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8 provinces

Search Result 49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국내 시판 벌꿀의 품질 평가 및 품질인자간 상관관계 분석 (Evaluation of Commercial Korean Honey Qua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Quality Parameters)

  • 성화정;정철의;권지영;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89-1500
    • /
    • 2018
  • 벌꿀은 꽃의 화밀을 꿀벌이 수집하여 벌집에 저장한 것으로, 밀원에 따라 색, 맛, 향기 등에 많은 차이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 다양한 밀원에서 생산된 국내 120종 벌꿀(밤꿀, 대추꿀, 때죽꿀, 잡화꿀, 밀감꿀, 유채꿀, 사양벌꿀)의 유용성분 분석, 항산화 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하고, 분석인자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벌꿀의 성분 및 생리활성은 밀원에 의해 차별화되었으며, 채취농가 및 채취지역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벌꿀의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 밤꿀이 가장 높은 $77.1{\pm}8.4mg/100g$을 나타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대추꿀($8.73{\pm}7.31mg/100g$)과 밤꿀($8.39{\pm}3.02mg/100g$)에서, 단백질 함량은 밤꿀에서 가장 높은 $25.9{\pm}0.9mg/100g$을 나타내었으며, 아카시아, 유채 및 사양꿀에서는 12~15 mg/100 g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400 nm에서의 흡광도는, 밤꿀에서 가장 높은 $0.156{\pm}0.036$를 나타내었고, 대추꿀 > 잡화꿀 > 때죽꿀 > 유채꿀 > 감굴꿀 > 사양벌꿀 및 아카시아꿀로 나타났다. 모든 벌꿀 시료는 1 mg/ml 농도까지 적혈구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항산화 활성평가 결과, DPPH 및 ABTS 소거능의 경우 밤꿀 > 대추꿀 > 때죽꿀 > 잡화꿀 > 밀감꿀 > 유채꿀, 사양벌꿀 및 아카시아꿀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nitrite 소거능의 경우 밤꿀, 대추꿀, 잡화꿀 > 유채꿀, 밀감꿀, 사양벌꿀 및 아카시아꿀의 순으로 우수하였다. 분석인자간의 상관성을 계산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과 ABTS 양이온 소거능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0.879)를 나타났으며, 특이하게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음이온 소거능은 0.441로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또한 400 nm 흡광도는 총 폴리페놀 함량, ABTS 소거능 및 환원력과 각각 0.804, 0.772 및 0.741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 향후 400 nm 측정으로 벌꿀 간편 품질검사가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기능성 벌꿀 개발 및 벌꿀 유용성분을 이용한 식의약품 소재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이며, 현재 선정벌꿀로부터 활성물질 분리 및 약용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사양벌꿀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국내 논잡초 발생분포조사 (A Survey of Weed Occurrence on Paddy Field in Korea)

  • 하헌영;황기선;서수정;이인용;오영주;박중수;최준근;김은정;조승현;권오도;임일빈;김상국;성덕경;정영재;이욱재;김창석;이정란;박재읍;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71-77
    • /
    • 2014
  • 본 연구는 전국 논의 재배양식별 잡초 분포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도 농업기술원, 농업 대학 및 관련 연구소 등 11개 기관에서 전국 8도 155개 시 군의 3,434지점에서 잡초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2013년 현재 우리나라 논에는 일년생잡초가 52종, 월년생잡초 3종, 다년생잡초 35종을 포함한 28과 90종의 잡초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생한 잡초의 과별구성을 보면 화본과 18종, 사초과 17종, 현삼과 8종 마디풀과 6종 순으로 상위 4개 과가 포함하는 49종이 전체의 54%를 차지하였다. 조사된 잡초는 피 17.4%, 물달개비 12.4%, 올방개 7.8%, 올챙이고랭이 6.2%, 벗풀 6.1% 순으로 우점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앞으로 전국 논잡초의 발생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기계 정기점검정비 실태조사 (Survey on the Regular Maintenance of Agricultural Machinery)

