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R

검색결과 3,624건 처리시간 0.027초

폐암 환자에서 기관지성형술 (Bronchoplastic Procedures for Bronchogenic Carcinoma)

  • 금동윤;최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315-321
    • /
    • 1996
  • 폐암 환자에서 기관지성형술은 전폐절제술을 받기에 폐기능이 충분치 않은 환자에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일부 환자에서 전폐절제술을대신할만큼 발달되었다 1992년 1월부터 1995년 7월까지 15례의 폐암 환자에서 기관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연령 분포는 46세에서 70세까지였으며 60대가 8례로 가장 많았다. 남자 13례 여자 2례 였다. 소매우상엽절제술이 7례로 가장 많았고 소매우하엽절제술 2례, 소매좌 상엽절제술 5례, 소매전폐절제술이 1례였다. 수술 병기는제 1병기 3례, 제 2병기 8례,제 3병기가 1례였고 T4N2MO가 1례 였다. 술후 합병증을 보면 국소적 재발이 3례로 가장 많았고 그외 문합부위 육아조직 형성이 1례, 창상감염이 1례였다. 패혈증에 의한 수술사망이 1례 있었으며 만기사망이 2례 발생하여 전 체 환자의 3년 생존율이 80%였다. 술전 폐기능검사를 이용하여 술후 예상 FEVI을 구하여 술후 실측 FE'Vl과 비교해 본 결과 상관계수 0.71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합부위 이하의 폐기능이 잘 보존 된 것으로 사료되 었다. 결론적으로 폐암 환자의 일부에서 수술이 원만히 이루어지고 술후 적절한 환자관리가 된다면 기관지 성형술이 幌瓚卉┝杏릿\ulcorner향상된 폐기능을 유지하면서 높은 생존율을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정간호 대상자의 욕창발생 및 간호중재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Prevalence and Nursing Intervention of Bed Sore Patients who Received Regional Home Care Services)

  • 김금순;조남옥;박영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3-60
    • /
    • 1997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rsing intervention method in finding out the incidence, risk fact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d sore cilents who received regional home care nursing services. The eleven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took the survey on 97 patients who received home care nursing service from Seoul City Nurses Association for one month from September 26 to October 26 1996. A modified version of Braden's bed sore assessment tool for bed sore risks and a tool for assessment of bed sore stage and measurement bed sore sizes by Bergstrom, Braden, Laguzza and Holman(1987) were as research tools for this study and a questionnare with 40 questions and 12 items on nursing activities was used to find out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d sores. Also, two open ended questions were used on current approaches and efforts of the treatment being applied to clients.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 1. The rate of bed sore occurrence was 47.4% 2. The areas of bed sore occurrence were hip(28.9%), sacrum(18.6%), great trochanter(14.4%) and the average number of sore spots were 2.26 3. Two groups-one with bed sores and the other without-were studied to determine prediction factors for bed sore risks. Sensory function, humidity, level of activity, mobility, nutrition, skin friction and chapping and body temperature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bed sores. Also the age of clients turned out to be a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 significantly affecting the rate of bed sore occurrences. 4. The education for clients and family on systematic skin assessment and bed sores and practice of active/passive R.O.M. are mainly used as nursing activities for bed sore care. 5. The treatment method varied by stages of bed sores. Sometimes folk remedies like applying the powders of dried elm tree roots to sores were used. Good nutrition, frequent position change and skin care turned to be the most effective means to fast recovery of sores.

  • PDF

우리나라 기업의 거래은행 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변동의 영향을 포함하여 (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Number of Banking Relationships in Korea: Firm-specific Determinants and Effects of Business Cycle)

