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HP 분석기법

Search Result 75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f Landslide Hazard Area using Logistic Regression/AHP - Anseong-si -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 안성시를 대상으로 -)

  • Lee, Yong-Ju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001-2005
    • /
    • 2006
  • 우리나라는 매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로 인해 인적, 물질적 피해를 일으킨다. 반복적인 산사태의 피해를 방지 하기위해서는 산사태 예측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시를 대상으로 GIS와 RS 자료를 활용하여 산사태 위험지를 분석하고자 Logistic 회귀분석 방법과 AHP 기법을 이용하였다. Logistic 회귀분석과 AHP 기법에는 6개의 인자(경사, 경사향, 고도, 토양배수, 토심, 토지이용)를 사용하여, 7등급으로 산사태 위험도를 분류하였다. Logistic 회귀분석 방법과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를 표본 자료와 비교하면 산사태가 발생한 표본에서 산사태 위험성이 높은(1-2등급)지역이 Logistic 회귀분석에서는 46.1% AHP 기법은 48.7%로 분류되어 AHP 기법이 분류도가 높다고 분석 되었다. 하지만 Logistic 회귀분석과 AHP 기법은 서로 분석 과정의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Logistic 회귀분석과 AHP기법을 적용한 결과에 동일 가중치를 부여한 후 7개 등급으로 재분류(reclass)하여 산사태 위험지역을 추출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산사태가 발생한 표본에서 1-2등급지역이 58.9%로 분석되어 분류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Landslide Hazard Ar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pproach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 Lee, Yong-jun;Park, Geun-Ae;Kim, Seong-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5D
    • /
    • pp.861-867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dslide hazard areas by combining LRA (L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HP (Analytic Hierarchy Program) methods with Remote Sensing and GIS data in Anseong-si. In order to classify landslide hazard areas of seven levels, six topographic factors (slope, aspect, elevation, soil drain, soil depth, and land use) were used as input factors of LRA and AHP methods. As results, high-risk areas for landslide (1 and 2 levels) by LRA and AHP of its own were classified as 46.1% and 48.7%, respectively. A new method by applying weighting factors to the results of LRA and AHP was suggested. High-risk areas for landslide (1 and 2 levels) form the new method was classified as 58.9%.

The Site Analysis for Crop Cultivation Using GIS-Based AHP Method (GIS 기반 AHP 기법을 이용한 작물재배 적지분석)

  • Kim, Tae Jun;Lee, Geun Sa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4D
    • /
    • pp.695-702
    • /
    • 2006
  • In GIS-based Spatial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SDSS), the Boolean logic by conventional simple overlay method contains two problems. One is losing lots of information in analysis process, the other is unable to reflect of weighting values between evaluated items. Therefore, evaluation system as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needs to improve these problems eff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enefit of AHP method and GIS spatial analysis in site analysis for crop cultivation. First, the weighting value of AHP for topography, distribution grade of water, property of soil and slope items are evaluated throughout survey to experts of soil, crop and agricultural management fields. On the basis of these weighting value of AHP by items, site suitability analysis for black raspberry cultivation is performed. To estimate the benefit of AHP method, the current cultivating map of black raspberry is constructed in Ssangchi-myeon district. In comparison with site analysis of Boolean logic, site analysis of AHP method shows more realistic.

수량화 분석과 AHP를 이용한 산사태 예측모형 개발

  • Nam, Eun-Mi;Jun, Kyoung-Ho;Yu, Hyu-Kyong;Na,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4-11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수량화 방법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사용하여 산사태 발생에 대한 통계적 예측모형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량화(Quantification) 방법은 질적변수에 수량을 부여하는 통계적 방법으로, 기 조사된 자료에 기반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구의 다변량분석 기법인 정준상관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수량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데이터에 기반한 수량화 방법과는 달리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은 일종의 다기준 의사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 설문자료에 기반한 분석법이다. 실제자료에 대한 분석으로 산사태 발생여부를 측정한 자료(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와 전문가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들 자료에 대해 수량화 분석과 AHP분석을 통해 산사태 발생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두 종류의 평가표와 함께 로지스틱 회귀를 통한 통계적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두 모형간의 성능비교와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cision Making Model for Construction Projects using Fuzzy-AHP and Fuzzy-Delph (Fuzzy-AHP와 Fuzzy-Delphi기법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의 의사결정 모델에 관한 연구)

  • Lee Dong-Un;Kim Yeong-Su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4 no.1 s.13
    • /
    • pp.81-89
    • /
    • 2003
  • This research suggests the FD-AHP decision making model for Construction Projects which is composed of two main method to prevent a ranking invert situation ; First, to make the consensus of the experts consistent, we utilize Fuzzy-Delphi method to adjust the fuzzy rating of every expert to achive the consensus condition with the fuzzy linguistic presentation. Second, to handle vague linguistic presentation caused by expert's experiences and subjective judgement, we propose Fuzzy-AHP which is able to enhance precision of construction projects decision mating situation. Moreover, with the correlation analysis, we show that the validity of the FD-AHP model under a decision making task specially on where highly demanded expert's experiences and intuition.

