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C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8초

Analysis and Design of a Separate Sampling Adaptive PID Algorithm for Digital DC-DC Converters

  • Chang, Changyuan;Zhao, Xin;Xu, Chunxue;Li, Yuanye;Wu, Cheng'en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6권6호
    • /
    • pp.2212-2220
    • /
    • 2016
  • Based on the conventional PID algorithm and the adaptive PID (AD-PID) algorithm, a separate sampling adaptive PID (SSA-PID) algorithm is proposed to improve the transient response of digitally controlled DC-DC converters. The SSA-PID algorithm, which can be divided into an oversampled adaptive P (AD-P) control and an adaptive ID (AD-ID) control, adopts a higher sampling frequency for AD-P control and a conventional sampling frequency for AD-ID control. In addition, it can also adaptively adjust the PID parameters (i.e. $K_p$, $K_i$ and $K_d$) based on the system stat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tter line transient and load transient responses than the conventional PID and AD-PID algorithm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ID and AD-PID algorithms, the experimental results based on a FPGA indicate that the recovery time of the SSA-PID algorithm is reduced by 80% and 67% separately, and that overshoot is decreased by 33% and 12% for a 700mA load step. Moreover, the SSA-PID algorithm can achieve zero overshoot during startup.

FPGA를 이용한 Digital IF Up/Down 변환기 설계 (Design of Digital IF Up/Down Converter Using FPGA)

  • 이용철;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023-102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SDR(Software Defined Radio) 시스템을 위한 Digital IF(Intermediate Frequency) Up/Down 변환기를 설계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설계한 시스템은 AD 변환부, DA 변환부 및 Up-Down conversion 기능을 수행하는 FPGA로 구성된다. AD 변환부는 Analog Device 사의 AD6645를 사용하였으며, DA 변환부는 Analog Device 사의 AD9775를 사용하였다. Up-Down conversion 기능을 수행하는 FPGA부는 샘플된 IF 입력을 혼합기와 NCO에 의해 기저대역(DC)으로 다운 시키는 역할을 하며, 14bit의 기저대역(DC) 신호를 혼합기와 NCO에 의해 IF 출력으로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설계는 기존의 아날로그 헤테로다인 방식에 비하여 높은 유연성 및 우수한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

  • PDF

Full FPGA 기반 DC 모터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a Full FPGA-based DC-motor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 임병규;강문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1호
    • /
    • pp.211-22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FPGA 내에 DC 모터 제어와 TFT LCD 인터페이스가 내장되어, 제어와 결과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이 용이하고 컴팩트한 전(full)-FPGA 기반 모터 제어 시스템을 보인다. PID 속도 제어 모듈과 TFT LCD 상에 실험 결과를 실시간 보여주기 위한 모니터링 모듈을 하나의 FPGA내에 설계하고,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유용성을 보인다. FPGA로는 xc3s400를 사용하였고, AD (Aaltium Designer)를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DC 모터 4상한 운전을 위해 MOSFET를 이용한 PWM 모터 드라이버를 제작하였다.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에서 항당뇨 생약 복합물의 혈당강하 효과 (Antihyperglycemia Effect of Medicinal Plants Mixtur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금주;진휘승;박승희;김은호;김재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554-1559
    • /
    • 2008
  • STZ를 이용한 당뇨유발은 독성물질에 의한 췌장 세포의 파괴를 인위적으로 유도시킴으로써 일정하게 고혈당을 유지 시켜주는 방법이다. 장기적인 고혈당은 인슐린의 민감도를 감소시키고 췌장기능을 저하시키며 잠재적으로는 당뇨병의 악화 및 심혈관 합병증을 유도한다(28,29). 이에 본 연구에서는 STZ로 당뇨를 유발한 흰쥐에 AD복합물을 단회 및 반복 투여한 후 혈당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AD복합물의 단회 투여에서 시간별($0{\sim}4$시간)로 혈당변화가 관찰되었다. DC군의 공복혈당은 $437.3{\pm}28mg/dL$에서 3시간 후의 혈당이 $443.3{\pm}28mg/dL$로 거의 변화가 없었던 반면 AD1군은 $414.0{\pm}19mg/dL$에서 $358{\pm}35mg/dL$로 AD2군은 $401.0{\pm}28mg/dL$에서 $351{\pm}16mg/dL$로 혈당이 낮춰졌다. 또한 경구당부하 실험에서는 DC군에 비해 AD복합물 투여군이 포도당 투여 1시간 후의 혈당상승을 억제하고 빠른 속도로 원래의 혈당으로 회복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이 AD복합물의 장기투여에서도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STZ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에 4주 동안 AD복합물을 투여하고 1주마다 혈당변화를 측정한 결과 DC군은 4주 동안 투여 전(0주) 혈당인 $385{\pm}9mg/dL$를 마지막 주인 4주까지 $365{\pm}6mg/dL$로 꾸준히 비슷하게 유지한 반면, AD1군은 투여 전 혈당인 $349{\pm}9mg/dL$에서 $260{\pm}8mg/dL$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AD2군은 투여 전 혈당인 $430{\pm}10mg/dL$에서 $267{\pm}38mg/dL$로 공복 시 혈당저하 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D복합물의 투여는 당뇨로 인한 체중감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내의 당대사를 촉진시켜 공복혈당감소와 체중감소억제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CEA 발현 수지상 세포를 이용한 CEA 특이 살해 T 세포의 유도 (Induction of CEA-specific Cytotoxic T Lymphocytes by Murine Dendritic Cells Expressing CEA)

