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Collected from Near Estuaries Bank and Fish-way on the Bank of Naktong River

낙동강 하구둑 수역의 어류 군집구조와 어도 이용 어류

  • Received : 2012.09.06
  • Accepted : 2012.09.26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estuaries bank of Nakdong River, Korea, was constructed in 1987 and many arguments have been under discussion on the subject of ecological impact on ecosystem during 20 years. In this context, however, it was not focused on the role of fish-way and the way of improvement to promote fish movement to complete its life history. This paper w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fish fauna of upper and lower part of the bank and the analysis of comparison of the fishes with those using fish-way which were installed in each side of bank as ladder type and fish gate. The autho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fish gate and its management base on the result. The number of fishes collected in this study for upper part of estuaries bank was 31 species, among them 71% was the pure freshwater residents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s a freshwater ecosystem. It was observed that 9 species of coastal fishes were found in this region including Coilia ectens and Neosalanx sp. which is anadromous to spawn. Excluding 6 freshwater fishes, 30 fish species collected in lower part of estuaries bank were coastal fishes indicating that former brackish ecosystem was changed into marine one. The freshwater fishes found in this region were restricted the appearance only in the season of discharging freshwater into the sea. The number of fishes found in fish-way was 39 species, more than that of river and coast. But only 19 species founded in fish ladder was comparable with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fish gate including 32 speci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fish gate has more important role as a fish passage from the fact that only it allowed to movement of numerous number of fry of Neosalanx sp. and Engraulis japonicus.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two-way movement system is more efficient than downward only one in estuaries bank for fish migration.

