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capillaris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9초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혜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ikhye Added with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 송금자;황은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30-1637
    • /
    • 2016
  • 본 연구는 인진쑥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 첨가한 식혜의 저장기간 중 이화학적 품질 특징 및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진쑥 추출물을 달리하여 식혜를 제조한 후 15일 동안 저장하면서 측정한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식혜의 초기 당도는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당도가 실험군보다 높았으며, 각 시료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른 당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보다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의 pH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pH가 크게 낮아지지 않고 초기 pH를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탁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였고, 인진쑥 추출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탁도가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명도($L^*$값)은 대조군보다 인진쑥 추출물을 100% 첨가한 시료가 낮게 측정됐지만, 적색도($a^*$값), 황색도($b^*$값)에 있어서 저장기간 중 적색도가 증가한 원인은 저장기간 중 당의 갈변화 현상으로 생각한다. 식혜에 함유된 유리당으로는 sucrose와 maltose가 확인되었고, maltose는 엿기름이 당화 과정에서 아밀라아제에 의해 생성되었고, sucrose는 식혜 제조 시 첨가한 설탕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한다.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해 살펴본 항산화 활성은 인진쑥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과 맛에 대한 선호도는 인진쑥 추출물을 50% 첨가한 시료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전반적인 선호도는 인진쑥 추출물을 50% 첨가한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식혜에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할 때는 50% 수준에서 첨가하는 것이 색, 맛, 밥알의 퍼짐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인진쑥 추출물 함유 PVA 나노섬유 제조 (Fabrication of Electrospun PVA Nanofibers Loaded with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Extracts)

  • 김명옥;이정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69-277
    • /
    • 2018
  • This study extracted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with distilled water and ethanol to investigate its antioxidant effect. We then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nanofibers by an electrospinning process by adding the extracts to polyvinyl alcohol (PVA). The electrospinning method used a PVA concentration of 12wt.%, an applied voltage of 10kV, and a tip-to-collector distance of 15cm.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to verif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extracts (AC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distilled water extract and the ethanol extract were measured as 218.47 and 271.26mg/g, respectively,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distilled water extract and the ethanol extract were measured as 141.68 and 34.98mg/g, respectively. As the content of the ACEs in the PVA nanofibers increased, the Diameters of the nanofibers and the uniformity of the diameters decreased. The electrospinning process was fabricated in a relatively uniform form without beads, and the diameters of the nanofibers that were produced ranged from 340 to 390nm. The results of FT-IR, XRD and DSC analyses confirmed that the ACEs were well mixed with the PVA molecules and were electrospun.

인진이 간성상세포의 섬유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Inhibitory Effect of Artemisiae Capillaris Herba on Fibrogenesis in Primary Cultured Rat Hepatic Stellate Cells)

  • 김영철;이장훈;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53-863
    • /
    • 2005
  • Object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fibrogenic effect of Artemisiae Capillaris Herba(ACH) on cultured rat hepatic stellate cells. Methods : Hepatic Stellate Cells were obtained from a 350gm Sprague-Dawley rat by tissue perfusion system, and the cells for the study were selected after 3 passages of culture on non-coated plastic culture dishes which enable the cells to activate, thus producing collagens in the cell media.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rtemisia Capillaris Herba(ACH) extract powder for 24 or 48 hours. After the treatment, Soluble collagen, procollagen levels and the mRNA of the procollagen type I C were measured by using assay kit and RT-PCR method. Results : Procollagen production by the hepatic stellate cells decreased after the treatment in a time-dependent dose-dependent manner. The mRNA expression decreased consistently with the volume of the secreted procollagen which indicates the herb hat inhibitory effect on fibrogenesis of the liver by regulating one of the fibrosis associated genes in transcrip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H is beneficial in the treatment of cirrhotic patients as well as for the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 PDF

에탄올 투여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 독성 저하에 미치는 인진쑥 및 눈꽃동충하초의 영향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and Paecilomyces japonica on the Reduction of Hepatotoxicity and Lipid Metabolism Induced by Ethanol)

