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F

검색결과 948건 처리시간 0.028초

흑염소를 이용한 유기초지조성과 식생 개선 효과 (Study on Establishment of Organic Pasture by Using Korean Black Goat and Improvement of Botanical Composition)

  • 윤세형;임영철;김종근;이종경;최순호;조남철;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7-234
    • /
    • 2009
  • 본 연구는 제경법을 이용한 유기초지 조성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동안 수행하였으며 방목 축으로는 흑염소가 사용되었다. 시험설계는 관행조성구인 대조구, 퇴구비시용 후 방목구, 방목 후 퇴구비 시용구, 방목 후 퇴구비 시용 재방목구로 처리하였다. 목초정착률은 관행구인 대조구가 유기조성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또한 건물생산성도 유기조성구에 비하여 대조구에서 현저한 증가를 나타냈다. 조성 후 연차가 경과함에 따라 식생 및 건물생산성이 개선되어 조성효과와 아울러 조성 후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목초의 사료가치는 대조구와 유기조성구 모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화본과 목초의 비율은 조성1년차가 2년차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시험 종료 후 토양 성분을 조사한 결과 pH와 양이온치환용량은 시험전과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유기물과 인산 함량은 약간 증가하였다.

감귤 주스 착즙박을 이용하여 재배된 버섯균사체의 성분 (Major Components of Mushroom Mycelia Cultivated with Citrus Juice Processing Wastes)

  • 이창환;양민호;박승림;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8-132
    • /
    • 2007
  • 감귤 착즙박을 주 성분으로 하는 버섯배양배지를 만들고 간, 표고, 새송이, 산호침, 참부채 및 영지 버섯 균을 접종하여 균사체 제품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균사체는 착즙박에 비하여 대체적으로 조회분은 증가하였으나, 총산, 환원당, 조단백질 및 조지방은 착즙박과 함량이 비슷하거나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부분의 버섯균사체 중 유기산의 함량은 착즙박의 함량과 비슷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새송이 버섯에서는 착즙박의 2.7배 이상 유기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버섯균사체 중 fructose는 9.20-11.06%로서 착즙박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새송이 버섯에서는 2.65%로서 함량이 매우 감소하였으며, glucose의 경우는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그 함량이 착즙박보다 매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산호침 버섯 및 참부채 버섯에서 감소하는 현상이 더욱 심하였다. 버섯균사체 중 sucrose는 착즙박의 함량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간버섯과 새송이 버섯에서 감소현상이 심하였다. 버섯균사체의 narirutin 함량은 448.67-932.98 mg%로서 대부분 착즙박에 비하여 비슷하거나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hesperidin의 함량은 3,019.94-4,980.94 mg%로서 간버섯을 제외하면 착즙박보다 17.81-52.61%증가하여 농축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버섯균사체 중 TDF 함량은 38.87-51.49%, NDF 함량은 11.94-17.67%, ADF함량은 11.00-14.09%로서 대부분 착즙박의 함량과 비슷하거나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버섯균사체의 ${\beta}-glucan$ 함량은 9.43-13.69%로서 착즙박과 비슷하거나 조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polyphenol은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8.01-20.28 mg%로서 그 함량이 비슷하거나 대부분 감소하였다. 버섯균사체의 EDA 및 NSA는 새송이 버섯 균사체를 제외한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착즙박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신규 Lactobacillus plantarum KCC-10 및 KCC-19이 알팔파 사일리지의 발효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KCC-10 and KCC-19 on Fermentation Characterization of Alfalfa Silage)

  • 최기춘;;;박형수;김원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6-17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알팔파를 이용하여 사일리지 제조시 L. plantarum KCC-10 및 KCC-19를 접종하여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품질 및 미생물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알팔파 사일리지 제조시 조단백질, ADF, NDF, TDN 함량 그리고 in vitro 건물소화율은 무접종구와 비슷하였다. L. plantarum KCC-10 및 KCC-19 접종구는 무접종구에 비해 알팔파 사일리지의 pH는 감소 되었으나 (p>0.05), 젖산함량은 L. plantarum KCC-10 및 KCC-19 접종구에서 증가하였다 (p<0.05). 그러나 초산 및 낙산 함량은 젖산균 접종구에서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알팔파 사일리지 젖산균 단독 처리구의 젖산균 수는 무접종구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알팔파 사일리지 제조시 L. plantarum KCC-10 및 KCC-19 접종에 의해 사일리지의 젖산함량과 젖산균수가 증가되었다.

