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P1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1초

염과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톨 페스큐의 종자 발아율과 유전자 발현 변화분석 (Effects of Salt and Drought Stresses on Seed Germination and Gene Expression Pattern in Tall Fescue)

  • 이상훈;이기원;최기준;김기용;지희정;황태영;이동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4-119
    • /
    • 2014
  • 염 또는 건조 스트레스 처리에 의한 톨 페스큐 종자의 발아율 변화와 유식물체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in vitro 조건에서 NaCl과 PEG를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NaCl 처리시 톨 페스큐 품종별 발아율은 50 mM 농도에서 발아율이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350 mM의 농도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발아가 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NaCl 처리 농도에 따른 발아율 감소율은 Fawn 품종이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Kentucky-31(E-) 품종이 가장 강한 내성을 보였다. 또한, PEG 처리시 톨 페스큐 품종별 발아율의 변화도 NaCl 처리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고농도인 30% PEG 처리구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발아가 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으며 Kentucky-31(E-) 품종이 가장 강한 내성을 보였다. 톨 페스큐 유식물체 수준에서 염해와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유전자 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DEGs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탐색을 위한 ACP-based GeneFishing$^{TM}$ PCR 분석을 통해 NaCl 또는 PEG 처리에 따른 발현량의 차이를 보이는 총 4개의 DEG를 선발하여 클로닝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무처리구에 비해 NaCl 처리시 4개의 DEG가 증가하였고 감소하는 DEG는 확인 되지 않았으나, PEG 처리에서는 3개의 DEG (DEG 1, 3, 및 4)가 증가하였고 1개의 DEG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굴된 DEG들을 blastx 검색에 의하여 rubisco large subunit (DEG1), microsomal glutathion S-transferase (GST) 3-like isoform 1 (DEG2) 유전자로 동정되었다.

벼 중만생 양질 내병 다수성 "드래찬" (A Medium-late, High Yielding and Good Quality Rice Variety, "Deuraechan")

  • 하기용;김보경;고재권;신문식;김기영;고종철;백만기;강현중;남정권;김우재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645-648
    • /
    • 2009
  • "드래찬" 품종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중만생 양질 내병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17일로 한마음보다 2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2. 쌀은 복백이 약간 있으나 아밀로스 함량이 낮고 밥맛이 좋은 편이다. 3. 도열병, 흰잎마름병 레이스K1-3 및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나 멸구 및 매미충류에는 약한 반응을 보였다. 4. 유묘 내냉성은 한마음과 비슷하나 임실율은 약간 낮다. 5. 쌀수량은 보통기 다비재배에서 6.52 MT/ha로 한마음보다 2% 증수되었다. 6. "드래찬"은 중부이남 평야지 1모작지에 알맞은 품종이다.

마우스 난소에서 막융합 관련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Membrane Fusion Related Genes in Mouse Ovary)

  • 정복해;성현호;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14
    • /
    • 2016
  • 포유류의 난소에서 과립막 세포)는 난포내 난자를 둘러싸고 난자 뿐만 아니라 난포의 발달에 필요한 상태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협막세포 등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이 정지되어 있는 원시난포에서 성장이 개시되는 1차난포, 2차난포로 전환하는 동안에 관여하여 발현하는 유전자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5일자, 12일자 난소로부터 총 리보핵산을 추출하여 동량의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여 ACP-PCR을 수행하였다. 서로 다르게 발현하는 유전자들 (DEGs)을 클로닝과 BLAST를 통한 염기서열 분석하였다. Anxa11과 Plekha5는 5일자 난소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난자핵과 세포질에서 높게 발현하였다. 이에 반해 과립막 세포에서는 난포발달단계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성공적으로 5일, 12일 난소에서 서로 다르게 발현하는 발현유전자 목록을 일부 찾아 확인하였다. 이들은 막융합을 통해 난소의 난포발달과정에서 시간적-공간적인 조절 기전에 의해 이루어 질 것으로 보인다. 이 유전자 발현 정보는 원시난포의 개시와 성장을 위한 전환에 관여하는 기전을 이해하는 기초정보와 난소기능부전의 기전을 규명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황갈색 재래닭의 간에서 성장 단계별 차등 발현 유전자 분석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Four Different Growing Stages in Korea Native Chicken Liver)

  • 이경연;유성란;정기철;장병귀;최강덕;이준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5-90
    • /
    • 2007
  • 한국 재래닭에서 성장에 따른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알아보고 성장 촉진, 대사 및 면역 관련 유전자를 발굴하기 위하여 주령별로 닭의 간에서 RNA를 추출하였으며 10개의 arbitrary ACPs를 이용하여 차등 발현되는 유전자를 조사하였다. 발현량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5개의 유전자들이 선별되었으며, 이 중 3개의 유전자들은 BLAST search 결과 이미 기능이 알려진 FTH1, SAA와 HSP90B1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2개의 유전자들은 닭의 genome sequence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기능이 밝혀져 있지 않아 앞으로 이 유전자들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닭의 간에서 성장 단계별로 발현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들은 앞으로 다른 유전자와 단백질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닭의 성장 및 지방 대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난소절제 흰쥐의 골격대사에 대한 식이 칼슘과 대두 이소플라본의 섭취효과 (Effects of Dietary Calcium and Soy Isoflavones Supplementation on Bone Metabolism in the Ovariectomized Rats)

