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W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초

가열-냉각 처리한 찹쌀전분을 첨가한 인절미의 텍스처 특성 (Effects of Autoclaving-Cooling Cycled Waxy Rice Starch on the Texture of Injulmi)

  • 김정옥;신말식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3-31
    • /
    • 2002
  • Effects of autoclaving-cooling cycled waxy rice(Hwasunchalbyeo) starch(ACW) on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Injulmi were investigated. The protein, ash and lipid contents of waxy rice flour were higher than those of waxy rice starch and ACW. The RS level of ACW was 8.21%. By increasing ACW content added to Injulmi, hardness and adhesiveness of Injulmi decreased, Hunter color L and a values increased and b values decreased. The sensory test showed that the hardness of Injulmi decreased, but springiness and adhesiveness increased by increasing ACW content to Injulmi. Overall Qualities of injulmi added with ACW up to 20% were similar to the non-added Injulmi.

  • PDF

Penman-Monteith을 이용한 토마토와 파프리카의 증발산 모델 평가 (Assessment of Water Control Model for Tomato and Paprika in the Greenhouse Using the Penman-Monteith Model)

  • 솜늑 시리락;홍영신;김민영;이상규;백정현;곽강수;이현동;이재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9-218
    • /
    • 2020
  • ETc 손실을 보상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을 작물 용수 요구량(Crop water requirement, CWR)로 정의되며, ETc 평가는 작물 필요 요구량을 정확하게 정량화하는 데 필요하며, 물 균형 계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토마토와 파프리카의 실제 관수 요구량(Actual crop water, ACW)이 적절한 CWR인지 평가하였다. 토마토와 파프리카 재배에 적정한 AWC 예측 및 추정을 위하여 온실 내부 환경데이터를 Penman-Monteith을 이용하여 기준 작물 증발산(ET)을 계산한 후, 기준 증발산은 작물 상수(Kc;토마토-1.15, 파프리카-1.05)계수로 조정하였다. 토마토와 파프리카의 CWR과 ACW를 계산하여 비교 평가한 결과 ACW가 CWR을 대체할 수 있지만 파프리카의 ACW는 필요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토마토의 ACW는 1일 100 ~ 1,200 ml이고, 파프리카의 ACW는 1일 100 ~ 500 ml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마트 온실에서 ETc의 정밀도를 높이려면, ETc가 CWR로 변환되고 ACW와 비교하기 위해서 클래스 A팬 설정이 필요하다. 향후 실시간으로 CWR을 측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다.

초미세분쇄/공기분급을 이용한 탈지미강 분획의 특성과 응용 (Microparticulation/Air Classification of Rice Bra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 박동준;구경형;목철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69-774
    • /
    • 1993
  • Fluidized bed opposed jet mill을 사용하여 초미세분쇄한 후 Turboplex classifier로 공기분급한 탈지미강분말의 입도는 air classifying wheel speed (ACWS)가 낮아짐에 따라 입자의 크기와 표준편차는 증가하고 단위부피당 표면적은 감소하였다. ACWS 21,000rpm에서 분급한 미강분말의 형태는 구형이었으며 입도 median이 $3.7{\mu}m$이었다. ACWS별로 회수된 시료의 단백질, 지방, 회분은 ACWS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Mg, Zn, Fe 및 Mn 함량은 ACWS가 증가할수록 비교적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ytic acid함량은 중간 ACWS에서 약간 높은 값을 보였다. 식이섬유함량은 $25.2{\sim}31.5%$의 값을 보였고, ACWS 15,000rpm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ACWS에 따른 시료의 색도는 ACWS가 높을수록 백색도(L)가 증가하였고, 적색도(a)와 황색도(B)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보수력(WHC)은 12,000rpm에서 2.88g/g solid로 가장 높았고 ACWS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보유력은 반대로 ACWS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급된 미강분말 현탁액의 유동특성은 Bingham body에 속하였으며 농도와 ACWS가 증가함에 따라 항복응력 및 점도가 상승하였다. 분급된 미강분말을 5% 수준으로 대체하여 케이크를 제조한 경우 대조구보다 케이크의 높이와 부피가 증가하였다.

