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th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667건 처리시간 0.028초

교육과정의 이행에 따라 발생하는 초등학교 과학과 학습 내용 중복 및 누락에 대한 분석 (The Reformed Science Curriculum Contents Overlapped or Omitted in Elementary School Comparing with Existing Curriculum)

  • 전민지;장진아;전영석;이인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58-56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inimize the learning deficiency on science subject in changeover from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to the next curriculum which was noticed in 2007. We investigated the contents overlapped or omitted in science contents organization between the two curriculums; moved contents to upper or lower grade, deleted contents, enlarged contents and reduced contents. Also we found that the deficiency will be occurred for the students who entered school in 2006 and 2007 in elementary school. To minimize the learning deficiency in the changeover, we must consider the following points. (1) We need to promote the teachers' comprehension about the learning deficiency and supplementary instruction through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before carrying out the next curriculum. (2) We must add the measures minimizing the learning deficiency to the teachers' guide and resources which are used in encouragement of learning and teachers' training. (3) We must develop the instructing materials to supplement the learning deficiency for the students who entered school in 2006 and 2007. As practicing above points, we will be able to reduce time loss in studying and teaching the same contents and to supplement the omitted contents.

  • PDF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분석 (Th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nalysis of Text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Revision)

  • 맹승호;김혜리;김찬종;이정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2-252
    • /
    • 2007
  • 이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까지의 모든 과학(자연)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기압'과 '바람'을 다루는 텍스트를 체계기능언어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념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과학적 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 텍스트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정보의 형태는 '원리'보다는 '정의'와 '사실'이었다. 상호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학생과 텍스트 사이의 거리는 점점 줄어들었으며, 학생들의 사회적 지위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점차적으로 고려되었다. 구성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전문적 용어와 기호의 비율은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과학 교과서에서 텍스트양 또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에는 문장에 주어가 제시되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주어가 생략되었다. 또한 주어와 문장 첫 구의 일치율은 7차의 교과서 텍스트에서 그 일치도가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학교의 로마자 인명 표기 교육에 대한 제언 (Suggestions for the romanization education of personal names in primary schools)

  • 김혜숙
    • 영어어문교육
    • /
    • 제7권2호
    • /
    • pp.129-145
    • /
    • 2002
  • This paper compares the four official romanization systems (1948, 1959, 1984 and 2000) and analyzes the third- and fourth-year primary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in terms of romanization of personal names.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inconsistent use of romanization is due to two major causes, i.e., the frequent changes of the formal romanization systems and the exclusion of the romanization system from the school curriculum. The current third- and fourth-year primary school English text books (Ministry of Education, 2001) are chosen for the analysis because they are the first primary school English textbooks to be implemented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found that th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did not state which romanization system they were following and were not consistent in romanizing personal names. This study suggests including the current official romanization system in the current primary school curriculum and outlines a strategy for teaching the romanization system which suits the curriculum.

  • PDF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학교 인구교육의 미래 방향 탐색: 제7차 교육과정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Future Direction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the 7th Curriculum through 2015-Revised Curriculum)

  • 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1-157
    • /
    • 2020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에서 전개되고 있는 학교 인구교육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국가수준의 총론 및 각론 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터하여 학교 인구교육의 미래 방향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는 총론 교육과정의 '범교과학습주제'로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의 인구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으나, 현행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각론 교육과정 분석의 결과(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안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해당하는 10개의 공통 교과 교육과정 문서 분석함), 중등의 기술·가정교과의 가정과 교육과정, 그리고 초등 및 중등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만 교과의 성격이나 목표, 또는 내용요소나 성취기준에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의 인구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5가지 학교 인구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 인구교육의 목적은 출산에 개입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하게 확인하며, '저출생·초고령사회 대응'의 양성평등한 용어를 적용한다. 둘째, 인구교육을 교과의 목표와 내용요소, 그리고 성취기준으로 직접 다루는 교과에 인구교육의 주도교과로서 사명을 부여한다. 셋째, 융합학문적 특성의 인구교육을 융합교육의 적극적 소재로 활용한다. 넷째, 선택중심의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고등학교에서는 인구교육의 주요 내용을 다루는 주도교과의 선택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준다. 다섯째, 교원의 인구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교육을 강화한다. 민주시민의 역량은 사회의 기본적 집단인 가족의 사회화를 통해 출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삶을 기반으로 하는 가정과교육에서 인구교육을 주도하여 삶, 즉 생활과 연계된 실천적 인구교육으로 학교 사회에 인구교육이 확대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학교 인구교육의 주도교과로서의 사명을 가정과교육에 맡겨서 이를 잘 수행해 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전체 교육과정에서 가정과교육의 이수를 강화시키는 교육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7차와 2007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읽기자료 분석 (Analysi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and the 2007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a)

