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MONIUM

검색결과 3,555건 처리시간 0.027초

Quaternary Ammonium Salt를 도입한 방오도료용 폴리우레탄 수지 (Antifouling Paint Resin Based on Polyurethane Matrix with Quaternary Ammonium Salt)

  • 김대희;정민영;박현;이인원;전호환;조남주
    • 폴리머
    • /
    • 제39권1호
    • /
    • pp.122-129
    • /
    • 2015
  • 최근 해양 산업에서는 해양환경에 잔류성은 없으면서 방오성능은 우수한 새로운 종류의 방오도료 수지 개발이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방오도료용 수지로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Polyethylene glycol(PEG),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MDI) 2,2'-bis(hydroxyl methyl)propionic acid(DMPA)를 사용하여 중합한 후 방오성능을 발휘하는 치환기로서 quaternary ammonium salt를 치환시켰다. 합성된 수지는 최종적으로 필름화하여 해수 내에서의 마모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PEG의 분자량이 600인 방오도료용 폴리우레탄 수지의 기계적 물성이 가장 양호함을 알 수 있었으며, quaternary ammonium salt의 함량이 일정 이상으로 많은 경우에는 수지에 대한 부착력이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탈질 스크러버 폐 세정액에 포함된 질안석회 추출을 위한 응집제 적용 연구 (Study on Coagulant Application for Calcium Ammonium Nitrate Extraction of Denitrification Scrubber Waste Cleaning Solution)

  • 이헌석;송운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89-295
    • /
    • 2017
  • 현 국제해사기구(IMO)에서의 선박엔진에서 발생되는 NOx와 SOx 등의 연소 가스 배출에 대한 규제 강화에 따라, 발트 해 연안을 지나는 모든 선박들은 배출되는 연소가스 저감장치를 장착해야 된다. 국내에서도 IMO의 규제에 따른 NOx와 SOx를 저감장치를 개발하고 있으며, 그중에 대표적인 장치인 Scrubber는 세정액으로 암모니아수와 요소수를 사용하게 되고 사용된 폐 세정액에는 NOx와 SOx와 반응한 질산암모늄과 황산암모늄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 세정액이 포함하고 있는 유용한 부산물을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염석법을 적용하여 회수하였다. 질산암모늄과 황산암모늄의 회수방법과 질안석회를 추출 후 회수된 부산물의 정성분석을 위하여, FT-IR 분석을 통하여 물질의 정성적 특성과 화학적 조성을 평가해 보았다. 한편 응집제를 투입하여 질안석회를 침전시켜 비료상의 물질로 회수하였다. $FeSO_4$ 응집제와 $CaCl_2$를 응집보조제로 사용하고 입자의 크기를 키우기 위해 $CaCO_3$를 사용하였다.

역상 HPLC에 의한 Fatty quaternary ammonium salt 4종 동시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atty quaternary ammonium salt by RP-HPLC)

  • 이용화;양재찬;김재광;이용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61-468
    • /
    • 2015
  • 역상 HPLC에 의한 Cetyltrimetyl ammonium chloride(CTM), Stearamidopropyl dimetylamine(SAP), Behentriammonium chloride(BHT), Dihexadeyldimethyl ammonium chloride (DHDDM)의 양이온계면활성제 4종 동시 정량분석 방법을 개발하였다. 분석조건으로 분리관은 Alltech $C_{18}$($250mm{\times}4.6mm$ i.d., $5{\mu}m$)을 사용하였고, 검출기는 ELSD를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0.2% TFA/Methanol의 기울기 용리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때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130{\sim}1980.5{\mu}g/mL$농도 범위에서 0.997이상 이었고, 검출한계, 정밀성이 우수하였다. 이 방법은 fatty quaternary ammonium salt 4종의 정량분석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Rhodobacter sphaeroides의 질소고정효소에 미치는 암모니움 이온 효과 제거를 통한 수소생성 증진 (Improvement of Photoheterotrophic $H_2$ production of Rhodobacter sphaeroides by Removing Ammonium Ion Effect Exerted on Nitrogenase)

