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E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31초

In Vitro Anticholinesterase 스크리닝을 위한 집파리 및 3종 곤충으로부터의 Acetylcholinesterase의 추출 (Extraction of Acetylcholinestrase from the Housefly and Three Other Insect Species for In Vitro Anticholinesterase Screening)

  • 이시혁;이준호;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8-28
    • /
    • 1991
  • 집파리(Musca domestica L.)외 3종 곤충으로부터 0.01 M sodium phosphate buffer를 이용하여 AChE를 분리, 추출할 때 AChE의 안정성 및 buffer capacity를 고려한 적정 pH는 7.5였으며, 0.1M sidium phosphate buffer의 기질 수용액으로 AChE의 활성을 측정할 경우 효소의 활성화와 buffer capacity를 고려했을 때 pH는 7.5가 적합한 조건이었다. AChE 분리.추출을 위한 조직의 마쇄시에는 Potter Elvehjem homogenizer를 사용하였으며, 마쇄액을 원심분리하여 AChE현탁액을 조제할 때 집파리의 경우에는 성충 두부700g 상등액을,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는 5령 약충 전충체의 700g 상등액을, 배추좀나방 (Plutella xylostella L.)의 경우에는 5령 유충 전충체의 지질을 제거한 10,000g 상등액을, 그리고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의 경우에는 4령 유충.두부의 700g 상등액을 AChE 0.2~0.5U 정도로 조정하여 효소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대량조제, 추출수율 및 활성 측정상의 안정성등을 고려할 때 합리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4종 곤충의 AChE현탁액을 $-18^{\circ}C$ 조건에서 냉동보관할 경우 3주까지는 90% 이상의 활성이 유지되었다. 집파리, 벼멸구 및 배추좀나방 AChE의 Km 값은 각각 0.042, 0.037 및 0.043 mM이었으며, 고농도에서 AChE 특이적 기질 저해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담배거세미나방 ChE의 경우에는 1.15 mM의 Km값을 가지며 BuChE적 특성을 보이는 듯 하나 추가실험이 요구된다. 각 곤충의 AChE를 대상으로 한 저해실험시의 적정 기질농도는 집파리, 벼멸구, 배추좀나방의 경우에는 공히 0.5 mM 그리고 담배거세미나방의 경우는 12 mM 이었다.

  • PDF

Biochemical Properties of Acetylcholinesterase from the Larval Head of Bombyx mori

  • Lee, Hwa-Jun;Lee, Heui-Sam;Lee, Pyeong-Jae;Cho, Il-Je;Lee, Sang-Mong;Moon, Jae-Yu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권1호
    • /
    • pp.73-78
    • /
    • 2000
  • We investigated some biochemical properties of acetylcholinesterase (AChE) in the Bombyx mori larval head. 1% Triton X-100 (v/v) was suitable for extracting AChE from the silkworm larval head but 1 M NaCl was not suitable. PAGE analysis showed a single band of AChE that was detected by histochemical staining using acetylthiocholine as a substrate. AChE was also partially purified with Sepharose 6B and DEAE-cellulose column. Finally, the specific activity of partially purified enzyme solution was 7.6. The study on inhibitor specificity indicated that the enzyme under study was a true cholinesterase (ChE) or AChE. AChE activity was maximum at the substrate concentration of $5{\times}10^{-4}$ M and the excess substrate inhibited the AChE activity.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were pH 7.0-9.0 and 30-35$^{\circ}C$.