  • PDF

SiC 플레이트를 이용한 석면 함유 폐기물의 무해화 연구 (Study on the Detoxification of Asbestos-Containing Wastes (ACW) Using SiC Plate)

  • 홍명환;최혁목;주소영;이찬기;윤진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1호
    • /
    • pp.35-42
    • /
    • 2020
  • 최근 인체 유해성이 높은 석면 함유 제품의 다량 폐기로 인해 석면 함유 폐기물(asbestos-containing waste: ACW)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며, 매립지 부족 등의 이유로 석면 무해화 및 재활용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열처리는 석면 함유 폐기물 무해화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나 석면이 상온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흡수하지 않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온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흡수하여 발열하는 무기 발열체인 SiC 플레이트 사이에 석면 함유 폐기물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열처리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석면 함유 폐기물를 무해화 하였다. 효율적인 열처리를 위하여 석면 함유 폐기물를 파쇄 및 분쇄 공정을 통해 분말화하여 무해화 열처리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열처리 조건에 따른 무해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열처리 온도와 시간 변수를 조절하였다. 열처리 후 석면 함유 폐기물는 XRD와 SEM을 이용한 결정구조 및 미세구조 분석을 통하여 무해화 특성을 분석 하였다. SiC 플레이트를 적용한 마이크로웨이브 열처리 방법은 단시간 내에 목표 온도까지 가열이 가능하며 최종적으로 1,200℃에서는 60분 이상, 1,300℃에서는 10 분 이상의 마이크로웨이브 열처리를 진행하였을 때 결정구조와 미세구조상에서 석면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자식별을 위한 파라미터의 잡음환경에서의 성능비교 (Parameters Comparison in the speaker Identification under the Noisy Environments)

  • 최홍섭
    • 음성과학
    • /
    • 제7권3호
    • /
    • pp.185-195
    • /
    • 2000
  • This paper seeks to compare the feature parameters used in speaker identification systems under noisy environments. The feature parameters compared are LP cepstrum (LPCC), Cepstral mean subtraction(CMS), Pole-filtered CMS(PFCMS), Adaptive component weighted cepstrum(ACW) and Postfilter cepstrum(PF). The GMM-based text independent speaker identification system is designed for this target. Some series of experiments show that the LPCC parameter is adequate for modelling the speaker in the matched environments between train and test stages. But in the mismatched training and testing conditions, modified parameters are preferable the LPCC. Especially CMS and PFCMS parameters are more effective for the microphone mismatching conditions while the ACW and PF parameters are good for more noisy mismatches.

  • PDF

초미세분쇄/공기분급을 이용한 탈지대두박 분획물의 특성과 응용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Defatted Soybean Meal fractions Obtained by Microparticulation/Air-Classification)

  • 박동준;구경형;김승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97-505
    • /
    • 1996
  • 분급휠속도(CWS, sut-off wheel speed) 9,000 rpm에서 초미세분쇄한 탈지대두박 분말을 공기분급휠속도 (ACWS, air classifying wheel speed) 21,000 rpm에서 9,000 rpm까지 3,000 rpm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공기분급한 결과 ACWS가 감소함에 따라 단백질과 회분은 증가하는 반면 탄수화물, 지방 및 식이섬유는 감소하였다. 아미노산 조성과 함량은 원료 대두와 비슷하였고, 주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였다. 수율은 ACWS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였고, 입자의 경우 $4.9{\mu}m$에서 $14.2{\mu}m$의 범위로 ACWS의 감소에 따라 증가 경향이있었으며, 모서리가 있는 타원형의 형태를 보였다. 보수력, 보유력 및 유화력은 낮은 ACWS에서 더 낮은 값이었고, 탈지대두박을 이용한 커어드는 사용한 응고제와 전지대두분의 대체 비율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 초미세분쇄한 탈지대두박 분말을 케익에 첨가하였을 때 콩 특유의 비린냄새가 강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10%까지는 대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ssessment of Seasonal Variations in the Treatment Efficiency of Constructed Wetlands