  • 황수영;이정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4호
    • /
    • pp.53-80
    • /
    • 2017
  •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거래은행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려는 시도들이 있어 왔다. 일반적으로 기업규모나 업력, 레버리지도, 신용도, 수익성, 연성예산제약, 혁신과 관련된 기밀유지 효과 등이 거래은행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의 특성들로 파악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거시 경제변수도 거래은행 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기업의 대출거래은행 수에 대한 결정요인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즉 앞서 언급한 개별 기업들의 특성들의 영향과 더불어 경기변동의 영향도 살펴보았다. 개별기업 특성변수들 각각의 영향에 대해서 기존의 해외논문의 결과와 대비하여 보고하였고, 이러한 결과가 우리나라 간접금융시장에서의 기업들의 자금조달 행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경기변동의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경기변동이 기업의 거래은행 수 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발견하였다. 기업들은 거래은행 수 선택에 있어서 경기역행적인 행태를 보였는데, 경기확장기에는 적은 수의 은행과 거래관계를 유지하는 반면 경기수축기에는 보다 많은 수의 은행과 거래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기업규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중소기업의 경우에만 거래은행 수가 경기역행적인 행태를 보였고, 대기업의 경우에는 거래은행 수가 경기와 상관없이 안정적이었다. 또한 대안적인 자금조달 수단에 접근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비상장기업, 비재벌기업, 신용도가 낮은 기업에서도 경기역행적인 현상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시장의 경쟁도 측면에서는 경쟁적인 시장에서만 경기역행적인 특징을 보였고, 비경쟁적인 시장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 PDF

근속연수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치과위생사를 중심으로 (A Study of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ffecting Service Year: A Dental Hygienist in Seoul)

  • 김효정;김윤지;김명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10-515
    • /
    • 2014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근속연수에 영향을 끼치는 인구사회학적 독립변인들과 직무만족도의 여러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서울시 7개구의 구강진료기관을 선정하여 자기기입방식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로지스틱 다중 회귀분석 결과 직무만족요인 중 자율성요인이,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는 연령, 종교유형 및 이직경험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치과위생사의 장기 근속연수에 영향을 미쳤다. 전체 응답자의 평균연령은 28세였고, 대상자의 약 3분의 2가 이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65.2%). 중위수를 기준으로 한 근속연수 4년 미만과 4년 이상의 집단은 각각 125명(42.2%), 171명(57.8%)이었고, 각 집단의 평균은 24.6세와 30.5세를 보였다. 또한 중위수(4년)를 기준으로 한 장기근속여부는 연령(p<0.001), 결혼여부(p<0.001), 교육수준(p=0.035), 그리고 이직경험여부(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직무만족요인 중, 자율성요인은 근속연수 4년 미만 집단과 4년 이상 집단에서 각각 3.02점, 3.27점으로, 두 집단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01).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는 연령, 종교유형, 이직경험이, 직무만족도의 4가지 요인 중에서는 자율성요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치과위생사의 장기 근속연수에 영향을 미쳤다(OR, 2.65; p=0.036).

치주질환과 당뇨병의 관련성 (An Association of Periodontitis and Diabetes)

  • 원재희;하미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7-113
    • /
    • 2014
  • 2009년 제 4기 3차년도 국민견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치주질환과 당뇨병의 관련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지역사회치주지수와 혈액검사를 통해 당뇨병을 진단받거나 공복혈당장애에 대한 검사와 당화혈색소 자료가 모두 있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4,830명이 최종분석대상자가 되었다. 치주질환의 유병률은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인 경우, 연령에 따라서는 나이가 많은 경우, 월평균가 수수입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흡연 경험이 있고 현재 흡연자일수록, 음주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당뇨병의 경우 남자인 경우, 나이가 많고, 현재 흡연자일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고 음주량과 간식섭취가 많을수록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공복혈당수치에 따른 치주질환 유병률은 공복혈당 100 mg/dl 미만은 38.6%, 100 mg/dl 이상은 57.9%로 나타나 100 mg/dl 이상에서 치주질환이 많았다(p<0.0001). 공복혈당장애의 위험은 지역사회치주지수검사에서 CPI가 0~ 2인 그룹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CPI가 3~4인 그룹이 2.18배 높게 나타났다.

