fishes collected were classified into 24 species, 23 genera belonging to 8 families. These 24 species consist of 17 freshwater fish species, 3 migration fish species and 4 peripheral freshwater fish species. Seasonal function of fishways showed the migration from May to June and returning to the reservoir of fishes be washed out to sea when sluice gate open by rainfall in July and August. Most of the fishes catched in fishways moved from middle tide to high tide except for July. Fishes ascended fishways between the middle ebb tide and the ebb tide only July, because small freshwater swim against the fishway for leaching the reservoir through the newly formed flow when the water level at the fishway kept dropping. Small fishes that body length less than 200 mm mainly used gabion type fishways and fishes over 200 mm utilized a cascade type fishways. Based on the total individuals collected, the efficiency of the fishway was 1 % for the anadromous fish and over 80 % for freshwater fish.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ecological function of the fishway in the Geumgang estuary dike be very important not only for fish migration but also freshwater fishes's returning.

Brackish Lakes in Shinpo District North Korea. III. Fish

  • Gil, Joon-Woo;Hong, Young-Pyo;Park, Joon-Ho;Kim, Saywa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 /
    • pp.23-23
    • /
    • 2004
  • Four times of field survey were carried out to collect fish samples at six stations in Shinpo district, North Korea in October 1997, July 1998, May and October 2002. Sampling stations were located in upstream, middle and down of the southern river of Bukchong and three brackish lakes of lake Hommanpo, Daein and Hyunkum, respectively. A total of 29 species belonging to 11 families occurred. Family Cyprinidae showed the prosperity in species number of 28% among total species occurred. No natural monument fishes or rare species were captured. Ten commercial fishes, five anadromous ones and five brackish ones were identified. Feeding habits divided fish fauna with 11 carnivores, two herbivores and seven omnivorous ones. In the river, 20 species belonging to seven families inhabited, 18 species of 6 families in lake Homanpo, 21 of seven III Hyunkum and 23 of eight in Daein, respectively. Ecological indices of richness, diversity and evenness were highest in lake Daein and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lake Hyunkum.

  • PDF

삼척오십천 상.하류에 분포하는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잉어과) 집단의 유전적 분화 (Genetic Differentiation between Up- and Downstream Populations of Tribolodon hakonensis (Pieces: Cyprinidae))

  • 이신애;이완옥;석호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5-483
    • /
    • 2012
  • 잉어목(Cypriniformes) 황어아과(Leuciscinae)의 황어(Tribolodon hakonensis)는 회유성 어류로서 일생의 대부분을 바다에서 보내고 산란기인 3월 중순경부터 물이 맑은 하천으로 소상하여 자갈이나 모랫바닥에 집단으로 알을 낳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5개의 microsatellite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단편화된 하천에서 황어 집단 간 유전자 흐름과 다양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강원도 삼척 오십천은 여러 대형 보에 의해 부분적으로 단편화되어 있는 중형 하천으로, 본 연구에서 하류지역과 대형 보를 여러 번 지나야 다다를 수 있는 상류지역에서 채집한 황어 개체들의 유전자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유전자 분석 결과 상, 하류 집단들은 많은 대립인자를 공유하지만 그 빈도에 있어 다소 큰 차이를 보였다. 상류와 하류 간 유전적 분화($F_{ST}$)는 0.083 정도로 두 집단 간에는 제한된 유전적 흐름만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상류집단이 유전적으로 고립이 되어 있지만 뚜렷한 유전적 다양성의 감소나 집단의 크기 감소가 관찰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양상을 개체 수준에서 증명하기 위해 Bayesian 통계를 이용, 집단의 유전적 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삼척 오십천 개체들은 2개의 유전적 cluster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류 집단 개체들은 모두 cluster 1에 해당하는 등 단일하게 나타났으나 하류 집단 개체 중 65 % 정도가 cluster 2에 그리고 나머지 개체들은 cluster 1에 해당하는 다양한 양상이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두 집단은 유전적으로 분화되어 있고, 상류의 집단이 하류에 흘러들어가는 경우는 있지만 하류로부터 유전적 공급은 거의 전무한 형태로 볼 수 있고, 인위적 구조물들이 이러한 집단 구조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들은 향후 황어 집단의 보전 정책 등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낙동강하구의 어류상과 댐의 어도에서 어류의 이동 (The fish Fauna and Migration of the Fishes in the Fish Way of the Nakdong River Mouth Dam)