  • Reyes, Nash Jett DG.;Geronimo, Franz Kevin F.;Choi, Hyeseon;Jeon, Minsu;Kim, Lee-Hyung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1-231
    • /
    • 2020
  • Unlike conventional treatment technologies, the performance of nature-based facilities were susceptible to seasonal changes and climatological variabiliti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seasonal variables on the treatment performance of constructed wetlands (CWs). Two CWs treating runoff and discharge from agricultural and livestock areas were monitored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s in reducing particulates, organics, and nutrients in the influent. For all four seasons, the mean effluent suspended solids concentration in the agricultural CW (ACW) increased by -2% to -39%. The occurrence of algal blooms in the system during summer and fall seasons resulted to the greatest increase in the amount of suspended materials in the overlying water. unlike ACW, the livestock CW (LCW) performed efficiently throughout the year, with mean suspended solids removal amounting to 61% to 68%. Algal blooms were still present in LCW seasonally; however, the constant inflow in the system limited the proliferation of phytoplankton through continuous flushing. The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removal efficiencies in ACW were higher during the summer (21% to 25%) and fall (8% to 21%) seasons since phytoplankton utilize nitrogen and phosphorus during the early stages of phytoplankton blooms. In the case of LCW, the most efficient reduction in TN (24%) and TP (54%) concentrations were also noted in summer,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microbial activities. The mean removal of organics in ACW was lowest during summer season (-52% to 35%), wherein the onset of algal decay triggered a relative increase in organic matter and stimulate bacterial growth. The removal of organics in LCW was highest (54 % to 55%) during the fall and winter seasons since low water temperatures may limit the persistence of various algal species. Variation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due to seasonal changes can greatly affect the performance of CW systems. This study effectively established the contributory factors affecting the feasibility of utilizing CW systems for treating agricultural and livestock discharges and runoff.

  • PDF

초미세분쇄/공기분급을 이용한 대두피 분획물의 특성과 응용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Soybean Hull Fractions Obtained by Microparticulation/Air-Classification)

  • 구경형;박동준;김승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06-513
    • /
    • 1996
  • 초미세분쇄한 대두피 분말을 공기분급휠속도 (ACWS, air classifying wheel speed) 10,000 rpm, 12,000 rpm 및 20,000 rpm에서 공기분급하였을 경우 회분, 단백질 및 지방은 조분획으로, 탄수화물은 미분획으로 각각 농축되었다. 식이섬유는 조분획으로 농축되었고, ACWS가 감소함에 따라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분획별 입자크기는 ACWS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 범위는 미분획은 $3.1{\mu}m\;to\;5.5{\mu}m$였고, 조분획은 $9.9{\mu}m\;to\;20.0{\mu}m$였으며, 그 형태는 분획에 관계없이 대부분 모서리가 있는 타원형이었다. 전반적으로 낮은 ACWS에서 높은 점도를 보였고, 보수력, 보유력 및 유화력의 경우 조분획과 미분획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나 ACWS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식품응용실험 결과 대두피 분말을 10, 20, 30% 각각 대체시켜 튀김옷으로 활용하였을 때, 기름 흡수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케익과 쿠키의 제조에 있어서 밀가루를 대두피 분말로 10% 수준까지 성공적으로 대체할 수 있었다.