  • 강지원;이운용;이성범;이종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3권1호
    • /
    • pp.142-157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the basic information for promoting farm machinery productivity by surveying the regular maintenance and repair status of major farm machinery such as power tiller, farm tractor, rice transplanter and combine harvester.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9 provinces including Cheju province by direct visiting farmers with prepa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verage farming carrier of the surveyed farmers was 25.3 years, and 21-30 years of farming carrier showed the highest portion as 40.7%. The average carrier of using farm machinery was 9.4 years, and that was 14.9 years for power tiller, 8.3 years for farm tractor, 9.0 years for rice transplanter, 7.9 years for combine harvester, 7.5 years for mini tiller, 9.7 years for power sprayer, and 8.2 years for binder etc. 2. The regular maintenance for farm machinery was conducted mainly at repair shop (49.5%) or dealer agency (12.0%) as 61.5%, and 34.9% of farmers conducted the regular maintenance by themselves at their house. 3. The reasons for not-fully recognizing operation manual and insufficient before-, during-, after-maintenance of farm machinery were insufficient time for them (45.8%), troublesome (22.9%), unknown maintenance method (16.3%), unknown the necessity for maintenance (12.4%), and others (2.6%) in order. 4. For the annual exchange of engine oil, 3.2 times is necessary but actually 1.7 times was exchanged for power tiller, 4.3 times is necessary but actually 1.9 times was exchanged for farm tractor, 2.7 times is necessary but actually 1.7 times was exchanged for rice transplanter, 2.2 times is necessary but actually 2.3 times was exchanged combine harvester. 5. For the annual cleanness or exchange of fuel filter, 3.2 times is necessary but actually 1.1 times was done for power tiller, 4.3 times is necessary but actually 1.6 times was done for farm tractor, 2.7 times is necessary but actually 1.7 times was done for rice transplanter, 1.9 times is necessary but actually 0.8 times was done for combine harvester. 6. For the annual cleanness or exchange of air filter, 3.2 times is necessary but actually 1.4 times was done for power tiller, 4.2 times is necessary but actually 2.4 times was done for farm tractor, 2.6 times is necessary but actually 1.6 times was done for rice transplanter, 3.9 times is necessary but actually 7.0 times was done for combine harvester. 7. For the experience of breakdown related to maintenance, 5.3% of farmers experienced breakdown due to the insufficient exchange of engine oil, 7.7% of farmers experienced breakdown due to the insufficient cleanness or exchange of fuel filter, and 2.9% of farmers experienced breakdown due to the insufficient cleanness or exchange of air filter. 8. Most farmers (76.1%)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training or education, and most farmers preferred about one week for the training period, simple or ease maintenance for the training level, agricultural technical center or agricultural machinery manufacturer for the training agency. 9. Complete recognition of operation manual and sufficient before-, during-, and after-maintenance for farm machinery can minimize the breakdown as well as conduct suitable period farming, enlarge the endurance,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and promote productivity of farm machinery. Therefore, these can be accomplished by the thorough training or education for agricultural machinery.

지역간 지식연계망에 대한 실증적 고찰 - IMF 외환위기 기간(1996-2001)을 중심으로-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Knowledge Network between Regions)

  • 김요은;원동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1-5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IMF 외환위기 기간(1996-2001)동안의 지역 자료를 활용하여, 지식기반경제에 있어서 지역의 지식연계망 기능을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지역혁신과 관련하여 지역간 지식연계망에 관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지역에서 지역간 지식연계망을 어떻게 구별할 수 있는가? 둘째, 실물 경제와 지역간 지식 연계망의 관계는 무엇인가? 이러한 의문 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물 경제의 변화와 지역간 지식연계망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회 연계망 분석법을 활용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해서 1996년부터 2001 년까지의 16개 시도의 지역 고용 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먼저 지역간 지식연계망의 집중도와 실물 경제의 경제성장률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지역간 지식연계망의 밀도와 표준편차는 실물 경제의 경제성장률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Genetic Identification of Spirometra decipiens Plerocercoids in Terrestrial Snakes from Korea and China

