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Landslide Hazard Ar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pproach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 이용준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박근애 (건국대학교 대학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 김성준 (건국대학교 환경시스템학부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06.03.31
  • Accepted : 2006.07.10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dslide hazard areas by combining LRA (L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HP (Analytic Hierarchy Program) methods with Remote Sensing and GIS data in Anseong-si. In order to classify landslide hazard areas of seven levels, six topographic factors (slope, aspect, elevation, soil drain, soil depth, and land use) were used as input factors of LRA and AHP methods. As results, high-risk areas for landslide (1 and 2 levels) by LRA and AHP of its own were classified as 46.1% and 48.7%, respectively. A new method by applying weighting factors to the results of LRA and AHP was suggested. High-risk areas for landslide (1 and 2 levels) form the new method was classified as 58.9%.

본 연구에서는 안성시($520km^2$)를 대상으로 Logistic 회귀분석 방법과 AHP 기법을 이용하여, GIS와 RS 자료를 활용한 산사태 위험지를 분석하였다. Logistic 회귀분석과 AHP 기법에는 6개의 인자(경사, 경사향, 고도, 토양배수, 토심, 토지이용)를 사용하여, 7등급으로 산사태 위험도를 분류하였다. Logistic 회귀분석 방법과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를 표본 자료와 비교하면 산사태가 발생한 표본에서 산사태 위험성이 높은(1-2등급)지역이 Logistic 회귀분석에서는 46.1% AHP 기법은 48.7%로 분류되어 AHP 기법이 분류도가 높다고 분석되었다. Logistic 회귀분석과 AHP 기법은 서로 분석 과정의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Logistic 회귀분석과 AHP기법을 적용한 결과에 동일 가중치를 부여한 후 7개 등급으로 재분류(reclass)하여 산사태 위험지역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론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그 결과 산사태가 발생한 표본에서 1-2 등급지역이 58.9%로 분석되어 분류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오경두, 홍일표, 전병호, 안원식, 이미영(2006) GIS기반 산사태예측모형의 적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1호, pp. 23-33 https://doi.org/10.3741/JKWRA.2006.39.1.023
  2. 이명진, 이사로, 원중선(2004)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강릉지역 산사태 연구- 산사태발생위치와 영향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 자원환경지질,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Vol. 37, No. 4, pp. 425-436
  3. 이진덕, 연상호, 김성길, 이호찬(2002) 산사태발생 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5권 1호, pp. 38-47
  4. 이천용, 최경, 이종학, 이창우(2002)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기법개발, 산림과학논문집, 국림산림과학원, Vol. 65, pp. 1-10
  5. 채병곤, 김원영, 조용찬, 김경수, 이춘오, 최영섭(2004) 토석류 산사태 예측을 위한 로지스틱 희귀모형 개발, 대한지질공학회지, 대한지질공학회, 14권 2호, pp. 211-222
  6. Saaty, T.L. (1990)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48, pp. 9-26 https://doi.org/10.1016/0377-2217(90)90057-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