정신분열증의 사건관련유발전위에 대한 연구(I)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건관련유발전위- (P3 in the Auditory Event-Related Evoked Potential of Schizophrenia(I) -P3 in the Schizophrenics-)

  • 오동재;장환일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1호
    • /
    • pp.87-98
    • /
    • 1994
  • 연구배경 :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정보처리 과정의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해 주는 사건관련유발 전위인 P3의 이상을 보고하는 연구들이 있어 저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들에게 청각사건관련유발 전위를 실시하여 P3의 이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성 및 양성 정신분열증환자에 P3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으며, 가족력이나 전기충격경련요법, 밖에 임상양상과 P3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 DSM-III-R 진단기준에 맞는 정신분열증 환자 54명 (남자 31, 여자 23) 과 그 대조군 75 명 (남자 33, 여자 42) 을 대상으로 oddball paradigm 을 이용한 사건관련유발전위를 실시하여 P3의 잠복기와 진폭을 측정하였으며, 정신분열증의 인지기능이상을 알아볼 수 있는 프랑크푸르트 임상검사를 같이 실시하였다. 결과 : 정신분열증 환자의 P3 잠복기는 그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지연되어 있었으며, 또한 모든 진폭도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정신분열증 환자군에서 프랑크푸르트 임상검사의 10가지 임상증상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PANSS의 종합점수에 따라 음성과 양성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P3의 잠복기 및 진폭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정신과질환의 가족력의 유무에 따라, 전기 충격경련요법 유무에 따라 비교한 결과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환자군에서 프랑크푸르트 임상검사의 임상증상, 그밖에 임상특성과 P3의 잠복기와 진폭 사이에 연관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로 정신분열증 환자들에서 선택적 주의집중 과정의 이상이 있을 것이고 추측할 수 있었으며, 임상양상이나 가족력 유무와 P3사이에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 PDF

고강도용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가 사용된 콘크리트의 성능 (The Performance of Concrete Used High Strength Development Polycarboxylate Superplasticizer)

  • 이완조;강성구;황인동;이재용;박성;정윤중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82-187
    • /
    • 2005
  • 최근 국내에 소개된 폴리카르본산계의 종류는 기능적 분류로 감수용, 유지용, 초고강도용 등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이들은 각기 화학적 구조의 차이와 시멘트와 혼합 후 거동의 차이에 의하여 각기 다른 물리적 특성을 보였으며 감수용의 경우 시멘트 중량의 $1.2\%의 사용시 $30\% 이상의 높은 감수율을 보였으나 골재분리를 동반하였으며 콘크리트 제조 후 45분 경과시 슬럼프 플로우의 감소가 약 30cm 이상 발생하였으며 유지용의 경우 롱일 사용량에서 약 $25\% 감수율을 보였으며 45분까지의 슬림프 플로우의 경시 변화는 15cm 이하로 관찰되었다. 초고강도용의 경우 시멘트 중량의 $1.2\%를 사용한 경우 $30\% 이상의 감수율로 관찰되었으며 슬럼프 플로우의 45분 후의 경시변화는 100m 이하로 측정되었다. 압축갔도의 경우 초고강도용의 경우 탁월한 조기 강도 증진 효과를 보였으며 특정배합에서의 18시간 압축강도는 약 $60\;Kgf/cm^2$ 이상이 확보될 수 있었으며 24시간에서 $80\;Kgf/cm^2$이상이 확보될 수 있었다.

치기공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교수 효율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rrelation of Teaching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in Seoul and Kyung-ki))

  • 성환경;이규선;황재선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9-72
    • /
    • 2007
  • This study executed to offer the basis for dental technology student who chanced better clinical training. This investigation conducted on 267 of seniors who have been taken clinical training to self written a questionnaire. We used and dealt a spss 12.0 program. Study results below 1. In a question about relationship, one answered "Harmonious" took largest proportion by 40.9% during training, and abou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campus life who answered :normal: were the most with 50.0% 2. In a question about clinical training place, most(50.0%) choose place less than 10 for clinical training, and more than 10 for clinical training with 29.7%. Residue statues was most of them resided own home with 78.6%. About their commuting time from home to training place, 50.0% was under 30min, 34.1% took time 30$\sim$60min. 3. In a question about clinical trainer, most (34.4%) choose as dental lab president, as each part manager with 34.1%, a senior with 7.6% and not exist to clinical trainer with 7.6%. 4. A perfect score about teaching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was 5. The average of score about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was 3.25 and circumstance of clinical training got 3.50 as a highest score. the lowest score was 2.87 that is about satisfaction of clinical training period. The average of score of teaching efficiency was 3.25. 'a Role model' got 3.55 as the highest score and 'utility for student' got 3.12 as the lowest 3.12. 5. The result of T-test to see of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 and clinic training condition between teaching efficiency is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clinical training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only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college life(p<0.05), teaching efficiency h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age and satisfaction of college life(p<0.05). 6. The relation between of teaching efficiency of clinical training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training of dental technologic student has a statistical relation r=0.551 and a statistical meaning in significance leveler 0.01.