  • PDF

Linolenic acid/linoleic acid 비율이 다른 식이가 연령이 다른 흰쥐의 뇌구조지방 조성과 Acetylcholinester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Linolenic Acid/linoleic Acid Ratio on Brain Lipid Composition and Acetylcholinestease Activity in Different Aged Rats)

  • 윤군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8호
    • /
    • pp.706-716
    • /
    • 199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ge and dietary linolenic acid content and the linolenic acid/linoleic acid (LAN/LA) ratio on the brain lipid composition and membrane-bound enzyme, acetylcholinesterase(AchE) activities. AchE was selected as a test cas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 lipid composition and cell membrane function. The male rats were fed diets with 0.2, 0.4, 0.6 of LNA/LA ratio within 8% LNA(H-LNA) or 4% LNA(L-LAN) of total fatty acid content for different feeding period(1, 4, 12 month). The fats used s source were sesame oil, perilla oil, soybean oil and beef tallow. The AchE activity of brain crude synaptosomal fraction was reduced with advancing age, showing 20-30% reduction in 12M compared with 1 M, and the P/C ratio was reduced in old rats. In 1 and 4 monthed rats, AchE activites was higher in H-LAN-0.2 and L-LNA-0.2 and 0.4 group. In accordance with rising of AchE activities was higher in H-LNA-0.2 and L-LNA-0.2 and 0.4 group. In accordance with rising of AchE activities, the PC/PE ratio increasedin those groups. Paricularly in L-LNA, the PC/PE ratio increased as the AchE activites for decline of membrane fluidity with increasing cholesterol and decreasing P/C ratio when rats were old. Also, AchE activity increaed with increasing PC/PE ratio which depended on the dietary LNA/LA ratio within each LNA content.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lipid composition of cell membrane influenced the AchE activiteis, which was mediated by aging and the modification of dietary LNA/LA ratio.

  • PDF

In vitro Evaluation of New Acetylcholinesterase Reactivators as Casual Antidotes against Tabun and Cyclosarin

  • Kuca, Kamil;Jun, Daniel;Kim, Tae-Hyuk;Cabal, Jiri;Jung, Young-Si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3호
    • /
    • pp.395-398
    • /
    • 2006
  • Nerve agents (sarin, tabun, soman and VX) are class of military important substances able to cause many severe intoxications during few minutes. Currently, the threat of misuse of these agents is daily discussed. Unfortunately, there is no single antidote able to treat intoxication caused by all of these agents. Owing to this fact, new generation of antidotes, especially acetylcholinesterase (AChE; EC 3.1.1.7) reactivators, is still developed. In this study, we have tested four newly developed AChE reactivators: 1-(4-hydroxyiminomethylpyridinium)- 5-(4-carbamoylpyridinium)-3-oxa-pentane dibromide (1), 1-(3-hydroxyiminomethylpyridinium)-5-(4-carbamoylpyridinium)-3-oxa-pentane dibromide (2), 1,5-bis(2-hydroxyiminomethylpyridinium)-3-oxa-pentane dichloride (3) and 1,5-bis(4-hydroxyiminomethylpyridinium)-3-oxa-pentane dibromide (4) for their potency to reactivate in vitro tabun and cyclosarin-inhibited AChE. Their reactivation efficacy was compared with currently the most promising oxime HI-6 (1-(2-hydroxyiminomethylpyridinium)-3-(4-carbamoylpyridinium)-2-oxa-propane dichloride). According to obtained results, two AChE reactivators 1 and 4 were able to reactivate tabun-inhibited AChE. On the contrary, there was no better AChE reactivator than HI-6 able to reactivate cyclosarin-inhibited AChE.