  • 김구환;금지돈;양홍준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251-258
    • /
    • 2001
  • 낙동강 하구의 어류상과 하구둑에 설치한 어도의 어류 이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0년 6월부터 12월까지Dam을 중심으로 상${\cdot}$하류에 서식하는 어류와 어도를 통과하는 어종을 조사하였다. 하구에 Dam을 건설함으로서 기존에 존재하던 기수지역의 생태계가 완전히 사라지고 Dam을 중심으로 담수생태계와 해양생태계가 선상으로 인접하여 추이대가 형성되지 않았다. 조사기간에 해수와 담수의 두 생태계에서 채집된 어종은 모두 10목 29과 45속 49종이었는데 그 중 담수산 어류가 10종. 주연성 어류는 11종, 해산 어류는 28종이었다. 해수와 담수라는 생태계의 차이 때문에 조사지역별로 종 구성이 달랐는데, 명지지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9목27과 36속 39종이며 우점종은 A. flavimanus (39.1%)이었고 담수영역인 사상지역은 6목 9과 19속 21종 중에 우점종은 A. macropterus (44.4%)였다. 낙동강 하구 Dam의 어도에 설치해 둔 video camera로 촬영한 어류를 3회에 걸쳐 확인한 결과 C. ectenes, C. carpio, H. labeo, S. gracilis majimae, P. altivelis, L. japonicus, A. japonica, M. cephalus 및 P. nebulosa 등 9종만이 확인되었다. 채집된 개체수를 기준으로 산출한소하성 어류의 이동율은 10.1%이었는데, 이를 근거로할 때 회유어류의 이동을 위해 어도의 설치는 필요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어도의 효율성은 낮았다.

  • PDF

북한 신포지구내 북청 남대천과 기수호의 어류상 (Fish Fuana in Southern River of Bukcheong and Brackish Lakes, the Shinpo District, North Korea)

  • 길준우;홍영표;김세화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279-287
    • /
    • 2007
  • 1997년도 가을 (10월), 1998년도 여름 (1월), 2002년도의 봄 (5월)과 가을 (10월)의 4회에 걸쳐 함경남도 신포특구내 북청 남대천 수계, 현금호, 대인호 및 호만포호에서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총 11과 29종의 어류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잉어과가 약 28%를 차지하였다. 천연기념물 및 희귀어류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상업용도의 어류가 10종, 소하성어류가 5종, 기수역어류가 5종으로 나타났다. 식성에 있어서는 육식성어종이 11종, 초식성어종이 2종, 잡식성어종이 7종이었다. 지점별로는 남대천이 7과 20종, 현금호가 7과 21종, 대인호가 8과 23종, 호만포호가 6과 18종으로 나타났다. 종의 풍부도와 다양도 및 균등도는 대인호가 가장 높았으며 종의 우점도는 현금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둑 수역의 어류 군집구조와 어도 이용 어류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Collected from Near Estuaries Bank and Fish-way on the Bank of Naktong River)

  • 강언종;양현;이흥헌;김광석;김치홍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1-219
    • /
    • 2012
  • 낙동강 하구둑은 1987년 건설되어 20년이 경과하였으며, 그간 하구둑의 생태계 피해에 대한 논란이 많았으나 중요한 역할이 기대되는 하구둑 어도의 기능과 개선에 관한 고려는 전혀 없었다. 본 조사는 낙동강 하구둑을 중심으로 상류와 하류의 어류상을 조사하고, 이들 어류가 하구둑에 설치된 계단식 및 통선갑문의 어도를 이용하는 실태를 분석함으로서 추후 연구 및 개선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낙동강 하구둑 상류부에서 출현한 어류는 31종으로 이 중 71%가 1차담수어이어서 완전 담수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웅어, 뱅어 등 일부 어종은 담수역으로 소상하여 산란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구둑 가까운 수역에서는 9종의 연안성 어류가 나타나 하류와의 소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구둑 하류부는 조사된 36종의 어류 중 1차담수어 6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연안어종이어서 이전 기수역에서 완전 해수역으로 바뀌었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출현한 1차담수어는 부유성 어종들로 계절적으로 제한되어 출현하는 점으로 미루어 담수 방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하구둑에 어류의 이동을 위해 설치된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는 모두 39종으로 상 하류에서 관찰된 종수보다 많았으며, 양안에 설치된 계단식 어도에서는 19종이, 통선갑문에서는 32종이 관찰되어 통선갑문의 어도 기능이 중요함을 보였다. 특히 통선갑문에서는 뱅어류의 치어와 멸치가 다량으로 채집되어 회유 통로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하구둑에서의 어류 이동을 위한 통로로 하향식 구조인 계단식보다는 쌍방 유통형인 통선갑문의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 중요성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