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HP Method

검색결과 1,171건 처리시간 0.034초

WSM-AHP법의 정식화를 통한 주거지 확산 지역의 최적 잠재력 표면의 추정 (Estimating Optimal Potential Surface for Spatial Expansion of Built-up Area by Formulating WSM-AHP Method)

  • 김대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0권3호
    • /
    • pp.91-104
    • /
    • 2008
  • This study developed the WSM (weighted scenario method)-AHP method that can optimize the weighting value for multi-criteria to make GIS grid-based potential surface. The potential surface has been used to simulate urban expansion using distributed cellular automata model and to generate land-use planning as basic data. This study formulated the WSM-AHP method in mathematically and applied to test region, Suwon city, which located on south area from Seoul. WSM-AHP method generates potential map for each pair of weighting value for all criteria, which one criterion is weighted with high weighting value and the others use low weighting value, considering that the summation for all criteria weighting values should be "1". The potential change rate to the step of weighted scenario for weighting value of criteria is standardized like AHP intensity matrix in this study. From the standard potential change rate, WSM-AHP intensity matrix is completed, and then the optimal weighting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maximum eigenvector of the WSM-AHP matrix, according to the new WSM-AHP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The applied results of new method showed that the optimal weighting value from WSM-AHP is more resonable than the general AHP specialists' evaluation for weighting value. The another new finding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terministic approach to optimize the weighting value for the distributed CA model, which is used to find new city area and to generate rational land-use planning.

MAUT/AHP를 이용한 연구개발사업 우선순위 선정방법 (A Hybrid Method of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R&D Projects' Priority Setting.)

  • 김정흠;박주형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1999년도 제15회 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5-265
    • /
    • 1999
  • MAUT and AHP are widely used for quantification of subjective judgements in various fields of decision mak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MAUT/AHP method which is a hybrid of MAUT and AHP techniques in R&D project priority setting. This hybrid model can clarify each factors' contribution using MAUT method and can reduce the number of pairwise comparisons of AHP method. This study applies AMUT/AHP method to the evaluation of R&D projects in a Government - funded research institute. To evaluate R&D projects, six evaluation factors are derived. SMART(Simple MultiAttribute Rating Technique) and DVM(Difference Value Measurement ) out of many MAUT methods are used to design the utility function ad AHP is used to allocate the weights among evaluation facto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MART/AHP and the DVM/AHP have the same results with the SMART and the DVM, and they are different results with AHP. It is very hard to decide which one is better. Second, MAUT/AHP's strength is analyzed. MAUT reflects utility values of evaluators to alternatives and AHP results objective and consistent weights of factors through pariwise comparisons. Third, its possible application fields are proposed. It is applicable to subjective decision making problems with high complexity and inter-independent factors.

  • PDF

GIS 기반 AHP 기법을 이용한 작물재배 적지분석 (The Site Analysis for Crop Cultivation Using GIS-Based AHP Method)

  • 김태준;이근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D호
    • /
    • pp.695-702
    • /
    • 2006
  • GIS 기반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서 기존의 단순중첩에 의한 부울논리는 정보의 손실과 요소간 가중치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분석계층처리 (AHP)와 같은 전문가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AHP 기법과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작물재배 적지 선정기법의 효용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토양, 작물 그리고 농업경영 전문가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지형, 배수등급, 토성 그리고 경사에 대한 AHP 가중치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요소별 AHP 가중치를 기반으로 GIS 공간분석을 활용하여 복분자 재배 적지분석을 수행하였다. AHP 기법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쌍치면 일대의 복분자 재배지를 도면으로 구축한 후 기존의 부울논리에 의한 적지선정 결과와 비교한 결과 AHP 기법에 의한 적지선정 결과가 현장을 더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술 평가 및 선정을 위한 AHP와 DEA 통합 활용 방법: 청정기술에의 적용 (Integrated AHP and DEA method for technology evaluation and selection: application to clean technology)