젖산균과 클로렐라 첨가가 생볏짚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Chlorella and Lactic Acid Bacteria on Nutritive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Fresh Rice Straw Silage)

  • 최기춘;;;박형수;김원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9-165
    • /
    • 2015
  • 본 연구는 충남 천안 국립축산과학원 식용벼 재배지에서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정상적으로 벼 재배가 이루어지고 수확이 완료된 볏짚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젖산균 접종 유무에 따라 볏짚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클로렐라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클로렐라 농도의 증가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0.05). 모든 처리구에서 섬유소와 TDN 함량 및 in vitro 소화율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젖산균 접종 유무에 따라 볏짚사일리지의 pH 및 유기산 함량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클로렐라 처리구도 무처리구에 비해 pH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클로렐라 처리구에서 젖산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클로렐라 농도의 증가에 따라 젖산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젖산균 단독접종구의 젖산균 수는 무처리구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클로렐라 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그러나 효모와 곰팡이 수는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볏짚사일리지의 사료가치와 품질은 클로렐라 첨가에 의해서 향상될 수 있다.

Effects of Synchronization of Carbohydrate and Protein Supply on Ruminal Fermentation, Nitrogen Metabolism an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in Holstein Steers

  • Seo, Ja-Kyeom;Yang, Ji-Young;Kim, Hyun-J.;Upadhaya, Santi Devi;Cho, W.M.;Ha, Jong-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1호
    • /
    • pp.1455-1461
    • /
    • 2010
  • Three rumen-cannulated Holstein steers were fed three diets, each with a different synchrony index (SI) (LS: 0.77, MS: 0.81, and HS: 0.83),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diet on rumen fermentation, nitrogen balance, an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Synchrony index was calculated based on the carbohydrate and crude protein fractions of each ingredient and their degradation rates. Feeding the steers diets with different SIs did not influence dry matter, crude protein, NDF, or ADF digestibility. The concentrations of total and individual VFA in the rumens of steers that were fed the two higher-SI diets were higher than in those fed the low-SI diet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higher-SI diets. One hour after feeding, steers on the LS diet had lower ruminal pHs than did those fed the MS or HS diets (p<0.05), and animals on the LS diet generally showed higher ruminal $NH_3$-N levels than did animals on the other diets, with the 4-h post-feeding difference being significant (p<0.05). Steers receiving the LS diet excreted more nitrogen (N) in their urine than did those on the two higher-SI diets (p<0.05), and the total N excretion of those on the LS diet was also higher (p<0.05). Microbial N levels calculated from the concentration of urinary purine derivatives were generally higher when the SI was higher, with the highest microbial protein synthesis being produced by steers on the HS diet (p<0.05). In conclusion, in the current study, ingestion of a synchronous diet by Holstein steers improve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and VFA production and decreased total N output.

수출보험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 수출지원에 대한 효과분석 (The Effects of the Export Insurance on the Exports of Big and Small-Medium Businesses)

  • 이서영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3호
    • /
    • pp.377-401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출보험이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수출촉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수출공급함수 모형을 각각 설정하여 수출보험이 수출공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92년부터 2009년까지 연도별 자료를 이용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수출보험인수액이 수출공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통상최소자승법으로 분석한 결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수출보험인수액은 우리나라의 수출촉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증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분석에 사용되어지는 자료들의 안정성 여부가 중요하다. 특히 불안정한 시계열을 적용할 경우 통계분석의 결과가 무의미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료들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ADF 방식을 이용하여 검정을 시행한 결과 모든 변수들이 I(1)인 시계열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I(1)인 변수들의 장기적 균형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Johansen 검정에 의해 공적분 검정을 실시하였다. 공적분 검정결과, 대기업의 수출공급과 수출보험인 수액 간에서는 5% 유의수준에서 공적분벡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소기업의 수출공급과 수출보험 간에는 공적분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따라서 대기업의 경우 수출보험이 수출공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중소기업의 수출공급에는 수출보험이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대기업의 수출은 중소기업의 수출보다 수출보험의 영향력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 PDF