Analysis of Schedule Risk using PROMETHEE (PROMETHEE 기법을 활용한 공정리스크 중요도 분석)

  • Lee, Jang-Young;Yoon, Yoo-Sang;Jang, Myung-Hoon;Suh,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353-357
    • /
    • 2008
  • The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include a variety of risk factors due to uncertainties. To succeed in the projects, it is important how risks are managed. Risk management processes identification, analysis and response. Especially, the analysis process is important to objectively identify importance and priority among risk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ffective analysis process by studying and supplement the problem of the AHP analysis method. The study provides a analysis process to use the PROMETHEE analysis method proposed.

  • PDF

Prediction Modeling through Quantification for Qualitative Variables (질적변수에 대한 계량화를 통한 사면붕괴 예측모형)

  • Na, Jong-Hwa;Yu, Hye-Kyung;Nam, Eun-Mi;Cho, Wan-Sup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5
    • /
    • pp.281-28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statistical models for landslide prediction through quantification and AHP methods. Quantification method is a statistical method of providing quantity to qualitative variables by analyzing the observed data.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quantification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cannonical correlation analysis. In contrast with the quantification method which is based on given data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is a kind of method based on questionaire data which is usually taken from professionals. We analyze both the real data(provided from KIGAM) and questionaire data collected from professionals of various related area. We developed two kinds of evaluation table which provide the scores of land slide possibility and the logistic model providing the probability of occurring landslide. Finally we compare the performance and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suggested two models.

A Study on the Policy of Sustainable Domestic Timber Supply Using Delphi Technique and AHP (델파이 기법과 AHP를 이용한 국산재 공급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 Kim, Ki Dong;Choi, K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1 no.3
    • /
    • pp.434-44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policy of domestic timber supply expansion. To recommend polices and draw the priority orders, this study has used Delphi technique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It has executed to recommend policies of domestic timber supply expand by dividing produc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parts. As the result of Delphi technique and AHP, 'Infrastructure for domestic timber produce (.239)', 'regional domestic timber gathering complex construction (.202)' and 'a public institution domestic timber use obligation (.126)' policies are derived.

Analysis of Waterfront Utilization Index Using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다기준의사결정을 이용한 친수공간 이용지수 분석)

  • Kim, Byeong-Chan;Kim, Man-Sik;Maeng, B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5-195
    • /
    • 2011
  • 국가하천의 주변지역을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조성 이용하여 난개발을 방지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며, 그에 따른 이익을 하천의 정비 및 관리 등에 활용함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친수구역활용에 관한 특별법이 곧 시행될 예정이다. 친수는 단순히 하천 보전과 상대되는 수변이용의 측면이 아니라 하천의 경관, 생태계, 물 등 전체적인 하천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활동과 심리적 만족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친수활동 유형을 정립하기 위하여 전문가 및 실무자들의 도움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조사하였다. 또한 평가 항목간의 중요도를 합리적으로 부여하고자 전문가 집단 활용을 통한 다기준의사결정 기법 중 계층분석과정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와 이의 일반적인 형태인 ANP(Analytic Network Process)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AHP는 의사결정의 목표 또는 평가기준이 다수이며 복합적인 경우, 다수의 속성들을 계층적으로 분류하여 각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써 최적 대안을 선정하는 기법으로 다수의 목표, 다수의 평가기준, 다수의 의사결정주체가 포함되어 있는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화하여 해결한다. 그러나 의사결정 문제는 대부분 요소들 간의 수평적 상호작용과 수직종속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히 계층적 구조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ANP는 AHP 분석을 확장한 개념으로 평가 요소가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각 평가 요소간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시스템 분석, 통합 및 조정을 위한 방법으로 요소들 간의 비선형 관계를 모델화하는 복잡한 의사결정에 적용이 가능하다. ANP는 AHP의 기본 공리인 독립성이 유지되지 않을 때도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 방법이기 때문이다. AHP와 ANP 분석을 위해 평가기준은 하천특성, 생태환경특성, 인문환경특성, 경관, 유지관리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세부평가항목은 하천의 물리 생태학적 특성, 개발여건과 관련된 특성, 경관의 이용가치, 유지관리 용이성 등 20여 개로 나누었다. AHP와 ANP를 이용하여 친수공간 이용지수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 두 기법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ANP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최종 결정의 공정성이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cision Method of Optimal Engine System for High-Speed Ship by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기법에의한 고속선의 최적 기관 시스템 결정법)

  • H.B. R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2 no.3
    • /
    • pp.381-39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ptimal gas turbine system for special purpose ships. First we generate critical evaluation criteria an construct their hierarchical structure. The criteria consist of qualitative ones as well as the economic factor. Then AHP is applied to solve the decision making problem AHP gibes good results different from those only by the economic evaluation methods. And during the analysis, the procedure produces many useful informations to the decision making. The results shows that AHP is an appropriate method for these kinds of problems such as the system sel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