  • Yu, Peng;Lee, Jang Hee
    • 지식경영연구
    • /
    • 제13권3호
    • /
    • pp.55-77
    • /
    • 2012
  • Selecting promising technology is becoming more and more difficult due to the increased number and complexity. In this study, we propose hybrid AHP/DEA-AR method and hybrid AHP/DEA-AR-G method to evaluate efficiency of technology alternatives based on ordinal rating data collected through survey to technology experts in a certain field and select efficient technology alternative as promising technology. The proposed method normalizes rating data and uses AHP to derive weights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analysis, then in order to avoid basic DEA models' problems, use DEA-AR and DEA-AR-G to evaluate efficiency of technology alternatives.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s to clean technology and compared with the basic DEA model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we can find that the both proposed methods are excellent in confirming most efficient technology, and hybrid AHP/DEA-AR method is much easier to use in the process of technology selection.

  • PDF

Delphi를 사용한 AHP방법론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the Delphi Technique in Modifying AHP Method)

  • 송성환;권성훈;박진범;홍순기
    • 경영과학
    • /
    • 제26권1호
    • /
    • pp.53-64
    • /
    • 2009
  • AHP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owing to its simplicity and clarity. However, it has the problems of reliability of panel's judgement and the assumption that each panelist's ability is equal.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liable AHP method using Delphi technique, which aims to incorporate the relative expertise of panel and to increase their consensus. The method is called the Modified Delphi-AHP. We apply the method to analyzing the demand for lectures of Management of Technology.

CA기법과 WSM-AHP 간편법을 이용한 도시확산의 결정론적 최적 모의 (Deterministic Optimal Simulation of Spatial Growth Form for Urbanized Area Using CA Model and Simplified WSM-AHP Techniques)

  • 김대식
    • 농촌계획
    • /
    • 제14권2호
    • /
    • pp.55-64
    • /
    • 200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ensitivity of WSM(weighted scenario method)-AHP method according to variation of nonlinear exponent for accessibility criteria, which are used to make urbanization potential maps with the optimal weighting value for multiple criteria in grid-based GIS technique. Besides this study tried to develop WSM-AHP2 which is simplified by using rank of the potential value for each scenario. The two methods were applied to the test area, Suwon city located south area of Seoul, with time series land-use maps of 1986 and 1996. The evaluation system of urbanization potential have 7 criteria including 6 accessibility criteria. The results of WSM-AHP2, the optimal weighting values and their corresponding potential maps, have almost similar with those of WSM-AHP. In the application of CA(cellular automata) model for expansion of urbanized area using the three potential maps by WSM-AHP, WSM-AHP2, and specialists's AHP evaluation, it also showed that the accuracy of simulation for actual urban area is the highest in the potential map of WSM-AHP, followed by WSM-AHP2 and specialists's AHP evalua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SM-AHP and simplified WSM-AHP2 will be used to generate the optimal potential maps for land-use planning in urban fringe area.

AHP를 활용한 PI사업 평가그룹간 의사반영 방안 (The Method of Results of Decision Reflections Between PI Project Valuation Groups Using AHP)

  • 김관중;장명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45-157
    • /
    • 2006
  • 도로건설사업에서 정책적인 의사결정이 필요한 경우, 다기준 평가방법인 AHP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정책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PI 제도 도입에 따라 도로관련 전문가뿐 아니라 지역주민, 환경단체 등 여러 관련 그룹의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므로, 그룹간 의견을 종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건설사업의 PI 제도 운영실태를 연구 사례로 하여, AHP모형의 가중치 계산과정에서 각 그룹별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여, 의사결정과정에서 그룹별로 어떤 요인들을 중요시하는지 그룹별 AHP 분석을 시행하고, 그룹별 가중치가 반영된 통합 결과와 비교평가하였다. 분석결과, 그룹간 평가항목에서 분산분석(ANOVA)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각 그룹마다 중요하게 여기는 평가항목의 우선순위가 상이함이 확인되었다. 종합평가 결과 평가대안은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나, 첫째, 그룹간 AHP 분석결과 전문가 그룹과 주민 그룹간, 전문가 그룹과 시민단체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그룹별 평가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통합평가를 위한 그룹간 평가가중치 산정결과에도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가중치를 고려한 AHP분석방법이 다양한 그룹의 의사결정 지원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SWOT/AHP를 이용한 울산항의 전략적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rategic Development of Ulsan Port Using SWOT/AHP Method)

