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TS free radical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8초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의 생리활성물질 최적 추출조건 탐색 (Optimization of the Extrac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by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재철;이해창;이기욱;황금택;유기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33-23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의 유효성분과 항산화능이 최대가 되는 추출물의 제조를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탐색하였다. 추출 수율,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ABTS 자유 라디칼 소거능, ORAC), ${\beta}$-1,3-glucan 함량의 총 다섯 가지 반응변수에서 유의적인 이차 회귀식을 얻었고, 반응표면그래프와 등고선도를 통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각 반응변수에 따른 최적 추출조건은 추출 수율에서 50% (v/v), $88.7^{\circ}C$, 14.5 h,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9.2%, $92.7^{\circ}C$, 14.5 h, ABTS free radical scavanging activity에서 50.8%, $92.7^{\circ}C$, 14.5 h, ORAC에서 9.2%, $92.7^{\circ}C$, 1.5 h, ${\beta}$-1,3-glucan 함량에서 90.8%, $92.7^{\circ}C$, 1.5 h으로 예측되었다. 각 반응변수의 예측 최대추출조건에서 실제 실험을 실행하여 예측 값과 비교해본 결과, 상대오차는 0.4-12.5%였다. 각 반응 변수에서 유의적인 이차 회귀식을 얻었으며, 예측 값과 실험 값의 오차가 크지 않아 반응표면모델이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다섯 가지 반응 변수를 통합하는 최적 추출조건은 81.4%, $92.7^{\circ}C$, 14.5 h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열수추출물의 형태로 유통되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품질 개선을 위하여 에탄올 용매를 포함한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고, 구체적인 추출 수율과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항산화능이 최대가 되는 추출조건을 제시하였다.

국내산 구아바(Psidium guajava L.)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 (Antioxidative and Hepatocyte Protective Effect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Cultivated in Korea)

  • 천원영;서동연;김영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4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hepatocyte protective effect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cultivated in Korea. The contents of the total polyphenol of the extract was 271.57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residue.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extract were evaluated by examining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1133.23 mg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g residue and 721.68 mg TEAC/g residue, respectively. The hepatocyte protective effect of guava leaf extract was examined in HepG2 cells. Against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the viability of HepG2 cells were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leaf extract. In addition, guava leaf extract led to the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ed in HepG2 cells. The leaf extract increased the activity of glutathione (GSH),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gainst oxidative stres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uava leaves might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natural antioxidant and a hepatoprotective material.

효소처리에 의한 초당옥수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및 항산화 특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y Enzyme-Treated Super Sweet Corn Extracts)

  • 인병호;장다빈;이재준;이원종;윤아름;김성규;이경행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26-534
    • /
    • 2023
  • To improve usability of super sweet corn, extracts were prepared with hydrolytic enzyme and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were analyzed. Soluble solids and reducing sugars contents were higher in all enzyme treat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When enzyme treatment time increased, contents of soluble solids and reducing sugars were also in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ghtness between treatment groups, with redness showing the highest value in the control and yellowness showing the highest value in the invertase treatment group. Free sugar content in the control was the lowest. However free sugar content in the enzym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was increased by more than four times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Contents of ascorbic acid, flavonoids and polyphenols were higher in the enzym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In particular, the enzym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showed the highest conten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l enzyme treat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of cellulase treatment group and enzym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showed high activity. The activity increased when enzyme treatment time increased. The combined enzyme treatment method for super sweet corn was suitable for food processing.

참외 추출물의 라디칼소거활성과 항산화 성분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Oriental Melon Extract)

  • 김혜숙;홍미정;강인영;정지윤;김혜경;신용습;전하준;서전규;강영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2-447
    • /
    • 2009
  • 참외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참외의 부위별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항산화 물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참외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mg/mL 농도에서 껍질 부위가 7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껍질 부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껍질 부위에서 생체 중 100g 당 각각 134.5mg, 159.1m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다음은 태좌, 과육 순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의 경우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는 다르게 태좌 부위에서 40.7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물질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 간에 고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비타민 C의 함량과는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참외껍질 부위에서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성분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참외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성분은 페놀성물질일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성분 함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껍질 부위의 활성성분 규명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음나무 신품종 새순의 유용물질 함량분석과 항산화활성 (Bioactive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Fresh Sprout of New Kalopanax septemlobus Cultivar)