  • 진상훈;김미선;이정국
    • KSBB Journal
    • /
    • 제20권6호
    • /
    • pp.418-424
    • /
    • 2005
  • Rhodobacter sphaeroides는 photoheterotrophic 조건에서 성장을 하면서 질소고정효소인 nitrogenase에 의해 수소를 발생시킨다. 이 nitrogenase는 ammonium ion이 존재할 때, PII 계열 단백질인 GlnB와 GlnK에 의해 negative regulation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glnB와 glnK 유전자를 interruption하여 수소생성의 증진을 꾀하였다. 그 결과, parental strain이나 glnB 혹은 glnK 유전자 하나만을 interruption 시켰을 경우, 암모니움 이온에 의해 nitrogenase 활성이 저해를 받고 있었으나, glnB, glnK 모두를 interruption 시켰을 때, 암모니움 이온에 의한 저해 효과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glnB-glnK double mutant에 nifDK gene을 in trans로 넣어 nitrogenase의 dosage를 높였을 경우, 수소 생성이 약 30% 가량 증진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알콜증류폐액을 이용한 빵효모배양에서 Glucose와 Ammonium의 자동첨가에 의한 종균 : pH-stat 방법에 의한 Ammonium의 자동첨가 (Increase of Cell Concentration by the Automatic Addition of Glucose and Ammonium to an Alcohol distillery Wastewater Reutilized for Cultivating a Baker's Yeast : Automatic Addition of Ammonium with pH-stat)

  • 이형춘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34-138
    • /
    • 2000
  • 알콜증류폐액에 빵효모를 배양하는 중에 glucose와 ammo-nium을 자동첨가함으로써 폐액배양액의 균체농도를 높여서 알콜증류폐액의 이용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배양중에 glucose를 공급하여 줌으로서 공급하지 않은 경우보다 1.3배 더 높은 균체농도를 얻었으며, glucose와 (NH4)2SO4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5.8배 더 높은 균체농도를 얻었다. Glucose의 경우에는 배양액의 DO를 제어파라미터로 하는 제어방법을 사용하여 자동첨가하고, ammonium의 경우에는 pH조정제로서 NH4OH을 사용함으로서 pH제어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배양하였다. 배양결과 증식의 정체없이 배양 22.5시간후에 최대 12.0 g/L의 건조균체량에 도달하였으며, 균의 최대비증식속도는 0.18 hr-1였고, 대당균체수율이 약 0.54g/gdldjTdmamfh glucose의 첨가가 경제적이라고 생각되었다. 증균배양으로 폐액배양액의 COD를 약 22% 더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대기 수송중 암모니아의 암모늄염으로의 전환속도 (Conversion Rate of Gaseous Ammonia to Particulate Ammonium During Atmospheric Transport)

  • 김희강;;이용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8-94
    • /
    • 1982
  • 요소공장의 굴뚝에서 방출되는 가스상 암모니아와 입자상 암모늄을 측정하여 대기중에서 암모니아가 암모늄으로 전환되는 속도를 추정하였다. 암모니아가 암모늄으로 전환되는 것은 대기중에서의 수송시간에 따라 2단계로 나누어진다. 수송 초기 15분동안의 전환속도는 3.2%ㅡmin$^{-1}$이고 그 후는 0.26%min$^{-1}$이었다. 수송 초기단계에서 전환속도가 빠른 것은 굴뚝에서 방출된 유출가스의 온도강하에 의하여 생성된 물방울에 암모니아가 용해하고, 또 이 알칼리성 물방울에서 요소가 분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암모늄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암모니아 가스의 반감기는 수송 초기단계에서 약 16분이고, 그 후는 192분이었다. 측정기간에 있어서 입자상 암모늄염과 대기온도, 상대습도,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및 부유분진 농도와의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암모니움 디티오카바메이트계 이온성 액체의 합성 및 내마모성능 (I) (Synthesis and Antiwear Properties of Ammonium Dithiocarbamate-based Ionic Liquid (I))