  • Jeon, Hyeong-Kyu;Park, Hansol;Lee, Dongmin;Choe, Seongjun;Kim, Kyu-Heon;Sohn, Woon-Mok;Eom, Keeseon S.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2호
    • /
    • pp.181-185
    • /
    • 2016
  • Human sparganosis is a zoonotic disease caused by infection with larval forms (procercoid/plerocercoid) of Spirometra sp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pirometra spp. of infected snakes using a multiplex PCR assay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sequence data from the spargana of terrestrial snakes obtained from Korea and China. A total of 283 snakes were obtained that included 4 species of Colubridae comprising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n=150), Dinodon rufozonatum rufozonatum (n=64), Elaphe davidi (n=2), and Elaphe schrenkii (n=7), and 1 species of Viperidae, Agkistrodon saxatilis (n=60). The snakes were collected from the provinces of Chungbuk, Chungnam, and Gyeongbuk in Korea (n=161), and from China (n=122). The overall infection rate with spargana was 83% (235/283). The highest was recorded for D. rufozonatum rufozonatum (100%), followed by A. saxatilis (85%) and R. tigrinus tigrinus (80%), with a negative result for E. davidi (0%) and E. schrenkii (0%). The sequence identities between the spargana from snakes (n=50) and Spirometra erinaceieuropaei (KJ599680) or S. decipiens (KJ599679) control specimens were 90.8% and 99.2%, respectively. Pairwise genetic distances between spargana (n=50) and S. decipiens ranged from 0.0080 to 0.0107, while those between spargana and S. erinaceieuropaei ranged from 0.1070 to 0.1096. In this study, all of the 904 spargana analyzed were identified as S. decipiens either by a multiplex PCR assay (n=854) or mitochondrial cox1 sequence analysis (n=50).

전남북지역 휴경논의 식생 및 곤충상 (Plant Flora and Insect Fauna in the Fallow Paddy Fields of Jeonnam and Jeonbuk Province)

  • 백채훈;이건휘;강종국;전용균;최만영;서홍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5-294
    • /
    • 2009
  • 2004년에서 2005년까지 전 남북지역 휴경 논에 발생하는 식물, 해충 및 천적의 발생종류 및 발생정도를 조사하였다. 휴경 논에 발생하는 식물 종은 32과 124종, 해충은 30과 58종, 천적은 9과 11종 이었다. 식물 종은 벼과(Poaceae)와 국화과(Asteraceae)가 각각 28, 18종으로 발생량이 많았으며, 해충은 쌕새기, 애긴노린재, 시골가시허리노린재, 가시점둥글노린재, 끝동매미충, 애멸구 및 각다귀 1종의 발생량이 많았다. 휴경 논에 발생하는 해충 중 끝동매미충과 애멸구는 $5{\sim}6$월에 발생이 가장 적었고, 애멸구는 $8{\sim}9$월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천적곤충으로는 실잠자리류, 무당벌레, 꼬마남생이무당벌레, 꽃등에의 발생이 많았다.

단감 과수원에서 밤알락명나방의 발생소장과 성페로몬샘 성분의 유인력 (Seasonal Occurrence of Euzophera batangensis and Attractiveness of Its Sex Pheromone Gland Components in Non-astringent Persimmon Orchards)

  • 김준헌;노광현;장신애;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65-169
    • /
    • 2017
  • 경남과 전남지역의 단감원에서 밤알락명나방의 발생소장과 성페로몬샘의 성분별 및 트랩 종류별 유인력을 조사하였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밤알락명나방은 년 3회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세대 성충의 발생시기는 월동세대는 4월 상순-5월 하순, 제1세대는 6월 상순-7월 하순, 제2세대는 8월 상순-10월 중순이었다. 성페로몬샘 성분별 유인력은 (Z9,E12)-tetradeca-9,12-dien-1-ol (Z9, E12-14OH) 단독 루어가 (Z)-tetradec-9-en-1-ol (Z9-14OH) 단독 루어보다 유인력이 뛰어났으며, 두 물질을 9:1로 혼합한 루어와 차이가 없었다. 깔대기 트랩과 흰색 및 붉은색 트랩을 비교해 본 결과 트랩 종류 간에는 유인수의 차이가 없었다.