한국에서 개발된 총체사료용 보리 품종의 형태적 특성 (New Barley Cultivars with Improv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Whole Crop Forage in Korea)

  • 박태일;한옥규;서재환;최재성;박기훈;김정곤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3-202
    • /
    • 2008
  • 국내 보리 소비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재배 면적도 줄어들어 겨울철 논을 이용한 보리 재배 농가의 대체 소득원이 보리를 활용한 조사료 생산이다. 경지이용률 제고와 양질의 조사료 공급은 국내 축산 농가의 국제경쟁력을 올릴 수 있어 최근 청보리의 생산은 현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총체사료용 청보리는 식용보리에 비하여 전체적인 건물수량성이 높아야 하고 가축이 먹기에 좋도록 형태적으로도 개선되어야 한다. 그 동안 개발된 총체사료용 청보리는 벼와의 작부체계에 알맞도록 조숙이면서 건물수량이 ha당 10$\sim$12톤 (생체수량 평균 33톤/ha)을 보이는 영양, 선우, 상원, 소만 등을 개발하였으며, 가축의 기호성이 좋도록 거친 까락을 매끈망으로 개선한 우호, 까락이 퇴화한 삼차망 보리 유연과 줄기에 잎귀를 없애서 부드럽게 만든 다미 등 초형을 개선하였다. 이러한 사료 전용 청보리 품종들은 사료가치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육종적으로 개선한 각 품종들의 고유 생육특성을 중심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내한 중생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코윈마스터' (A Cold-Tolerant and Medium-Maturing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New Variety, 'Kowinmaster')

  • 최기준;임영철;김기용;김맹중;지희정;이상훈;박형수;문정섭;이은섭;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77-184
    • /
    • 2008
  • 본 시험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내한 중생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6년까지 축산과학원 조사료자원과에서 수행되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코윈마스터'는 2배체 품종으로서 엽의 색은 담녹이며, 월동전 초형은 중간형, 봄의 초형은 반직립형이다. 코윈마스터는 5월 13일경에 출수하는 중생 품종이었다. 특히, 신품종 코윈마스터는 Florida 80 품종과 지엽의 폭은 비슷하나 지엽의 길이가 3 cm 정도 길며, 초장은 89 cm로 Florida 80 보다 6 cm 길었다. 줄기의 두께는 Florida 80과 같이 중간이었다. 코윈마스터의 내한성은 Florida 80 보다 월등히 강한 품종이었다. 코윈마스터의 건물수량은 9.521 kg/ha로서 Florida 80 보다 2% 많았다. 코윈마스터의 사료가치는 조단백질 함량이 12.1%, in vitro 소화율이 70.9%, ADF가 32.9%로 Florida 80과 비슷하였고, NDF는 56.0%로서 Florida 80 보다 1% 낮았다. 이상의 결과, 신품종 코윈마스터는 겨울이 추운 중부 북부지역에서 재배안정성이 높은 내한 중생 품종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Cell Wall Degrading Enzymes on Fermentation and Composition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Silage