  • 백승엽;김남균;신지훈;정근우;김영운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0권6호
    • /
    • pp.323-329
    • /
    • 2014
  • The friction-reducing properties of lubricants containing ionic liquids based on ammonium dithiocarbamate are studied. The ionic liquids are produced through the following two steps: the synthesis of sodium alkyl dithiocarbamates via the substitution reaction of dialkylamine and carbon disulfide and their subsequent conversion into ammonium dithiocarbamate-based ionic liquids through an ion-exchange reaction with a quaternary alkyl ammonium halide salt. The structures of the ionic liquids are characterized by NMR spectroscopy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 isolated yields of the ionic liquids, which are viscous and pale yellow, are approximately 92%. The Brookfield viscosities and pour points of the ionic liquids are determined. Further, their wear resistances are measured through the four-ball wear test and the Schwingung Reibung Ver-schleiss (oscillation, friction, wear) test. The wear scar diameter of the lubricants containing 1 wt of the quaternary alkyl ammonium dithiocarbamate-based ionic liquids (0.475-0.631 mm)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base oil (0.825 mm), proving that the ammonium dithiocarbamate-based ionic liquids have good friction-reducing characteristics. However, these friction-reducing characteristics fade significantly after long-term storage, owing to the degradation of the ionic liquids.

Effect of Additive Ammonium Hydroxide on ZnO Particle Properties Synthesized by Facile Glycol Process

  • Phimmavong, Kongsy;Hong, Seok-Hyoung;Song, Jeong-Hwan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481-487
    • /
    • 2021
  • ZnO particles are successfully synthesized at 150 ℃ for 30 min using zinc acetate as the Zn source and 1,4-butanediol as solvent using a relatively facile and convenient glycol process. The effect of ammonium hydroxide amounts on the growth behavior and the morphological evolution of ZnO particles are investigated. The prepared ZnO nanoparticle with hexagonal structure exhibits a quasi-spherical shape with an average crystallite size of approximately 30 nm.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the morphology of ZnO particles can be controlled by 1,4-butanediol with an additive of ammonium hydroxide. The morphologies of ZnO particles are changed sequentially from a quasi-spherical shape to a rod-like shape and a hexagonal rod shape with a truncated pyramidal tip, exhibiting preferential growth along the [001] direction with increasing ammonium hydroxide amounts. It is demonstrated that much higher OH- amounts can produce a nano-tip shape grown along the [001] direction at the corners and center of the (001) top polar plane, and a flat hexagonal symmetry shape of the bottom polar plane on ZnO hexagonal prism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sence of NH4+ and OH- ions in the solution greatly affects the growth behaviors of ZnO particles. A sharp near-band-edge (NBE) emission peak centered at 383 nm in the UV region and a weak broad peak in the visible region between 450 nm and 700 nm are shown in the PL spectra of the ZnO synthesized using the glycol process, regardless of adding ammonium hydroxide. Although the broad peak of the deep-level-emission (DLE) increases with the addition of ammonium hydroxide, it is suggested that the prominent NBE emission peaks indicate that ZnO nanoparticles with good crystallization are obtained under these conditions.

Comparison of a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a Ceramic Membrane in Electrosynthesis of Ammonium Persulfate by a Pilot Experimental Study