  • 송정호;김혜수;김문섭;김세현;이진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397-402
    • /
    • 2015
  •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음나무 신품종으로 개발한 청산, 청송, 청순1 등 3개 신품종을 대상으로 새순의 영양성분 분석, 생리활성 물질분석 및 항산화활성 분석을 통하여 식품학적 가치의 확인과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3개의 품종에 대하여 일반성분은 탄수화물과 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에서는 칼륨,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미비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에서는 청산, 청송, 청순1에서 각각 26, 25, 28개의 아미노산을 분석하였으며, 각각 6, 6, 7개의 필수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기능성 분석을 위한 총폴리페놀 함량에서는 청산 품종이,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청송 품종이 높게 나타났다. DPPH 자유라디컬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분석에서는 100 ppm에서 청산과 청송의 70% 에탄올과 물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컬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분석에서는 500 ppm에서 청순1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청산, 청송의 물 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결과로 청산, 청송의 경우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기능성과 동시에 가시가 없거나 적은 형태적 특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청순1의 경우 단맛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음나무 고유의 쓴맛과 동시에 단맛이 나는 맛 특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위릉채 추출물 및 생물전환 분획물의 만성호흡기 질환 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Potentillae Chinensis Chinensis Herba extract and bioconversion fraction on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 김동희;김보애;강윤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454-1463
    • /
    • 2023
  • Potentillae Chinensis Herba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를 위해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과 ABTS 양이온 라디칼 활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세포 실험에서 항염증 평가를 위해 호흡기 점막 상피세포 NCI,H292와 RAW264.7 세포 대상으로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과 ABTS 양이온 라디칼 활성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MTT 분석 결과, 각 농도 100 ㎍/ml로 처리한 경우 NCI-H292 세포의 생존율이 70% 미만으로 감소하였고, 이후 실험은 50 ㎍/ml로 진행하였다. 항염증 효능 평가에서는 NO생성, TNF-𝛼, IL-1𝛽, PGE2가 감소하였고, COX-2도 50 ㎍/ml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otentillae Chinensis Herba 추출물과 생물전환 추출물의 뮤신 단백질 발현은 MUC5AC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Potentillae Chinensis Herba의 호흡기 점액 단백질 발현을 도와 염증을 억제하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는데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딸기 품종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지표성분 밸리데이션 (Antioxidant activities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of Marker compounds in strawberry fruits from various cultivars)

  • 용예슬;이송미;변나영;선상욱;김민정;장서우;장원석;이선이;임순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17-52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품종의 딸기 추출물로부터 천연물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 개발을 위하여 농업기술원에서 시료를 제공받아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ellagic acid 함량 분석 및 분석법 검증을 위한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22.77-107.61 mg/100 g FW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17.58-44.12 mg/100 g FW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결과 Aiberry와 Elie star에서 가장 많은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1540.6-1124.0 μmol TEAC/100 g FW 범위를 나타내었고, Derunoka가 1.541 μmol TE/100 g FW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실험결과 6352.3-4592.3 μmol TEAC/100 g FW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FA23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Ellagic acid 표준물질에 대한 검량선의 상관계수(R2)값은 0.9998-1.0000으로 매우 높은 직선성을 보였으며, 딸기 추출물의 ellagic acid 함량은 9.2-22.9 μg/mL을 나타냈으며, 그 중 Asca 추출물이 22.9 μg/mL로 가장 높은 ellag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다. 밸리데이션 결과 정확성은 평균 100-101%의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정밀성 또한 농도별로 10 μg/mL에서는 5.31, 5.30%, 50 μg/mL에서는 0.66, 0.88%, 100 μg/mL에서는 0.20, 0.82%의 RSD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양한 딸기품종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며, 이는 자유라디칼의 산화를 억제하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높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천연항산화제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으로서 ellagic acid 정량분석 및 밸리데이션을 수행함으로써 본 실험에서 사용된 딸기추출물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과 함량분석에 대한 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시사한다.