  • 원은하;김창현;박미영;조현일;오승택;홍용길;김태규
    • IMMUNE NETWORK
    • /
    • 제3권4호
    • /
    • pp.295-301
    • /
    • 2003
  • Background: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is well-known soluble tumor marker frequently detectable in peripheral blood of carcinoma patients and considered as good target for antigen-specific immunotherapy. In this study, we used a replication-deficient adenovirus containing CEA to study CTL induction in vitro after adenovirus-mediated gene transfer into DC. Methods: DC were obtained from mouse bone marrow and cultured with IL-4 and GM-CSF. For measuring CTL activity, splenocytes were harvested from the mice, which were immunized with DC that had been infected AdV-CEA or pulsed with CEA peptide. Untreated DC was used as a control. Splenocytes were re-stimulated in vitro with DC pulsed with CEA peptide for 7 days and CTL activity with CEA peptide-pulsed EL-4 cells were assessed in a standard $^{51}Cr$-release assay. The frequencies of antigen-specific cytokine-secreting T cell were determined with $mIFN-{\gamma}$ELISPOT. Results: DC infected with recombinant adenovirus expressing CEA induced CEA-specific CTL responses in vivo. Splenocyte induced from mice immunized with AdV-CEA-infected DC increase in the number of $IFN-{\gamma}$ secreting T cells compared with those from mice immunized with CEA peptide-pulsed DC.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C infected with recombinant adenovirus has advantages over other forms of vaccination and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approach vaccination therapies.

Adenovirus-mediated Expression of Both Antisense Ornithine Decarboxylase and S-adenosylmethionine Decarboxylase Induces G1 Arrest in HT-29 Cells

  • Gong, Lei;Jiang, Chunying;Zhang, Bing;Hu, Haiyan;Wang, Wei;Liu, Xianxi
    • BMB Reports
    • /
    • 제39권6호
    • /
    • pp.730-736
    • /
    • 2006
  • To evaluated the effect of recombinant adenovirus Ad-ODC-AdoMetDCas which can simultaneously express both antisense ornithine decarboxylase (ODC) and S-adenosylmethionine decarboxylase (AdoMetDC) on cell cycle distribution in colorectal cancer cell and investigated underlying regulatory responses,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HT-29 were cultured in RPMI 1640 medium and infected with Ad-ODC-AdoMetDCas. Cell cycle progression was detected by flow cytometry analysis. The expression levels of cell cycle regulated proteins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mRNA level of cyclin D1 was measured by RT-PCR. And a luciferase reporter plasmid of cyclin D1 promoter was constructed to observe the effect of Ad-ODC-AdoMetDCas on cyclin D1 promoter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recombinant adenovirus Ad-ODC-AdoMetDCas significantly induced $G_1$ arrest, decreased levels of cyclin D1 protein and mRNA and suppressed the promoter activity. Ad-ODC-AdoMetDCas also inhibited nuclear translocation of $\beta$-catenin. In conclusion, downregulation of ODC and AdoMetDC mediated by Ad-ODC-AdoMetDCas transfection induces $G_1$ arrest in HT-29 cells and the arrest was associated with suppression of cyclin D1 expression and inhibition of $\beta$-catenin nuclear translocation. As a new anticancer reagent, the recombinant adenovirus Ad-ODC-AdoMetDCas holds promising hope for the therapy of colorectal cancers.