  • 한은경;김영섭;유윤숙;정의진;이지영;정차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16-1023
    • /
    • 2009
  • 본 연구는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에서 인진쑥과 눈꽃동충하초의 단독 또는 병행투여가 혈청 및 간의 지질대사와 간기능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생후 4주령된 흰쥐에게 표준식이를 급여한 정상식이군, 에탄올투여 대조군, 6%인진쑥과 6% 눈꽃동충하초를 각각 단독투여한 군, 4% 인진쑥과 2% 눈꽃동충하초 병행투여군, 3%인진쑥과 3% 눈꽃동충하초 병행투여군, 2% 인진쑥과 4% 눈꽃동충하초 병행투여군 등 7군으로 나누고 각 실험식이로 5주간 사육하였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AI)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에탄올 투여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4% 인진쑥과 2% 눈꽃동충하초 병행투여군과 3% 인진쑥과 3% 눈꽃동충하초 병행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투여한 흰쥐의 간장 내 총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함량은 정상식이군보다 증가하였으나 인진쑥과 눈꽃동충하초의 투여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4% 인진쑥과 2% 눈꽃동충하초를 병행투여한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인진쑥과 눈꽃동충하초의 투여로 ALT의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저하되었으며 6% 인진쑥 투여군과 4% 인진쑥과 2% 눈꽃동충하초 병행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인진쑥과 눈꽃동충하초의 단독투여와 비율을 달리한 병행투여는 catalase, SOD등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산화지질은 에탄올의 투여 시 정상식이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이는 6% 인진쑥 투여군과 4% 인진쑥과 2% 눈꽃동충하초 병행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인진쑥과 눈꽃동충하초의 투여는 흰쥐의 혈청과 간의 지질 대사를 개선하고, 간의 항산화효소 활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과산화지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혈중지질 대사를 개선하고, 에탄올에 의한 지방간 및 간 경변과 같은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 인진쑥과 눈꽃동충하초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보다 병행투여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인진쑥과 눈꽃동충하초의 동량투여와 4% 인진쑥과 2% 눈꽃동충하초를 병행투여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인진쑥 methanol 추출물의 투여가 암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보인 혈액생화학적 및 종양 무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ood Biochemistry and Tumors' Weights of Artemisia capillaris Methanol Extract in Mice Bearing Cancer Cells)

  • 김홍태;김주완;진태원;김지은;임미경;여상건;장광호;오태호;이근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72-378
    • /
    • 2007
  • The Artemisia capillaris THUNB is a perennial herb that belongs to the family Compositae spp and probably the most common plant among the various herbal folk remedies being used in the treatment of abdominal pain hepatitis chronic liver disease, jaundice and coughing in Korea. Recently the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ons of herb have been studied well such as antibacterial, antidiabetic and antitumor activitie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x extracts against Hepa-1c1c7 and Sarcoma 180 cancer cells on in vivo experimental tests. On in vivo experimental tests using 280 ICR mice the gain of body weight in the control-group mice bearing Sarcoma 180 ascites tumor was 1.5 times more than that of the normal-group mice after 33 days. However, the gain of body weight in all experimental groups administered with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group mice (P<0.05). The mean survival times of mice administered with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f 25 and 100 mg/kg for 28 days were shown to be 25.39% and 15.39% l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group mice injected with saline (P<0.05).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showed the highest tumor inhibition effects, which were 42.4% and 27.2% when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doses of 25 and 100 mg/kg once a day for 28 days in inoculated ICR mice with Sarcoma 180 solid tumor cells (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Artemisia capillaris methanol extracts have prominent antitumor effects on the cancer cell lines Hepa-1c1c7 and Sarcoma 180.

