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ish Fauna and Migration of the Fishes in the Fish Way of the Nakdong River Mouth Dam

낙동강하구의 어류상과 댐의 어도에서 어류의 이동

  • Kim, Kgu-Hwan (Department of Radiologic Technology, Taegu Health College) ;
  • Kum, Ji-Don (Department Biological Education, Kyungpook University) ;
  • Yang, Hong-Jun (Department Biological Education, Kyungpook University)
  • 김구환 (대구보건대학 방사선과) ;
  • 금지돈 (경북대학교 생물교육과) ;
  • 양홍준 (경북대학교 생물교육과)
  • Published : 2001.09.29

Abstract

The ichthyofauna and passing efficiency of fish ways were surveyed in the lower and upper regions of the river mouth dam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from June to December in 20()0. As the dam built in the river mouth, the brackish area in the estuary disappeared completely and the transitional area did not formed. The fishes collected from survey were classified into 49 species, 45 genera belonging to 29 families. Among them, the fresh water fishes composed of 10 species, peripheral freshwater fishes 11 species and sea water fishes 28 species respectively. Because of the ec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fresh and sea water, dominant species in the Myeong-ji of sea water area was Acanthogobius flavimanus (39.1%) and in the Sa-sang of fresh water area was Achanthorhodeus macropterus (44.4%). By the video camera records, fishes were identified nine species like as Coilia ectenes, Cyprinus carpio, Hemibarbus labeo, Squalidus gracilis majimae, Plecoglosus altivelis, Lateolabrax japonicus, Anguilla japonica, Mugil cephalus and Pholis nebulosa. Based on total species collected, the efficiency of the fish way for the anadromous fish was 10.1%. Therefore, efficiency evaluation of the fish way in the Nakdong River Mouth Dam was low.

낙동강 하구의 어류상과 하구둑에 설치한 어도의 어류 이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0년 6월부터 12월까지Dam을 중심으로 상${\cdot}$하류에 서식하는 어류와 어도를 통과하는 어종을 조사하였다. 하구에 Dam을 건설함으로서 기존에 존재하던 기수지역의 생태계가 완전히 사라지고 Dam을 중심으로 담수생태계와 해양생태계가 선상으로 인접하여 추이대가 형성되지 않았다. 조사기간에 해수와 담수의 두 생태계에서 채집된 어종은 모두 10목 29과 45속 49종이었는데 그 중 담수산 어류가 10종. 주연성 어류는 11종, 해산 어류는 28종이었다. 해수와 담수라는 생태계의 차이 때문에 조사지역별로 종 구성이 달랐는데, 명지지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9목27과 36속 39종이며 우점종은 A. flavimanus (39.1%)이었고 담수영역인 사상지역은 6목 9과 19속 21종 중에 우점종은 A. macropterus (44.4%)였다. 낙동강 하구 Dam의 어도에 설치해 둔 video camera로 촬영한 어류를 3회에 걸쳐 확인한 결과 C. ectenes, C. carpio, H. labeo, S. gracilis majimae, P. altivelis, L. japonicus, A. japonica, M. cephalus 및 P. nebulosa 등 9종만이 확인되었다. 채집된 개체수를 기준으로 산출한소하성 어류의 이동율은 10.1%이었는데, 이를 근거로할 때 회유어류의 이동을 위해 어도의 설치는 필요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어도의 효율성은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해산어류도감 김용억;명정구;김영섭;한경호;강충배;김진구
  2. 자연보존연구보고서 v.2 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의 어류상 김용억;홍성윤
  3. 원색한국어류도감 김익수;강언종
  4. 한국동식물도감 제 37권(담수어류) 김익수
  5. 한국수자원학회지 v.31 no.4 동해안지역 어도시설 및 관리 박상덕
  6. 한국수자원학회지 v.33 no.2 어도와 어류역학 박상덕
  7. 한국육수학회지 v.29 no.3 양양 남대천 어류상과 소화성 어류의 분포 특성 변화근;최재석;최준길
  8. 과학교육연구지 v.4 형산강의 어류상에 관하여 양홍준;임완택
  9. 한구육수학회지 v.24 no.1 洪川江 上流水域의 秋秀 魚類相 양홍준;채병수;남명모
  10. 한구육수학회지 v.6 no.1/2 낙동강산 어류의 조사 - 목록과 분포에 대하여- 양홍준
  11. 경북대 논문집 v.35 곡강천(경북)의 어류상에 관하여 양홍준
  12. 자보연보 v.5 울진 남대천의 어류상에 관하여 양홍준
  13. 한국육수학회지 v.25 no.3 금강하구의 하구연 축조 이후 어류 군집의 변화 이충열
  14. 한국육수학회지 v.10 no.3/4 낙동강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1. 상주. 인동을 중심으로 전상린;주일영
  15. 과기처보고서 한강유역의 어류상에 관하여 전상린
  16. 자연보존협회보고서 v.9 낙동강 하류역의 어류상에 관하여 전상린
  17. 한국어도보 정문기
  18. 경북대 논문집 v.38 합천 Dam 예정지의 육수생물학적 연구 정준;양홍준
  19. 낙동강 하구둑 공사에 따른 어업피해 조사 보고서 IMS 85-NS2 진평;허성범
  20. 낙동강 하구둑 공사에 따른 어업피해 조사 IMS 87-NS-2 진평;허성범
  21. 자연보존연구보고서 v.7 금강하류의 담수어류자원 최기철;김익수;손영목
  22. 한국육수학회지 v.5 no.1/2 무주 남대천의 어류상에 관하여 최기철;김익수
  23. v.10 no.1/2 금강에 건설 중인 대청댐을 중심으로 한 어류조사 최기철;이지영;김태룡
  24. 한국산 담수어 분포도 최기철;전상린;김익수;손영목
  25. 동물학회지 v.11 no.1 영동지방에 서식하는 담수어의 지리적 분포에 관한 연구 최기철;전상린
  26. 한국육수학회지 v.2 no.1/2 춘천호의 어류동태에 관하여 최기철
  27. '93 낙동강하구둑 환경영향조사보고서 5 어류조사 한국수자원공사
  28. '94 낙동강하구둑 환경영향조사보고서 5 어류조사 한국수자원공사
  29. '95 낙동강하구둑 환경영향조사보고서 5 어류조사 한국수자원공사
  30. '96 낙동강하구둑 환경영향조사보고서 5 어류조사 한국수자원공사
  31. 최종보고서 어도시설 표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해양수산부
  32. 낙동강 하구둑 유지 준설 관련 사토에 따른 어업피해 조사 허성범
  33. 낙동강 하구둑 건설 관련 공유수면 준설로 인한 어업피해 조사 허성범
  34. 낙동강 하구 환경관리조사 보고서 허성범
  35. 충남대 석사학위 청구논문 금강 상류 어류군집의 계절적 차이 홍영표
  36. 한국수자원학회지 v.33 no.2 농업 기반시설의 어도설치 현황과 개선 방안 황종서
  37. 朝鮮總督府 水産試驗場報告書 6 朝鮮漁類誌 (內顎類, 絲顎類) 內田惠太郞
  38. Fishes of the World(3rd ed.) Nelson, J.S.
  39. J. Theoret. Biol. v.13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Pielou, E.C.
  40. Verh. Internt. Verein Limnol. v.21 Limnological Studies of Nakdong River in Korea Yang, H.J.;J. Jung;S.D. Song
  41. Res. Rev. Kyungpook Univ. v.40 An Investigation of Fish Fauna, Zooplankton, Warer quality and Climatic Condition in the Planned Unmun Dam Area, Cheongdo Yang, H.J.;M.M. 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