저가형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Flyback 컨버터의 원격제어 (The Remote Control of a Flyback Converter using an Inexpensive Microcontroller)

  • 김윤서;양오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1권6호
    • /
    • pp.67-74
    • /
    • 2004
  • 기존의 아날로그 제어방식과는 달리 디지털 제어 방식은 기본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 제어방식에서는 할 수 없었던 DC-DC 컨버터 내부 파라미터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아날로그 제어방식에서는 처음의 사양에 의해 고정된 출력전압을 얻었지만 디지털 제어 방식에서는 PC와 DC-DC 컨버터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전압을 얻어낼 수 있고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PC와의 통신을 통해 원거리에 있는 DC-DC 컨버터에 정확한 전압이 출력되고 있는지 또는 비정상적인 전압이 출력되고 있는지를 감시,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디지털 제어기의 장점과 함께 디지털 제어기의 저가격화에 대한 실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AD 컨버터와 PWM 로직이 내장되어 있는 저가의 정수형 On-chip 마이크로 콘트롤러인 Renesas사의 H8/3672를 사용하였다. 디지털 제어기는 Flyback 컨버터에 적용되었으며, DC 20∼30V 입력으로부터 기본 DC 5V 출력전압을 갖도록 설계되었고, 또한 에뮬레이터를 이용하여 PC상에서 원격으로 DC 0V에서 DC 5V이상까지의 다양한 출력 전압을 만들 수 있다. PWM의 듀티(Duty) 제어를 위한 제어기로써는 PID제어기 중에서 PD제어기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된 디지털 제어방식 컨버터의 실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과도상태의 특성과 정상 상태의 특성을 분석하여 정수형의 저가형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Flyback 컨버터의 실용성을 검토하였다.

펄스모드 스위칭 직류전원 장치에 적합한 AC/DC 켄버터 (AC/DC Converter Suitable for a Pulsed Mode Switching DC Power Supply)

  • 문상호;노의철;김인동;김흥근;전태원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2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8-381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a novel multilevel ad/dc power converter suitable for the protection of frequent output short-circuit. The output dc power of the proposed converter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load within several hundred microseconds at the instant of short-circuit fault. The rising time of the dc load voltage is as small as several hundred microseconds, and there is no overshoot of the do voltage because the dc output capacitors keep undischarged state. Analysis and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and usefulness of the proposed scheme.

  • PDF

Cytotoxic T Lymphocytes Elicited by Dendritic Cell-Targeted Delivery of Human Papillomavirus Type-16 E6/E7 Fusion Gene Exert Lethal Effects on CaSki Cells

  • Wu, Xiang-Mei;Liu, Xing;Jiao, Qing-Fang;Fu, Shao-Yue;Bu, You-Quan;Song, Fang-Zhou;Yi, Fa-P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447-2451
    • /
    • 2014
  • Human papillomavirus (HPV) is the primary etiologic agent of cervical cancer. Consideration of safety and non human leukocyte antigen restriction, protein vaccine has become the most likely form of HPV therapeutic vaccine, although none have so far been reported as effective. Since tumor cells consistently express the two proteins E6 and E7, most therapeutic vaccines target one or both of them. In this study, we fabricated DC vaccines by transducing replication-defective recombinant adenoviruses expressing E6/E7 fusion gene of HPV-16, to investigate the lethal effects of specific cytotoxic T lymphocytes (CTL) against CaSki cells in vitro. Mouse immature dendritic cells (DC) were generated from bone marrow, and transfected with pAd-E6/E7 to prepare a DC vaccine and to induce specific CTL. The surface expression of CD40, CD68, MHC II and CD11c was assessed by flow cytometry (FCM), and the lethal effects of CTL against CaSki cells were determined by DAPI, FCM and CCK-8 methods. Immature mouse DC was successfully transfected by pAd-E6/E7 in vitro, and the transfecting efficiency was 40%-50%. A DC vaccine was successfully prepared and was used to induce specific CTL.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apoptosis and killing rate of CaSki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coculturing with the specific CTL (p <0.05). These results illustrated that a DC vaccine modified by HPV-16 E6/E7 gene can induce apoptosis of CaSki cells by inducing CTL, which may be used as a new strategy for biological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빠른 동적 응답특성의 병렬-직렬 구조형 AD-DC 컨버터 (A parallel-series type AC-DC converter with a fast dynamic response)

  • 채수용;현병철;김우섭;신종원;조보형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9-51
    • /
    • 2008
  • 본 논문은 중용량급 전원회로의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는 절연형 AC-DC 컨버터의 구조와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회로의 구조는 병렬 전력 처리를 기반으로 한다. 병렬 모듈의 기능을 각각 AC 입력 전류의 위상을 제어하는 역률개선(PFC) 기능과,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DC 전압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의 기능으로 분리한다. 병렬 모듈의 최종 출력단을 서로 직렬 연결하여, PFC 모듈이 생성한 전압과 DC-DC 컨버터 모듈이 생성한 전압을 서로 더해서 출력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기존의 병렬형 AC-DC 컨버터에 대비하여 반도체 소자의 내압을 감소시킬 수 있고, 최종 DC 전압의 동작응답특성 향상이 가능하다. 회로의 동작모드 분석이 실시되었고, 제어기 구현 방법이 제시되었다. 제안된 구조는 PDP 전원회로에의 응용을 위해서 400W(출력전압-200V, 출력전류-2A)급 실험용 회로를 구현하여 동작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