  • 김민선;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833-839
    • /
    • 2005
  • 본 연구는 난소절제 휜쥐를 이용하여 저$(0.1\%)$ 및 정상 $(0.5\%)$ 칼슘 식 이 에 대두 이소플라본 첨가수준을 달리 하여 급여했을 때 뼈 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은 난소절제에 의해 증가하였고 식이 칼슘 및 대두 이소플라본의 첨가에 따른 효과는 없었다. 혈청 칼슘 농도는 난소절제, 식이 칼슘 및 대두 이소플라본에 의해 변화되지 않았으며 혈청 인의 농도는 정상 칼슘 식이 급여시 감소하였으나 정상 범위였고, 대두 이소플라본은 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청 ALP활성은 난소절제에 의해 증가하였는데,그 정도는 저 칼슘 식이군에서 더 높았고 대두 이소플라본은 이를 변화시키지 못하였다. 혈청 TrACP활성은 난소절제, 식이 칼슘 및 대두 이소플라본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퇴골 및 요추골의 무게 및 크기는 난소절제, 식이 칼슘, 대두 이소플라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대퇴골의 파단력은 난소절제 에 의해 변화되지 않았으나 식이 칼슘은 이를 증가시켰다. 대퇴골 및 요추 골의 칼슘과 인의 함량은 난소절제에 의해 감소하였고 대두 이소플라본 80 ppm 첨가는 이를 증가시켰다. 식이 칼슘의 영향은 요추골에서 나타나 정상 칼슘식이를 급여했을 때 요추골의 칼슘과 인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대두 이소플라본 160 ppm첨가는 뼈의 칼슘과 인의 함량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난소절제한 흰쥐에서 대두 이소플라본 80 ppm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하면 뼈의 무기질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런 효과는 식이 칼슘이 정상일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두 이소플라본의 첨가는 폐경성 골다공증을 예방하는데 유효하며 섭취하는 칼슘이 결핍되지 않을 때 그 효과가 더 높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소득작물 후작용 고품질 조생 벼품종 '화왕' ('Hwawang': A Good Quality and Early-Maturing Rice Variety Adaptable for Rice-Cash Crop Rotation System)

  • 이종희;이지윤;여운상;송유천;박동수;황운하;박수권;박노봉;김상열;오성환;한상익;남민희;이종기;조준현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34-539
    • /
    • 2018
  • 소득작물 후작용 벼 품종은 전작물에 사용된 잔류 질소질 비료의 과다로 도복이나 품질저하가 우려되기 때문에 생육기간이 짧은 조생종이면서 재배안정성과 품질을 겸비하여야 한다. '화왕'은 소득작물 후작지 재배용 간장이 작은 조생종 품종으로 YR25867 (Hitomebore//YR21247-B-B-B-49-1/SasanishikiBL4)와 YR25866 (Akidagomachi//R21247-B-B-B-49-1/Sasanishiki BL4)의 복교잡으로 육성되었다. 2005/2006년 동계에 F1 식물체에서 꽃가루를 채취하여 약배양으로 조기에 고정된 계통을 육성하였으며, 2009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밀양256호로 명명하였다. 2010~2012년 3년간 지역적응성 시험 만기재배에서 완전미율과 밥맛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화왕'로 명명되었다. '화왕'은 간장이 62 cm로 금오보다 10 cm 작은 단간이며, 수당립수는 적고 수수가 많은 수수형 품종이다. 이 품종의 내병성은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이며, 잎도열병과 목도열병은 좀 약한 편이다. 수량은 만기재배 지역적응성 시험에서 452 kg/10a으로 대비 품종보다 수량이 15% 증수되었다. 금후 이 계통은 남부지역의 소득작물 후작 작부체계에 완전미율과 밥맛이 우수한 쌀 생산을 위한 품종으로 보급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상, 낭종 및 법랑아세포종 세포에서의 유전자 발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IN NORMAL, CYST AND AMELOBLASTOMA CELLS)

  • 양철희;백병주;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5-88
    • /
    • 2005
  • 법랑아세포종은 1868년에 처음 보고된 이래 명칭, 발생기전, 분류 그리고 치료 방법 등에 관하여 수 많은 논란이 있어 왔는데 이는 법랑세포종이 양성종양임에도 불구하고 종양자체의 진행이 파괴적이고, 외과적 처치를 한 후에도 재발이 잘되며, 흔하지는 않지만 악성종양과 유사하게 전이를 보이는 등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정상세포와 암 세포 간에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 혹은 정상세포에서 변형이 일어날 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의 분리 및 분석하는 것은 암세포의 생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열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RNA differential display 방법 중 재연성과 반복성이 개선된 Ordered differential display(ODD)RT-PCR과 보다 개선된 $GeneFishing^{TM}$기술을 이용하여 악성과 양성종양 사이의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조사하고, 특이 유전자의 profile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GeneFishing^{TM}$기술과 RT-PCR을 수행한 결과 nasopharyngeal carcinoma gene을 제외한 9개의 유전자는 악성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GeneFishing^{TM}$을 이용하면 각 시료간의 mRNA 상에서 발현차이를 보이는 DEG를 비교 분석하면 암관련 유전자, 항생제 태성 유전자, 그리고 분화 관련 유전자들에 대한 연구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