적정규모 학교 정책 수립을 위한 초등학교 재학생수 기초 조사 연구 (An analytic Study on the number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profer School Policy Establishment in Korea)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1호
    • /
    • pp.23-32
    • /
    • 2018
  • 전국 29개시 총 1,337개 초등학교 재학생수 구간분포 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국 29개시 총 1,337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재학생수 조사 분석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기 신도시의 적정학교(301~750명) 규모의 학교수가 총 96개교중 52개교(54.2%)로 가장 많고, 대규모 학교는 40개교로 전체의 41.7%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1200명이상의 초대규모 학교가 5개교가 있다. 또한 300명이하의 소규모학교가 4개교(4.2%)로 150명이하의 학교수가 1개교로 여타지역에 비하여 미미한 편이다. 수도권에서는 적정규모 학교가 148개교로 전체의 51.7%를 차지하고, 과대학교는 122개교로 전체의 42.7%를 차지하고 있다. 재학생수 300명이하의 소규모 학교수는 16개교로 전체의 5.6%를 차지하고 있다. 충청권은 총 243개교중 39개교가 적정규모 학교수는 108개교로 전체의 44.4%로 가장 많으나, 대규모 학교는 99개교로 전체의 40.7%를 차지하고 있다. 소규모 학교는 36개교로 전체의 14.8%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영남권은 전체 486개교중 적정규모 학교는 234개교로 전체의 48.1%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규모 학교는 134개교롤 전체의 27.6%를 차지하고 있다. 전국 학교 규모를 분류해 보면, 적정규모 학교는 656개교로 전체의 49.0%를 차지하고 있고, 과대학교는 34.0%, 소규모학교는 17.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적정규모 학교 육성뿐만 아니라 과대학교와 소규모 학교에 대한 종합적인 중장기 학생수용계획 수립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는 학교 신설뿐만 아니라 학교 통폐합, 이전, 통학구역 조정 등과 연동된 유기적인 학교재구조화 정책 수립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적정학교 규모를 학업성취도측면이나 생활지도측면에 경제적 효율성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301~750명으로 하였으나, 다소 논란의 소지가 있어, 이에 대한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보완하고자 한다.

Characterisation of fungal contamination sources for use in quality management of cheese production farms in Korea

  • Kandasamy, Sujatha;Park, Won Seo;Yoo, Jayeon;Yun, Jeonghee;Kang, Han Byul;Seol, Kuk-Hwan;Oh, Mi-Hwa;Ham, Jun S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6호
    • /
    • pp.1002-1011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the fungal flora at various control points in cheese ripening rooms of 10 dairy farms from six different provinces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Floor, wall, cheese board, room air, cheese rind and core were sampled from cheese ripening rooms of ten different dairy farms. The molds were enumerated using YM petrifilm, while isolation was done on yeast extract glucose chloramphenicol agar plates. Morphologically distinct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sequencing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Results: The fungal counts in 8 out of 10 dairy farms were out of acceptable range, as per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regulation. A total of 986 fungal isolates identified and assigned to the phyla Ascomycota (14 genera) and Basidiomycota (3 genera). Of these Penicillium, Aspergillus, and Cladosporium were the most diverse and predominant. The cheese ripening rooms was overrepresented in 9 farms by Penicillium (76%), while Aspergillus in a single farm. Among 39 species, the prominent members were Penicillium commune, P. oxalicum, P. echinulatum, and Aspergillus versicolor. Most of the mold species detected on surfaces were the same found in the indoor air of cheese ripening rooms. Conclusion: The environment of cheese ripening rooms persuades a favourable niche for mold growth. The fungal diversity in the dairy farms were greatly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exterior atmosphere, working personnel etc.,) and their proportion varied from one to another. Proper management of hygienic and production practices and air filtration system would be effective to eradicate contamination in cheese processing industries.

기백산군립공원과 인접산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Gibaeksan Mt. County Park and mountains neighboring the park)

  • 박범균;손동찬;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66-198
    • /
    • 2020
  • 경상남도 거창군과 함양군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기백산군립공원과 인접산지의 관속식물상을 2011년 4월부터 9월까지, 2012년 7월, 2015년 4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총 46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조사 지역의 관속식물은 107과 346속 583종 14아종 46변종 6품종의 총 649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25분류군의 한국특산식물과 18분류군의 희귀식물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식재종을 포함하여 V등급에 5분류군, IV등급에 5분류군, III등급에 29분류군, II등급에 30분류군, I등급에 38분류군이 각각 발견되었으며, 외래식물은 4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전체 식물 중 500분류군이 자원식물이었으며, 이를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257분류군, 약용식물 206분류군, 목초용식물 220분류군, 관상용식물 84분류군 등이었다. 조사지의 식물상은 한반도 식물구계의 남부아구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