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 HOC Networks

검색결과 1,358건 처리시간 0.027초

클러스터 기반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보안 라우팅 프로토콜 (Secure Routing Protocol in Cluster-Based Ad Hoc Networks)

  • 민성근;박요한;박영호;문상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2호
    • /
    • pp.1256-1262
    • /
    • 2012
  •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는 고정된 기반 망의 도움 없이 이동 단말만으로 구성된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네트워크이다. 최근 애드혹 네트워크의 보안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클러스터 기반 애드혹 네트워크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에 적합한 라우팅 프로토콜 역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클러스터 기반 ad-hoc 네트워크에서 보안을 고려한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기반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공격에 안전한 보안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보안 라우팅 프로토콜은 Diffie-Hellman 키 교환, HMAC, 디지털 서명 등을 사용하여 라우팅 메시지에 대한 무결성을 보장하여 안전한 경로 설정을 수행하였다.

무선 Ad-hoc 네트워크에서 노드 이동성을 고려한 견고한 경로 관리 기법 (A Robust Route Maintenance Scheme Considering Node Mobility in Wireless Ad-hoc Networks)

  • 김관웅;배성환;김대익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4A호
    • /
    • pp.309-315
    • /
    • 2009
  • 무선 Ad-hoc 네트워크는 이동 노드로 구성되는 동적 네트워크이다. 일반적으로 Ad-hoc 네트워크에서 노드는 랩탑, PDA, 모바일 폰 등과 같은 장치로 블루투스나 IEEE 802.11(위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특징을 가지고 분산방식으로 통신을 한다. 이러한 Ad-hoc 네트워크의 특성에 기인한 이동성은 라우팅 프로토콜 디자인에 중요한 특징적 요소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토폴로지 변화에 잘 적응하는 향상된 경로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 주된 특징은 경로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서 링크 단절 전에 다음-홉 노드를 대체 이웃 노드에 스위칭 하는 방식이다. NS2를 이용한 무선 Ad-hoc 네트워크의 다양한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 성능이 기존의 AODV 프로토콜에 비교하여 향상되었음을 보인다.

멀티미디어 Ad Hoc 무선망에서 지연시간 보장 공정큐잉(DGFQ)의 분산적 구현 (Distributed Implementation of Delay Guaranteed Fair Queueing(DGFQ) in Multimedia Ad Hoc Wireless Networks)

  • 양현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245-253
    • /
    • 2005
  • 멀티미디어 Ad Hoc 무선망은 매우 매력적인 화두이며 이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고정된 기간망이 없이도 이동중인 최종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특수한 설계상의 제약점으로 인하여 Ad Hoc 무선망에서 자원을 공정하게 분배하면서도 지연시간을 보장하는 것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적인 방법으로 지연시간 보장 공정 큐잉(DGFQ, Delay Guaranteed Fair Queueing) 방식을 멀티미디어 Ad Hoc 무선망에서 구현하고 성능 평가의 결과를 통하여 DGFQ 방식이 멀티미디어 무선망 환경에서도 제한된 지연시간을 보장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Ad hoc 네트워크에서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영상 전송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Image Transmission System in Ad-Hoc Network Using AODV Routing Protocol)

  • 이성훈;이형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92-100
    • /
    • 2008
  • Ad-hoc 네트워크는 중앙의 특별한 관리 체계 없이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을 사용하지 않는 이동 호스트들만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말한다. 최근 Ad-hoc 멀티홉 통신시스템과 같은 확장된 개념의 Ad-hoc 망으로 범위가 넓어지고 있어 QoS에 대한 요구 수준이 증대되고 있다. Ad-hoc 네트워크는 잦은 망 구성의 변화, 라우터의 수, 제한된 사용 자원 등 기존 유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특성들을 갖게 된다.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던 라우팅 프로토콜들을 무선 ad-hoc 네트워크에 그대로 적용시킨다면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은 Ad-hoc 네트워크 이동 노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Ad-hoc 네트워크에서 변화하는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에서 항상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은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제공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NDIS(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기반의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영상 전송이 성능 저하 없이 동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확인하였다.

  • PDF

Ad-hoc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 of Test Bed for Ad-hoc Networks)

  • 이흥재;가순모;최진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1A호
    • /
    • pp.1059-1067
    • /
    • 2006
  •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은 Ad-hoc 네트워크에서 이동 노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Ad-hoc 네트워크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노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항상 최적 경로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로 인하여 경로 단절과 전송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으로 변화하는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에서 항상 최적의 경로를 확보 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통하여 경로의 단절과 전송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AODV를 기반으로 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하였으며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제안 프로토콜을 평가하였다. Ad-hoc 네트워크를 위한 여러 가지 기반 기술의 검증을 위하여 실제의 Ad-hoc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AODV 라우팅 프로토콜, NAT, Netfilter등의 Ad-hoc을 위한 소프트웨어 검증을 위한 많은 이벤트 메시지를 성능 저하 없이 동작시킬 수 있는 고성능의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하드웨어를 이용한 Ad-hoc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에서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의 정상 동작과 기존 인터넷 망과의 연동을 확인하였다.