  • Zhou, Junbo;Wang, Chao;Guo, Yujing;Gao, Liping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115-122
    • /
    • 2019
  •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efficiency and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in the electrosynthesis of ammonium persulfate, electrolytic properties of a perfluorosulfonic cation exchange membrane named PGN membrane and the $Al_2O_3$ ceramic membrane in the electrosynthesis of ammonium persulfate were studied and compared in a pilot electrolytic cell using a welded platinum titanium as the anode and a Pb-Sb alloy as the cathode. The effect of cell voltage, electrolyte flow rate and electrolysis time of the electrolytes on the current efficiency and the energy consumption were stud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GN membrane could improve current efficiency to 95.12% and reduce energy consumption to $1110kWh\;t^{-1}$ (energy consumption per ton of the ammonium persulfate generated) under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and the highest current efficiency of the $Al_2O_3$ ceramic membrane was 72.61% with its lowest energy consumption of $1779kWh\;t^{-1}$. Among 5 times of the electrolysis of the electrolytes, the lowest current efficiency of the PGN membrane was 85.25% with the highest energy consumption of $1244kWh\;t^{-1}$ while the lowest current efficiency of the $Al_2O_3$ ceramic membrane was 67.44% with the highest energy consumption of $1915kWh\;t^{-1}$, which suggested the PGN membrane could be used in the 5-stage electrolytic cell for the industrially continuous electrosynthesis of ammonium persulfate. Therefore the PGN membrane can be efficient to improve the current efficiency and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and can be applied in the industrial electrosynthesis of ammonium persulfate.

시용(施用) 질소(窒素)의 화학적(化學的) 형태(形態)가 수도생육(水稻生育) 및 토양특성(土壤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hemical Forms of Nitrogen Fertilizers on Rice Growth and Soil Characteristics)

  • 유순호;송관철;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2-252
    • /
    • 1984
  • 수도(水稻) 재배시(栽培時) 요소(尿素)를 비롯하여 초안(硝安), 염안(鹽安) 등(等) 다른 형태(形態)의 질소질(窒素質) 비료(肥料)와 비교(比較)하여 유안(硫安)의 비효(肥效)를 새로이 검토(檢討)하고, 토양(土壤) 산성화(酸性化)의 문제(問題)를 검토(檢討)하기 위(爲)하여 풍산(豊山)벼를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pot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도(水稻)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토양(土壤) 및 표면수(表面水)의 pH 변화(變化)는 시비(施肥) 직후(直後)에 요소(尿素), 초안(硝安), 유안(硫安), 염안(鹽安) 처리순(處理順)으로 낮으며 그 차이(差異)가 컸으나 시비후(施肥後) 1주일(週日)이 지나면 평형(平衡)에 도달(到達)하여 질소질(窒素質) 비료(肥料)의 종류간(種類間)에 pH차이(差異)가 거의 없었다. 2. 풍건(風乾) 토양(土壤)의 pH는 요소(尿素), 초안(硝安), 염안(鹽安), 유안(硫安) 처리순(處理順)으로 낮았으며, 그 차이(差異)가 생육후기(生育後期)로 갈수록 커지는 경향(傾向)이었으나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는 아니었다. 3. 토양(土壤)과 식물체중(植物體中) 유황(硫黃) 함량(含量)은 전(全) 재배기간(栽培其間)을 통(通)하여 유안구(硫安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토양중(土壤中) 전(全) 질소함량(窒素含量)은 질소질(窒素質) 비료(肥料)의 종류간(種類間)에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식물체중(植物體中) 질소(窒素) 함량(含量)은 유안구(硫安區)에서 유의성(有意性) 있게 높았다. 4. 초장(草長)은 질소질(窒素質) 비료(肥料)의 종류간(種類間)에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분얼수(分蘖數)는 유안구(硫安區)에서 가장 많았고 식물체(植物體) 건물중(乾物重)도 수도(水稻) 전(全) 생육기간(生育時間)에 걸쳐 유안구(硫安區)가 다른 모든 처리구(處理區)에 비(比)해 유의성(有意性)있게 높았다. 5. 유안구(硫安區)는 주당수수(株當穗數)가 다른 처리구(處理區)에 비해 유의성(有意性) 있게 많았고 따라서 수량(收量)도 가장 높았다. 반면(反面)에 초안구(硝安區)는 주당수수(株當穗數) 및 등숙률(登熟率)이 매우 낮았기 때문에 정조수량(正租收量)이 현저하게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