찰수수 및 메수수가루 첨가에 따른 머핀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ffin Added Glutinous and Non-glutinous Sorghum(Sorghum bicolor L. Moench) Powder)

  • 김현영;서혜인;고지연;송석보;김정인;이재생;정태욱;김기영;곽도연;오인석;김창순;정헌상;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90-498
    • /
    • 2012
  • 항산화활성이 높은 수수를 머핀에 첨가하여 제조한 머핀의 형태적, 관능적 및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제조된 머핀의 수분, 회분 및 단백질 등 일반성분 함량은 수수가루 첨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큰 차이가 없었으며, 칼륨,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등의 무기성분 함량은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가루 첨가에 따라 제조한 머핀의 무게, 부피 및 높이는 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명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수가루 무첨가 머핀의 관능평가 결과 외관, 색, 향, 맛,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각각 1.4, 1.6, 1.4, 1.0, 1.1 및 0.9점으로 평가되었으며, 10% 찰수수 및 메수수를 첨가한 머핀이 비교적 높은 점수를 얻었다. 수수가루 첨가 머핀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등의 항산화성분 함량은 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수가루 무첨가 머핀 메탄올 추출물의 DPPH와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0.74 및 1.31 mg TE/g ER로 나타났고, 100% 찰수수로 제조한 머핀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9.40 및 19.14 mg TE/g ER, 100% 메수수로 제조한 머핀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10.59 및 18.78 mg TE/g ER로 높은 radical 소거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수수가루 머핀은 항산화력을 증진시킴으로써 건강기능성 머핀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옻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옻씨 추출물을 첨가한 발효유의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Rhus verniciflua seed extra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Rhus verniciflua seed extract)

  • 진희연;최유진;문혜정;정재희;남중현;이상천;허창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25-831
    • /
    • 2016
  • 본 연구는 옻씨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옻씨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발효유의 품질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옻씨의 수분은 $4.76{\pm}0.28%$, 조단백질 $11.10{\pm}0.67%$, 조지방 $5.33{\pm}0.58%$, 조회분 $1.40{\pm}0.07%$ 및 탄수화물은 77.41%의 함량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물 추출물은 $145{\pm}3.47mg$ GAE/g 및 $37{\pm}2.30mg$ QE/g으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54{\pm}2.64mg$ GAE/g 및 $1103{\pm}6.42mg$ QE/g으로 나타났다. 옻씨의 urushiol은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urushiol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옻씨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라디칼 소거능이 높았고 추출물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물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라디칼 소거능이 높았고,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옻씨 추출물을 첨가한 발효유의 배양 시간에 따른 pH 변화는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낮아져 pH 4.4~4.5로 나타났고, 적정 산도는 발효 과정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발효 완료 후 TA가 0.7%에 도달하였으며, 유산균수는 첨가농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옻씨를 첨가한 발효휴 제조시 옻씨 에탄올 추출물 첨가가 발효유의 품질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염수초 포제법에 따른 두충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변화 비교연구 (Salt-water Processing-dependent Change in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rtex Eucommiae)

  • 고원일;이진호;하인혁;정화진;이인희;이재웅;김은지;강병구;전세환;조용규;김민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38
    • /
    • 2017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marker compounds,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lt-water processed Cortex Eucommiae. Method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rocessing on anti-oxidant effect of Cortex Eucommiae, changes in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between processed and raw Cortex Eucommiae were assessed. In addition, nitrite assa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processing on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rtex Eucommiae. Cell viability was also examined as to elucidate whether processing affects cytotoxicity of Cortex Eucommiae. Finall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was conducted to monitor changes in pinoresinol diglucoside amount of processed and raw Cortex Eucommiae. Results Salt-water processed Cortex Eucommiae showed higher total phenol and flavonoid amount, compared to raw Cortex Eucommiae. Furthermore, anti-oxidative activity of processed Cortex Eucommiae was improved as discovered in DPPH, ABTS, and FRAP assays.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rtex Eucommiae was also enhanced following salt-water processing, as evidenced in nitrite assay. HPLC analysis found that the amount of pinoresinol diglucoside, widely known as the marker compound of Cortex Eucommiae, increases through salt-water processing.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non-toxic concentration of Cortex Eucommiae; processing did not affect the cytotoxicity of Cortex Eucommiae up to the currently adopted concentration. Conclusions The present results support that salt-water processing of Cortex Eucommiae is beneficial in terms of marker compound amount,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dditional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standardize the processing method of Cortex Eucommi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