  • 강석진;고한중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479-490
    • /
    • 201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use of them.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and the 2007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a were analyzed.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reading materials were the type of theme, purpose, students' activity, the type of presentation, the type of images, the role of images, and read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are more systematic than those in the 7th science textbooks in terms of their length and their distribution among energy, matter, life, and earth areas. It was also found that various types of reading materials are presented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covering new themes such as frontier science, job opportunity and career, an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introduce more visual images and the readability of them are also better than their counterpart. However, several limitations were still found to exist in the reading materials of the 2007 revised textbooks; most of them are non-inquiry and explanatory; most of the visual images are illustration and/or picture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스크래치와 센서보드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nvergent Programming Study Utilizing Scratch and Sensor Board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문외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3-31
    • /
    • 2017
  • 본 연구는 2018년부터 실시 예정인 프로그래밍 학습을 정규 교과 내용에서 알고리즘 구현과 이를 디지털적으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6학년 2학기 일부 교과내용을 학습모형으로 하였다. 6학년 학생들에게 교과수업 후 일부 교과내용을 스크래치와 센서보드를 함께 활용한 프로그래밍을 시킨 후 설문조사와 교사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들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결과로서, 프로그래밍 학습 시 단순히 스크래치만 활용하는 것 보다 하드웨어인 센서보드를 함께 활용하면 프로그래밍 학습의 흥미도와 참여도가 각각 9.37%, 7.53%가 더 높았다. 또한, 교과수업의 이해도는 7.53%가 더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래밍의 효과적 완성도를 평가하는 성취도 평가에서도 폭 넓은 알고리즘 구현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7차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the 7th Home Economics Science Curriculum in High School)

  • 유지연;신상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priety of various aspects of the 7th home economics science curriculum in high school. In this study, home economics education experts participated in a three-round Delphi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subject arrangement and title 'home economics science' were inadequate. Second,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science were similar to those in prior home economics curricula, a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ere also ambiguous. Third,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objectives of home economics science were too technically presented, and pointed out that the objectives are not distinct from those of prior home economics courses as they are too general and abstract. Fourth,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content of home economics science was deficient in its hierarchy and integration. Moreover, the contents do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characters of the learners or their social demands. Fifth,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home economics science were stated for the sake of formality only. Even though it provides many methods, it is not practical in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Sixth, the experts evaluated that although home economics science provides various methods of assessment, it has practical difficulties under current educational circumstances. Besides, the assessment methods failed to give concrete and objective standards.

지속가능성 교육으로서 초등학교 환경교육 체계화 연구 (A Study on the Systematizing Environmental Course for Sustainabl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 최영분;민병미;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8권1호
    • /
    • pp.1-30
    • /
    • 2005
  • Environmental education as worldwide sustainable education is effective when it is carried out as early as possible. But we do not have any aims and textbook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ystematizing environmental syllabus as sustainable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ly,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sustainable education was conceptualized, secondly, the ai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set up, thirdly, domai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revised, and lastly, the syllabus for environmental instruction were created for each grade. Literature review was practiced over 143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from the 4th to 7th curriculum period.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First, environmental education as sustainabl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as conceptualized as an integrative education to keep the lifelong education and welfare. Second, the synthetic aim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sustainabl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as set up as 'cultivating desirable environmental people that behave for the sustainable future with environment-friendly value and attitude. Third, our environmental domains were divided into 11-12 independent areas, and ESSD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as located on the subcategory of environmental domain. These domains were revised into three environmental domains and five sub-domains. Fourth, according to the ai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sustainable education and five environmental domains, 253 objectives were established. Fifth,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10 subject matters and integrative objectives were presented. Sixth, based on the objectives of domains and subject matters, 255 content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ere abstracted and distributed to each grade in the consideration of balance among domains and appropriateness of grades. Seventh, analytic results of textbooks of 7th curriculum shows heavy stress on the 'knowledge perception' section and deficiency on the altitudes and behavior section. The environment-related level and contents overlapped and fragmented deeply. Furthermore, 33 parts of textbooks could bring to mis-concept on environment.

  • PDF

중국의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중등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China)

  • 장연연;정지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833-840
    • /
    • 2017
  • 이 연구는 2011년<기초 교육 개혁 가요(실행)>에 따른 중학교 <역사와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나타난 문화다양성 교육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그 결과,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는 다양한 시간, 공간 배경,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1] 세계시민교육을 반영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실현할 것을 강조하였다. 교육과정 지침서에는 "세계 문화의 다양성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문화다양성에 대한 지식 습득과 시회생활에 중요한 기능을 파악하며, 세계 구성원으로서 요구되는 태도와 자질을 가짐으로 세계시민이 되는 다원적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하는 교과"라는 목표가 명시되어 있다. 교과서에서는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해 주로 학년별 주제는 교육과정 표준에 따라 7학년의 교육영역은 '인간의 공동체 생활', 8학년의 교육영역은 '중화문명의 기원과 발전', 9학년의 교육영역은 '세계와의 조화로운 공존'이라는 주제 범위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범위에 따라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는 문화다양성 교육의 측면으로 다양성, 정체성, 상호 관계성이라는 세 가지의 요소가 포함되어 분석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