네트워크 약리학을 활용한 심상성 건선에 대한 인진호(茵蔯蒿)의 잠재적 작용 기전 탐색 연구 (A Network Pharmacology-based Study to Explore the Potential Mechanism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for Psoriasis Vulgaris)

  • 김준동;서광일;김병현;이한림;김규석;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5-24
    • /
    • 202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mechanism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for psoriasis vulgaris. Methods : We conducted the network pharmacological analysis. It contains the process that search the compounds of the herb, the target proteins of the compounds, related genes of psoariasis vulgaris and the pathway/terms of the common protein lists between psoriasis vulgaris and Artemisia capillaris Thunb.. Results : 13 compounds and 30 protein targets of Artemisia Capillaris Herba were searched. And 997 psoriasis-related genes were searched. The common proteins were 11, and the core genes were 3; AKT1, CASP3, MAPK8. The related pathway/terms of 11 proteins were analyzed. ω-hydroxylase P450 pathway(60%), nitric oxide(NO) biosynthetic process(20%) were resulted. Also, 19 proteins of Artemisia Capillaris Herba were analyzed, and sterol homeostasis(78.95%), sterol biosynthetic process(15.79%), Type 2 diabetes mellitus(5.26%) were resulted. Conclusion : The Artemisia Capillaris Herba can potentially act through the ω-hydroxylase P450 pathway and nitric oxide(NO) biosynthetic process for psoriasis. Also, the metabolism of sterol biosynthesis and homeostasis can be involved in a roundabout way for psoriasis.

인진쑥이 사염화탄소 투여로 유발된 개의 간 손상 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Crude Juice Extract on $CCl_4$ Induced Liver Damage in Dogs)

  • 이우열;이성동;손상익;장혜숙;김영홍;오태호;엄기동;장광호;박승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9-395
    • /
    • 2003
  • Artemisia is a major edible vegetable in Korea and it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a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coughing, abdominal pain, indigestion, bleeding, jaundice, chronic liver disease and diabetes. However the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ons of the herb have not been studied well. Recently it is known to possess antibacterial, antihelmintic and antifertility activities. But the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CCl_4$) induced liver damage in dogs have not been reported ye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crude juice extract on $CCl_4$ induced liver damage in dogs. 30 clinically healthy dogs were divided into 2 groups: crude Artemisia capillaris juice treated group(CEC group) and carbon tetrachloride($CCl_4$) administerd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I. The degree of increase in AST activity and ALT activity in CEC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CCl_4$ group and the recovery in CEC group was faster than that in $CCl_4$ group. 2. Changes of ALP concentration in CEC group were significant(P < 0.05) but changes of Total-bilirubin concentration were not significant(P < 0.05) in both groups. 3. The recovery of GGT concentration in CEC group was faster than that in $CCl_4$ group. 4. Hematological changes other than MCHC were significant(P < 0.05) in CEC group only and changes of GSH and Met-Hb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P < 0.05) in $CCl_4$ group.

인진쑥 추출물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생체내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on the Pathogenic Bacteria in Mice)

  • 김홍태;김주완;임미경;여상건;장광호;오태호;이근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5-129
    • /
    • 2007
  • Artemisia capillaris THUNB is a perennial herb that belongs to the family Compositae spp and the most common plant among the various herbal folk remedies used in treatment of abdominal pain, hepatitis, chronic liver disease, jaundice and coughing in Kore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orally administrated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pathogenic bacteria in 200 ICR mice.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bacteria in $1{\sim}3$ days after inoculation. After 21 days of inoculation, no viable bacterial cells appeared in the feces of both experimental groups while they did appear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ndicate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exhibited excellent antimicrobial and inhibitory effects on the food poisoning pathogenic bacteria; S. enteritidis,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인진쑥의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작용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a Capillaris THUNB on Oral Bacteria)