낙동강 하구둑은 1987년 건설되어 20년이 경과하였으며, 그간 하구둑의 생태계 피해에 대한 논란이 많았으나 중요한 역할이 기대되는 하구둑 어도의 기능과 개선에 관한 고려는 전혀 없었다. 본 조사는 낙동강 하구둑을 중심으로 상류와 하류의 어류상을 조사하고, 이들 어류가 하구둑에 설치된 계단식 및 통선갑문의 어도를 이용하는 실태를 분석함으로서 추후 연구 및 개선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낙동강 하구둑 상류부에서 출현한 어류는 31종으로 이 중 71%가 1차담수어이어서 완전 담수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웅어, 뱅어 등 일부 어종은 담수역으로 소상하여 산란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구둑 가까운 수역에서는 9종의 연안성 어류가 나타나 하류와의 소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구둑 하류부는 조사된 36종의 어류 중 1차담수어 6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연안어종이어서 이전 기수역에서 완전 해수역으로 바뀌었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출현한 1차담수어는 부유성 어종들로 계절적으로 제한되어 출현하는 점으로 미루어 담수 방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하구둑에 어류의 이동을 위해 설치된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는 모두 39종으로 상 하류에서 관찰된 종수보다 많았으며, 양안에 설치된 계단식 어도에서는 19종이, 통선갑문에서는 32종이 관찰되어 통선갑문의 어도 기능이 중요함을 보였다. 특히 통선갑문에서는 뱅어류의 치어와 멸치가 다량으로 채집되어 회유 통로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하구둑에서의 어류 이동을 위한 통로로 하향식 구조인 계단식보다는 쌍방 유통형인 통선갑문의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림수산식품부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6-2020).
  2. 곽석남.허성회. 2003. 낙동강 하구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6: 129-135.
  3. 국토해양부. 2009. 전국 하천횡단 구조물 설치현황 및 어도실태조사 보고서, 115pp.
  4. 길혜경.김동건.정상우.신일권.조강현.우효섭.배연재. 2007.경기도 경안천에서 소형 보(洑)의 철거 이후에 변화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5: 385-393.
  5. 김기철.김재중.장성태. 1994. 낙동강 하구둑 하류부의 물리해양학적 환경. 아주대 해양자원연구소논문집, 7: 25-32.
  6. 김세화. 2001. 금강 하구둑 건설에 따른 동, 식물플랑크톤상 변화. 용인대 자연과학연구보고, 6: 113-121.
  7. 김익수.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465pp.
  8.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3pp.
  9. 김인배. 1969. 낙동강 하류의 수산개발을 위한 기본조사 (1) 어획량과 한발의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2: 25-32.
  10. 김진홍. 1992. 계단식 어도내의 수리특성과 수리모형 실험.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개요집, pp.109-112.
  11. 김진홍.김 철. 2001. 자연형 어도를 고려한 어도 내부의 돌 설치 방안. 대한토목학회 2001 학술발표논문집, pp. 98-104.
  12. 김진홍.장전근. 1997. Ice Harbour식 어도의 적정형태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165-168.
  13. 김현우.이학영. 2007. 하구언 댐 유무에 따른 강 생태계에서의 동물플랑크톤 동태의 차이. 한국육수학회지, 40: 273-284.
  14. 농어촌연구원. 1991. 담수호의 어도이용에 관한 연구 보고서, 91- 05-02. 170pp.
  15. 박용욱.권순국. 1992. 하구둑 축조에 따른 조석특성 변화 연구. 서울대 농학연구지, 17: 5-17.
  16. 산업기지개발공사. 1977. 낙동강유역 하구조사. 기술보고서, pp. 245-261.
  17. 산업기지개발공사. 1984. '84 낙동강 하구 생태계 조사 (1차), pp. 250-271.
  18. 산업기지개발공사. 1985. '85 낙동강 하구 생태계 조사 (2차), pp. 257-277.
  19. 산업기지개발공사. 1986. 낙동강 하구 생태계 조사(3차), pp. 307- 335.
  20. 신문섭.이동주.김재형. 2005. 하구둑 축조에 따른 흐름특성에 관한 연구. 공업기술연구논문집, 5: 503-507.
  21. 안홍규.우효섭.이동섭.김규호. 2008.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 -곡릉천 곡릉2보 철거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 40-54.
  22. 양홍준.김구환.금지돈. 2001. 낙동강 하구의 어류상과 댐의 어도에서 어류의 이동. 한국육수학회지, 34: 251-258.
  23. 유원규. 1995. 일본의 長良川하구둑을 둘러싼 논쟁. 토목, 43: 87-97.
  24. 이상호.권효근.최현용.양재삼.최진용. 1999.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I. 염분구조와 하구 유형. 한국해양학회지, 4: 255-265.
  25. 임현식.최진우. 2005. 영암호 저서동물군집에 미친 하구둑 건설의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38: 172-183.
  26. 장인권.김창현. 1992. 낙동강 하구언 건설에 의한 연체동물상 및 갑각류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5: 265-281.
  27.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pp. 1-90.
  28. 전상린. 1987. 낙동강 하류역의 어류상에 관하여. 자연보존협회보고서, 9: 77-90.
  29. 조주환.신인현. 1992. 금강하구둑 건설 전후의 해양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자연과학연구, pp. 21-40.
  30. 최철만.김진호.김원일.이종식.정구복.이정택.문성기. 2007. 낙동강 하류의 식물플랑크톤상과 군집구조. 한국환경농학회지, 26: 159-170.
  31. 최흥식.최준길. 2009. 원주천의 어류군집 건전화를 위한 하도의 서식구조 특성 분석. 대한토목, 29: 311-317.
  32. 한국수자원공사. 1988. 낙동강 하구 환경관리조사, pp. 143-162.
  33. 황경엽.박성열.백원석.정제호.김영훈.신원식.이남주.황인성. 2007. 낙동강 퇴적물 내 중금속 존재 형태 및 용출가능성. 상하수토학회지, 21: 113-122.
  34. 황선도.이태원.황학빈.최일수.황선재. 2009. 실험 어도에서 실뱀장어의 소상 행동. 한국어류학회지, 21: 262-272.
  35. 황종서. 2003. 댐의 어도설치 현황과 대선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2003), pp.73-104.
  36. Clay, H.C. 1995. Design of fishways and other fish facilities. 2nd ed. Lewis Publishers, 248pp.
  37. Gratwicke, B. and B.E. Marshall.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otic predators Micripterus salmoides and Serranochromis robustus and native stream fishes in Zimbabwe. Journal of Fish Biology, 58: 68-75. https://doi.org/10.1111/j.1095-8649.2001.tb00499.x
  38. Han, M., M. Fukushima, S. Kameyama, T. Fukushima and B. Matsushita. 2008. How do dams affect freshwater fish distribution in Japan statistical analysis of native and nonnative species with various life histories. Ecol. Res., 23: 735-743. https://doi.org/10.1007/s11284-007-0432-6
  39. Hockensmith, B.L. 2004. Flow and salinity characteristics of the Santee River estuary, South Carolina. Water Resources Report 35. South Carolin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Land, Water and Conservation Division. 42pp.
  40. Jackson, D. and G. Marmulla. 2001. The influence of dams on river fisheries. Prepared for Thematic Review II. 1: Dams, ecosystem functions and environmental restoration. World Commission on Dams, Environmental Issues, Final Draft, June 30-2000. p.187.
  41. Kim, H.M. 1988. Assessment of tectonic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Naktong Delta, Korea. J. Kor. Earth Sci. Soc., 9: 45-69.
  42. Kim, K.C., J.J. Kim, Y.E. Kim, K.M. Han, K.K. Choi and S.T. Jang. 1996. Outflow characteristics of Nakdong River plume. J. Kor. Soc. Coast. Ocean Eng., 8: 305-313.
  43. Margalef, D.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44. McAlister, D.E., J.F. Craig, N. Davidson, S. Delany and M. Seddon. 2001. Biodiversity impacts of large dams. Background Paper Nr. 1, Prepared for IUCN/UNEP/WCD. 49pp.
  45.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14-168.
  46. Nixon, S.W., B. Olsen, E. Buckley and R. Rulweiler. 2004. Lost to Tide: The Importance of freshwater flow to estuaries. Final Report Submitted to URI Coastal Resources Center. Narragansett, RI: University of Rhode Island, Graduate School of Oceanography, 14pp.
  47.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 Sons, New York, 165pp.
  48. Pinckney, J.L., H.W. Paerl, P. Tester and T.L. Richardson. 2001. The role of nutrient loading and eutrophication in estuarine ecology. Environmental Health Perpectives, 109: 699-706.
  49.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77pp.
  50. Watanabe, K. and S.-R. Jeon. 1994. First record of Pseudobagrus ussuriensis (Siluriformes: Bagridae) from the Naktong River, Korea. Kor. J. Lim., 27: 213-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