  • Ridla, M.;Uchid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3호
    • /
    • pp.277-284
    • /
    • 1998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oculation and addition of cell wall degrading enzymes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Italian ryegrass silage. An inoculant LAB with or without a cell wall degrading enzyme of Acremoniumcellulase (A), or Meicellulase (M) or a mixture of both (AM), was applied to 1 kg of fresh Italian ryegrass sample. The treatments were control untreated, LAB-treated (application rate $10^5$ cfu/g fresh sample), LAB+A 0.005%, LAB + A 0.01%, LAB+A 0.02%, LAB + M 0.005%, LAB + M 0.01%, LAB + M 0.02%, LAB+AM 0.005%, LAB + AM 0.01% and LAB+AM 0.02%. The sample was ensiled into 2-L vinyl bottle silo, with 9 silages of each treatment were made (a total of 99 silages). Three silages of each treatment were incubated at 20, 30 and $40{^{\circ}C}$ for an approximately 2-months storage period. All silages were well preserved as evidenced by their low pH values (3.79-4.20) and high lactic acid concentrations (7.71-11.34% DM).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ontrol untreated and the LAB-treated silages were similar, except that for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was lower (p < 0.05) in the LAB-treated silages. LAB + cellulase treatments improved the fermentation quality of silages by decreasing (p < 0.01) pH values and increasing (p<0.01) lactic acid concentrations, in all of cellulase types and incubation temperatures. Increasing amount of cellulase addition resulted in further decrease (p < 0.01) of pH value and increases (p < 0.01) of lactic acid and residual water soluble carbohydrate (WSC) concentrations. LAB + cellulase treatments reduced (p<0.01) NDF, ADF, hemicellulose and cellulose contents of silages compared with both the control untreated and LAB-treated silages. LAB + cellulase treatments did not affect the silage digestibility due to fact of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was similar in all silages. The silages treated with cellulase A resulted in a better fermentation quality and a higher rate of cell wall reduction losses than those of the silages treated with cellulases M and AM. Incubation temperature of $30{^{\circ}C}$ seemed to be more suitable for the fermentation of Italian ryegrass silages than those of 20 and $40{^{\circ}C}$.

Effect of Location, Year and Variety on Winter Cereal Forage Yield and Quality in the Southern Plateau of the Spain

  • Otal, J.;Quiles, A.;Quiles, A.;Perez-Sempere, J.I.;Ramirez, A.;Fuentes, F.;Hevia, M.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0호
    • /
    • pp.1416-1424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production and quality of forage at three different times of the year (April, June and July) of six winter cereals in the southern plateau of the Iberian Peninsula. The cereals studied were Triticale (xTriticosecale wittm) cv. "Tritano", Oat (Avena sativa L.) cv. "Prevision" and cv. "Saia; Rye (Secale cereale L.) cv. "Giganton", Barley (Hordeum vulgare L.) cv. "Cameo" and cv. "Albacete".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ree different locations and over three successive years of harvesting. The three variables considered were location, year and cereal. The % dry matter (DM), % crude protein (CP), % acid detergent fiber (ADF), %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 ash content were determined for the three sampling periods and the quality was calculated in milk forage units (MFU/kg DM), the production in kg DM/ha, MFU/ha and kg CP/ha. In all three sampling periods the quality of the cereal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by the year and by species. However, for production of dry matter (kg DM/ha), milk forage units (MFU/ha) and gross protein (kg CP/ha) all three variables were of significant influence as were their interactions. In the April sampling, the species which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roduction ($p{\leq}0.05$) was rye (1,693 kg DM/ha), which, along with its forage quality (16.56% CP, 0.886 MFU/kg DM) meant that the same occurred in MFU/ha and kg CP/h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were also found for the June sampling. The most productive cereal was again rye with 2,656 kg DM/ha, although its sharp fall in forage quality meant that barley cv Albacete (2,513 kg DM/ha) returned the highest production in forage units (1,934 vs. 1,951 MFU/ha) and barley cv. Cameo (2,413 kg DM/ha) in gross protein production (242 vs. 264 kg CP/ha). The significantly highest cereal production for July was barley cv. Albacete (4,923 kg DM/ha, 9.11% CP 0.722 MFU/kg DM). As a consequence of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from the viewpoint of nutritional quality and production, rye is the most suitable for use in early spring in whatever year and location. However, barley cv. "Albacete" is the most appropriate for utilisation in later spring or early sum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