  • 채규창;어규식;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2호
    • /
    • pp.169-177
    • /
    • 2009
  • 천연 식물 추출물을 구강 질환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인진쑥에서 추출한 쑥추출액을 치의학분야에 활용하고자 S. gordonii Challis, S. gordoii G9B, S. mutans GS5, S. sobriuns 6715, E. faecalis ATCC 4083, A. actinomycetem Y4, P. gingivalis A7A1-28, P. gingivalis W83, Pr. intermedia ATCC 25611, F. nucleatum KTCT 2488, C. albicans ATCC 18804에 대한 항균효과를 미생물학적으로 실험하여, 생균수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인진쑥추출액에 의한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와 최소살균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가 모두 쑥추출액 농도 2.0%이하에서 관찰된 세균은 치주질환 원인균인 P. gingivalis A7A1-28와 P. gingivalis W83, Pr. intermedia ATCC 25611로 나타났다. 2. P. gingivalis A7A1-28의 MIC는 쑥추출액 농도 1.2%, MBC는 2.0%로 관찰되었다. 3. P. gingivalis W83의 MIC는 쑥추출액 농도 1.4%, MBC는 2.0%로 관찰되었다. 4. Pr. intermedia ATCC 25611의 MIC는 쑥추출액 농도 1.2%, MBC는 2.0%로 관찰되었다. 천연 자연물질인 인진쑥이 구강질환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균주에 대한 효과를 연구한 본 실험의 결과, 인진쑥은 구강 세균, 특히 P. gingivalis A7A1-28와 P. gingivalis W83, Pr. intermedia ATCC 25611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이 천연물질이 부작용이 없는 한계 내에서 사용된다면, 구강질환자의 구강 환경 개선을 위한 치약, 구강세척제 등의 구강용품들을 통해 임상에 적극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자연산 및 조직배양 사철쑥의 세포독성 및 면역활성 비교 (Comparison of Cytotoxin and Immune Activities between Natural and Tissue Cultured Plant in Artemisia capillaris Thunb.)

  • 김정화;김대호;유진현;김철희;권민철;황백;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54-160
    • /
    • 2005
  • 자연산 인진호와 조직 배양체의 유용 생리활성을 살펴 보았다. 우선, 항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인간 폐암세포(A549)와 위암세포(AGS), 인간 간암세포(Hep3B)와 유방암 세포(MCF7) 4가지 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 생육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MTT assay의 경우 1.0g/l 의 농도에서 캘러스가 A549와 ACS에 대해 각각 약 45%와 42%로 모상근과 기내배양에 비해 높은 세포 생육 저해능을 나타내었고, 자연산 인진호는 약 45%와 38%로 캘러스와 비슷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었다. SRB assay의 경우도 캘러스가 가장 높은 항암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대체적으로 약 55% 이상의 암세포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자연산 인진호의 항암 활성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면역세포를 이용한 생육도와 cytokine의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B 세포의 생육도는 6일째까지 계속적인 증가를 가져왔고, 이에 따라 cytokine의 분비량 또한 $TNF-{\alpha}$와 IL-6 모두 6일째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면역세포의 생육도의 경우는 자연산 인진호가 가장 높은 생육도를 나타내었고, 인진호의 기내배양, 모상근, 캘러스 중에서는 모상근에서 가장 높은 생육도를 나타내었다. Ctyokine의 경우도 $TNF-{\alpha}$에서 자연산 인진호의 분비량이 가장 많았고, 배양 방법에 따른 인진호의 경우 캘러스가 가장 많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IL-6의 경우는 모든 sample에서 control에 비해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자연산 인진호와 기내배양, 모상근, 캘러스와 비교했을 때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PLC 분석을 통한 추출물의 물질 비교 분석 결과 기내배양과 모상근에서는 자연산 인진호에 비해 주요 성분 peak인 artemisidin 면적이 모두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캘러스의 경우는 일반 인진호에 비해 peak의 면적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법으로서, 캘러스가 다른 조직 배양체보다 인진호의 주요 성분인 artemisidin 성분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캘러스가 기내배양이나 모상근 보다 높은 항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이와 같이 자연산 인진호와 조직 배양체의 항암 효과나 면역활성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조직배양체가 자연산 인진호를 대체 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환경적인 측면과 자원 보존적인 측면에서 볼 때 가치있는 결과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