천연 식물자원으로부터 Acetylcholinesterase 저해 및 항산화 활성 탐색 (Screening of Natural Plant Resources with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 김대익;이성현;허은영;조수묵;박홍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27-43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퇴행성 질환의 하나인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물질 탐색의 기초자료로서 식물 추출물에서 AChE 저해와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AChE 효소의 저해 활성을 살펴본 결과, 식물 전초(whole plant) 추출물에서는 당근, 땃딸기와 고추나물에서 20%-30% AChE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또한 식물 부위별(stem, leaf, fruit, root) 추출물의 AChE저 해 활성을 살펴본 결과, 줄기 부위 추출물에서는 은행나무(Gingko biloba)가 32.1%, 잎 부위 추출물에서는 산철쭉(Rhododendron yedoensa var. poukhanense)이 33.9%, 열매 부위 추출물에서는 선인장(Opuntia ficus-indica var. saboen)이 18.2%의 AChE 저해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결과, 식물 전초에서는 땃딸기(Fragaria yezoensis)에서 90.4%의 라디칼 제거 효과로 L-ascorbic acid와 거의 유사한 항산화력이 나타나났다. 식물 부위별 추출물의 라디칼 제거 효과를 살펴본 결과, 줄기와 뿌리 부위 추출물의 은행나무, 잎 추출물에서 털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가 약 90%의 라디칼 제거 효과를 보였으며, 열매 부위 추출물의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약 95% DPPH 라디칼 제거 효과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식물 전초 추출물의 땃딸기와 고추나물, 식물 부위별 추출물에서는 줄기 부위의 은행나무와 잎 부위의 산철쭉이 AChE 효소 저해와 항산화력 활성이 높으므로 퇴행성 질환의 하나인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hibitory Effect of Corynoline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Corydalis incisa on the Acetylcholinesterase

  • Kim, Dae-Ke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817-819
    • /
    • 2002
  • In the course of screening Korean natural products for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ctivity, it was found that a methanolic extract of the aerial parts of Corydalis incisa (Papaveraceae)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on AChE. Corynoline isolated from this plant inhibited ACh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IC_{50}$ value of corynoline was $30.6{\;}{\mu}M$. The AChE inhibitory activity of corynoline was reversible and noncompetitive.

전기뱀장어 및 집파리 AChE를 이용한 살충제의 In Vitro AChE 저해 시험 (In Vitro AChE Inhibition Tests of Insecticides Using Electric eel and Housefly AChE)

  • 이시혁;이준호;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2-132
    • /
    • 1992
  • 신규화합물의 in Vitro AChE 저해력을 평가하기 위한 저해시험법의 확립을 목적으로 실험을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EX}$I_{50}${/TEX} 산출이 가능한 고정시간 저해시험(fixed time inhibition test)의 경우, DFP, DDVP 및 paraoxon과 같은 대표적 AChE 저해제의 저해력 평가에 적당한 저해시간은 10분 정도로 조사되었으며, 10분간의 저해조건하에서 ester group을 보유한 신규화합물의 저해여부 및 정도의 평가에 효과적인 시험농도는 10$\mu$M 수준으로 판정되었으나 다른 화합물의 경우에는 보다 높은 농도로부터 단계적 저해시험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TEX}$K_{d}${/TEX}, {TEX}$k_{3}${/TEX} 및 {TEX}$k_{i}${/TEX}와 같은 저해상수의 산출을 위한 경시적 저해시험(Progressive inhibition test)에 있어서, 본 실험의 장시간 저해(0.8~13.3분)와 낮은 저해제농도(1$\times${TEX}$10^{-9}${/TEX}~2$\times${TEX}$10^{-6}${/TEX}M)의 조건하에서는 극히 낮은 {TEX}$K_{d}${/TEX}(1.3$\times${TEX}$10^-{8}${/TEX}~5.6$\times${TEX}$10^{-7}${/TEX}M) 및 {TEX}$K_{3}${/TEX}(0.21~{TEX}$0.27min^{-1}${/TEX})가 관찰되었으나 저해제간의 저해독성 조사에는 충분한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DFP, paraoxon 및 신규화합물인 KH501간의 현격한 저해력 차이는 {TEX}$K_{d}${/TEX}의 차이 즉, 저해제와 AChE간의 친화력 차이에 기인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AntiChE 스크리닝에 있어서 1차단계에서는 고정시간 저해법을 통하여 산출된 {TEX}$I_{50}${/TEX}를 바탕으로 하여 저해력 유무 및 정도를 파악하고, 1차단계에서 고도의 AChE 저해력이 인정된 신규 화합물을 대상으로 2차단계인 경시적 저해법을 이용하여 저해양상 및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합리적인 체계일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10가지 식용식물 추출물의 가바, 글루탐산 함량,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및 라디컬 소거능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GABA, Glutamate Contents,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nd Antiradical Activity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10 Edible Plants)