  • PDF

Capacity of Activated Carbon Derived from Agricultural Waste in the Removal of Reactive Dyes from Aqueous Solutions

  • Manoochehri, Mahboobeh;Rattan, V.K.;Khorsand, Ameneh;Panahi, Homayon Ahmad
    • Carbon letters
    • /
    • 제11권3호
    • /
    • pp.169-175
    • /
    • 2010
  • The study describes the results of batch experiments on the removal of Reactive Yellow 15 (RY15) and Reactive Black 5 (RB5) from synthetic textile wastewater onto Activated Carbon from Walnut shell (ACW). The experimental data were analyzed by the Langmuir, Freundlish, Temkin and Dubinin-Radushkevich (D-R) models of adsorption.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s function of initial concentrations, pH, temperature (303-333), adsorbent dose and kinetics. The surface area and pore volumes of adsorbent were measured by BET and BJH methods. The findings confirm the surface area (BET) is 248.99 $m^2/g$. The data fitted well with the Temkin and D-R isotherms for RY15 and RB5, respectively. The most favorable adsorption occurred in acidic pH. Pseudo-second order kinetic model were best in agreement with adsorption of RY15 and RB5 on ACW. The results indicate that walnut shell could be an alternative to more costly adsorbent currently being used for dyes removal.

탄산수의 알칼리도 및 총 탄소 측정방법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Alkalinity and Total Carbon Measurements in $CO_2$-rich Water)

  • 조민기;채기탁;고동찬;유용재;최병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3호
    • /
    • pp.1-13
    • /
    • 2009
  • 탄산수를 대상으로 알칼리도 및 총 탄소 측정 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중화 적정법, 역적정법, 침전법, NDIR-TC 측정법 등 다양한 측정방법을 적용하였다. 인공적으로 제조한 탄산수(ACW(Artificial $CO_2$-rich Water): pH = 6.3, alkalinity = 68.8 meq/L, $HCO_3^-$ = 2,235 mg/L)의 알칼리도 및 총 탄소를 측정한 결과, 탄산수 제조와 동시에 측정된 시료에서는 상기한 모든 측정방법에서 비교적 정확한 측정값을 얻어내었다. 이때 퍼센트 오차는 0~12% 수준이었으며,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의 사후 분석 결과 각 측정 방법간 차이는 95% 신뢰수준에서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이때 정밀도(분산계수)도 4% 이내로 재현성이 높은 측정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탄산수와 같이 $CO_2$가 탈기(脫氣: degassing)되는 경우 각 측정 방법의 정도관리를 위하여 24시간, 48시간 동안 $CO_2$를 탈기시킨 후 각 측정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산중화 적정법과 NDIR-TC 방법으로 측정된 알칼리도는 $CO_2$의 탈기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는 알칼리도의 보존성에 기인한 결과로 해석된다. 반면, 역적정법과 침전법으로부터 구한 알칼리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 탄소 함량은 꾸준히 감소하여 48시간후에는 최대 약 50%의 $CO_2$가 탈기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역적정법과 침전법으로부터 구한 알칼리도가 높아진 이유는 총 탄소 함량이 다른 방법에 비하여 높게 측정되었고, $CO_2$ 탈기를 모델링 한 결과, 측정된 총 탄소 함량에 평형인 pH보다 측정된 pH가 높기 때문이다. 이는 ACW에 잔류한 $CO_2$ 기포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CO_2$ 탈기에 의해 발생한 $CO_2$ 기포는 pH를 낮추지 못하고 알칼리도에 영향을 주지는 않기 때문에 산중화 적정법과 NDIR-TC 측정에서는 분석되지 않지만 역적정과 침전법을 적용하여 총 탄소를 분석할 경우에는 측정값에 포함된다. 따라서 탄산수에서 알칼리도 및 총 탄소의 측정과 해석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역적정법이나 침전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비교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탄산수 연구나 $CO_2$ 지중저장에 관련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CO_2$ 지중저장 연구에 응용될 경우 탈기되지 않는 $CO_2$ 기포의 함량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심부 지중의 pH를 보정하거나 $CO_2$의 지중 거동과 $CO_2$ 저장 용량 평가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고온 고압 환경에서 직접 총 탄소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