Ad-hoc 망에서 이동 노드 간 상호 인증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mobile node in Ad-hoc Network)

  • 최우진;석경휴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087-1092
    • /
    • 2015
  •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으로 무선망 사용에 대한 요구가 다양해 졌으며,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 새로운 차원의 인터넷 기술인 Ad-hoc망이 필요하게 되었다. Ad-hoc망은 기지국 중심의 통신을 하지 않으며, 망에 포함된 각 이동 노드들이 서로 중계국 역할을 하여 통신한다. 최근 몇 년 동안 Ad-hoc망에서의 다양한 라우팅 프로토콜 및 무선 네트워크의 보안, 인증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지만, 무선인터넷 및 Ad-hoc망에서의 보안, 인증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USIM 카드에 인증 및 키일치 기술 적용 가능성을 고려한 자바카드와 Ad-hoc망의 DSR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동노드간의 안전한 인증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Architectures and Connection Probabilities forWireless Ad Hoc and Hybrid Communication Networks

  • Chen, Jeng-Hong;Lindsey, William C.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4권3호
    • /
    • pp.161-169
    • /
    • 2002
  • Ad hoc wireless networks involving large populations of scattered communication nodes will play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of low power, high capacity, interactive, multimedia communication networks. Such networks must support arbitrary network connections and provide coverage anywhere and anytime. This paper partitions such arbitrarily connected network architectures into three distinct groups, identifies the associated dual network architectures and counts the number of network architectures assuming there exist N network nodes. Connectivity between network nodes is characterized as a random event. Defining the link availability P as the probability that two arbitrary network nodes in an ad hoc network are directly connected, the network connection probability $ \integral_n$(p) that any two network nodes will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is derived. The network connection probability $ \integral_n$(p) is evaluated and graphically demonstrated as a function of p and N. It is shown that ad hoc wireless networks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network nodes possesses the same network connectivity performance as does a fixed network, i.e., for p>0, $lim_{N\to\infty} Integral_n(p)$ = 1. Furthermore, by cooperating with fixed networks, the ad hoc network connection probability is used to derive the global network connection probability for hybrid networks. These probabilities serve to characterize network connectivity performance for users of wireless ad hoc and hybrid networks, e.g., IEEE 802.11, IEEE 802.15, IEEE 1394-95, ETSI BRAN HIPERLAN, Bluetooth, wireless ATM and the world wide web (WWW).

이동 Ad Hoc 망을 위한 다중 계층 클러스터링 기반의 인증 프로토콜 (An Authentication Protocol-based Multi-Layer Clustering for Mobile Ad Hoc Networks)

  • 이근호;한상범;서혜숙;이상근;황종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4호
    • /
    • pp.310-32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ad hoc 망에서의 다중 계층 기법 기반의 안전한 클러스터 라우팅 프로토콜을 표현하였다. 클러스터기반 라우팅인 ARCH와 DMAC의 수정을 통해 CH와 CCH의 선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ad hoc 라우팅 프로토콜에서의 보안 위협 요소에 대한 효율적인 프로토콜인 AMCAN(Ad hoc 망을 위한 다중 계층 클러스터링 기반의 인증 )을 제안하였다. 본 프로토콜은 ad hoc 망에서 임계치 (threshold) 인증 기법을 통한 Shadow Key를 이용하여 확장성을 제공하였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다른 클러스터 노드들간의 상호 신뢰 관계를 갖는 종단간 인증 프로토콜로 구성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규모가 넓은 ad hoc 망에서 임계치 인증키 구성의 장점을 갖는다. 본 논문의 실험결과를 통해 다중 계층 라우팅 기법에서 임계치 키 구성을 이용한 임시 세션키의 안전한 분산을 통해 노드 ID 위조를 방지하고, 상호 종단간 인증과 Reply Attack을 검출하여 안전한 채널을 구축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동 Ad 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클러스터링 구조에 기반한 인증 메커니즘 (An Authentication Mechanism Based on Clustering Architecture in Mobile Ad Hoc Networks)

  • 이도;신용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61-1464
    • /
    • 2005
  • In contrast with conventional networks, mobile ad hoc networks usually do not provide online access to trusted authorities or to centralized servers, and they exhibit frequent partitioning due to link and node failures and node mobility. For these reasons, traditional security solutions that require online trusted authorities or certificate repositories, but those are not well-suited for securing ad hoc networks. Moreover, a fundamental issue of securing mobile ad hoc networks is to ensure mobile nodes can authenticate each other. Because of its strength and efficiency, public key and digital signature is an ideal mechanism to construct the authentication service. Although this is already mature in the internet application, providing public key based authentication is still very challeng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In this paper I propose a secure public key authentication service based on clustering model and trust model to protect nodes from getting false public keys of the others efficiently when there are malicious nodes in the network.

  • PDF

Autonomous routing control protocol for mobile ad-hoc networks

  • 김동욱;강동진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17-20
    • /
    • 2008
  • A clustering scheme for ad hoc networks is aimed at managing a number of mobile devices by utilizing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networks. In order to construct and maintain an effective hierarchical structure in ad hoc networks where mobile devices may move at high mobility, the following requirements must be satisfied. The role of each mobile device for the hierarchical structure is adaptive to dynamic change of the topology of the ad hoc networks. The role of each mobile device should thus change autonomously based on the local information. The overhead for management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is small. The number of mobile devices in each cluster should thus be almost equivalent. This paper proposes an adaptive multihop clustering scheme for highly mobile ad hoc networks. The results obtained by extensive simulation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does not depend on mobility and node degree of mobile devices in the ad hoc network, which satisfy the above requir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