  • 정연섭;박성진;김지은;양선아;박정현;김정현;지광환;이삼빈;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47-451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식용 가능한 10종 식물의 인지기능 개선 관련 효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AChE 억제활성과 DPPH,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을 비교하였으며, GABA 및 글루탐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GABA 함량은 오미자 추출물에서 14.8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천궁과 하수오 추출물에서도 각각 3.1 mg/g과 5.4 mg/g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AChE 저해활성은 오미자, 헛개나무, 측백엽,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1 mg/mL에서 각각 33, 26.6, 20.7%, 그리고 17.8%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10종 추출물 중 높게 나타났다. 또한, DPPH 및 ABTS에 대한 라디컬 소거능은 헛개나무, 측백엽, 가시오가피, 오미자 추출물에서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글루타민산은 석창포 외의 9가지 추출물에서 고르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10종 추출물 중 특히 오미자는 뇌의 대사를 향상시켜 뇌기능을 촉진시키는 GABA의 함량이 높은 것과 함께 AChE 억제 활성도 가장 높았으며, 라디컬 소거효과도 비교적 높게 나타나 뇌기능 개선을 위한 뛰어난 소재로 나타났다. 또한, AChE 억제 활성과 라디컬 소거능이 높게 나타난 헛개나무, 가시오가피 및 측백엽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인지기능 개선 효능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지표 중 AChE 억제 활성과 식물 추출물의 라디컬 소거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GABA 및 체내에서 GABA로 전환되는 글루탐산 함량이 직접적인 AChE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유기인계(有機燐系) 살충제 Phorate 가 Acetylcholinesterase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horate, an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on the Activity of Acetylcholinesterase)

  • 김정호;홍종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7-83
    • /
    • 1987
  • 유기인계(有機燐系) 살충제인 phorate 가 병아리의 Acetylcholin esterase 활성(活性) 저해(沮害)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Phorate와 그 대사물(代謝物)에 대(對)한 AChE 및 ChE 활성(活性)의 $I_{50}$값은 phosphorothiolate형(型)(표현불가)이 phosphorodithiolate형(型)(표현불가)보다 약(約) $700{\sim}2500$배(培) 낮았으며, 측쇄(側鎖)의 산화(酸化) 상태별(狀態別)로 보면 sulfide>sulfoxide>sulfone의 순(順)으로 $I_{50}$값이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병아리에 대(對)한 phorate의 급성경구독성(急性經口毒性)은 1.02mg/kg 이었다. Phorate를 급성경구독성(急性經口毒性) $LD_{50}$값 이하(以下)로 경구(經口) 투여(投與)하였을 때 투여(投與) 후(後) 초기(初期)에는 혈장(血漿) ChE 활성(活性)이 뇌(腦) AChE 활성(活性)보다 더 크게 저해(沮害)되었으나, 효소활성(酵素活性)의 회부(回復)은 뇌(腦) AChE 보다 혈장(血漿) ChE 가 더 빠른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더위지기 정유로부터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활성 성분의 동정 (Identification of the Component with Anti-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from the Essential Oil of Artemisia iwayomogi)

  • 최재수;송병민;박희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1
    • /
    • 2017
  • AChE 억제제는 알츠하이머 질환 치료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더위지기 정유로부터 AChE 활성성분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한 것이다. 더위지기로부터 얻은 정유를 GC-MS로 분석했을 때 camphor가 29.8%, borneol이 28.0%, eucalyptol이 5.81%, coumarin이 5.49%의 피크 면적 비율을 보였다. 이 중 camphor, borneol, coumarin을 사용하여 Anti-AChE 활성 검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0.298mg/m{\ell}$, coumarin은 $0.236mg/m{\ell}$$IC_{50}$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coumarin이 anti-AChE 활성을 나타내는 활성물질임을 나타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