  • 백인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325-334
    • /
    • 2009
  •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ic development plan of Ulsan Port using SWOT/AHP method. In order to do this, 16 detailed factors for SWOT Matrix were identified both from previous studies and from brainstorming professionals of the port and these made into a 3 level hierarchy structure. AHP method identified the relative weight of SWOT level as threat(0.311), opportunity(0.259), strength(0.218) and weakness(0.212), also the composite relative weight of detailed factors as recession of global economy(0.125), strengthening of economic function in port(0.085), insufficiency of port facilities(0.080) and a government regulation of port management(0.075).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s S/T strategy, W/T strategy, S/O strategy, W/O strategy as a strategic development plan of the Ulsan Port.

AHP 분석의 문제점과 수정가중치모형의 개발 (Evaluation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and Development of a Weight Modified Model)

  • 최민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2호
    • /
    • pp.145-162
    • /
    • 2020
  • 본 연구는 AHP 적용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올바른 적용방법을 위한 'AHP 수정가중치모형'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여기서 AHP는 복잡한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화 하여 상위수준요인과 하위수준요인들로 분해하고, 그 요인들에 대한 쌍대비교를 통해서 요인들에 대한 상대적인 가중치를 도출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AHP 계층구조에서 각 상위수준요인(대항목)을 구성하는 하위수준요인(소항목)들의 개수가 같을 경우에는 최종가중치가 바르게 나타나지만 각 대항목을 구성하는 소항목들의 개수가 다른 경우에는 심각한 오류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할 수 있는 'AHP 수정가중치모형'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AHP 분석의 오류가 소항목의 개수, 즉 규모가 다를 때 발생하는 것에 착안하여 소항목 개수의 규모를 상대적으로 같게 만들어서 그 오류를 제거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모형을 다양한 AHP 계층구조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모형검증에서는 4개의 대항목과 각각 개수가 다른 소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항목과 소항목의 중요도가 같다고 가정하였고, 두 번째 모형검증에서는 2개의 대항목과 각각 개수가 다른 소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대항목과 소항목의 중요도가 다르다고 가정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모형검증에서는 실제 선행연구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AHP 수정가중치모형'이 AHP 분석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Analysis of Landslide Hazard Ar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pproach)

  • 이용준;박근애;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D호
    • /
    • pp.861-86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안성시($520km^2$)를 대상으로 Logistic 회귀분석 방법과 AHP 기법을 이용하여, GIS와 RS 자료를 활용한 산사태 위험지를 분석하였다. Logistic 회귀분석과 AHP 기법에는 6개의 인자(경사, 경사향, 고도, 토양배수, 토심, 토지이용)를 사용하여, 7등급으로 산사태 위험도를 분류하였다. Logistic 회귀분석 방법과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를 표본 자료와 비교하면 산사태가 발생한 표본에서 산사태 위험성이 높은(1-2등급)지역이 Logistic 회귀분석에서는 46.1% AHP 기법은 48.7%로 분류되어 AHP 기법이 분류도가 높다고 분석되었다. Logistic 회귀분석과 AHP 기법은 서로 분석 과정의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Logistic 회귀분석과 AHP기법을 적용한 결과에 동일 가중치를 부여한 후 7개 등급으로 재분류(reclass)하여 산사태 위험지역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론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그 결과 산사태가 발생한 표본에서 1-2 등급지역이 58.9%로 분석되어 분류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