  • PDF

과거의 직업적 납 노출에 의한 혈중납 및 골중납의 증가가 남성 골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creased blood and tibia lead on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in retired male lead workers)

  • 김남수;이성수;김희선;;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9-28
    • /
    • 201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reased blood and tibia lead on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in retired male lead workers. One hundred nine retired male lead workers who worked in 4 different lead industries and 51 nonoccupationally lead exposed mal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March 2004 to October 2004. Bone mineral density(BMD) was measured by broadband ultrasound attenuation(BUA) at left calcaneous bone area with broadband ultrasound attenuation method of QUS-2(Metra Biosystems Inc, USA). Tibia bone lead was measured for skeletal bone lead with K-xray fluorescence(K-XRF) and blood lead was analyzed with flameless atomic spectrophotometer. Hemoglobin, hematocrit, serum calcium and iron were also analyzed. In addition, information for smoking and drinking status and basic personal data such as age and lead exposure were also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inquiry. Blood lead was correlated with tibia lead (r=0.711) and these two variabl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UA in bivariate analysis. BUA and tibia lead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the change of blood lead after adjusting covariates. The effect modification by the level of BMD (low: lower than the median of BUA and high: higher than the median of BUA) was observed between the association of tibia lead and blood lead after adjustment of covariates. The subjects who had higher BMD seemed to have lower blood lead by the increase of tibia lead than those of lower BMD.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blood lead and tibia lead on BUA after adjustment of covariates, only blood lea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UA. This study confirmed that BMD and blood lead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To verify the causal association of BMD on blood lead and vice versa, further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임분형상고(林分形狀高)에 의한 임분재적(林分材積) 추정(推定)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Stand Volume by Stand Form Height)

  • 김석권;이흥균;이여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5-19
    • /
    • 1983
  • 임분재적(林分材積) 추정시(推定時) 간편(間便)하며, 정도(精度)를 유지(維持)한 추정방법(推定方法)의 유도(誘導)를 위(爲)하여 전국(全國)에서 잣나무 107개소(個所), 일본잎갈나무 82개소(個所)의 표준지(標準地)($40m{\times}40m$)를 선정(選定)하여 임목(林木)의 평균흉고직경(平均胸高直徑), 평균수고(平均樹高), ha당(當) 단면적(斷面績), 임분형상고(林分形狀高), 단면적수고(斷面績樹高), ha당(當) 본수(本數), ha당(當) 재적(材積), 임분(林分) 및 지형조사(地形調査)를 실시(實施)하였다. 이로써 임분평균흉고직경(林分平均胸高直徑)과 임분형상고(林分形狀高), 임분형상고(林分形狀高)와 임분재적(林分材積)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한 결과(結果), 전자(前者)의 관계(關係)에서는 잣나무 $H{\cdot}F=1.2569+0.2576D$, 일본잎갈나무 $H{\cdot}F=4.3045+0.1443D$이었고, 후자(後者)의 관계(關係)에서는 잣나무 log V = 1.3855+0.1168 H.F, 일본잎갈나무 log V = 0.9929+0.1542 H.F이었으며, 임분재적식(林分材積式) 적합도(適合度) 검정결과(檢定結果) 모두 유효(有效)하였으며, 추정오차율(推定誤差率)도 잣나무 18.29%, 일본 잎갈나무 19.22%로 양호(良好)하여 금후(今後) 임분평균흉고직경(林分平均胸高直徑)으로 임분재적(林分材積)의 추정(推定)이 가능(可能)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