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차 교육 과정

검색결과 942건 처리시간 0.026초

제7차 초등교육과정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교육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7th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 박후서;이규섭;박정희;최석진;안종운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1호
    • /
    • pp.28-41
    • /
    • 2007
  • Current environmental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is demanded to be changed into 'Sustainable Development', Therefore, we should find a new program to reflect appropriateness and diver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result of analysing textbooks and the realiti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is as follows, First, when we analyse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eflecting rate was high in 'natural environment' and 'sound consumption', compared with in 'artificial environment', 'resource and energy' and 'health and environment'. Second, we realized the necessi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complementary to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is because the analysis showed the lack for the activity for approaching and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with 'artificial environment', 'resource and energy' and 'health and environment'. Third, the analysis also showed the deficiency in the refl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for maintaining healthful environment through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Current textbook didn't deal with very important elem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 the Quality of indoor atmosphere, harmful matter, safe things to eat, noise, stench, etc. For tho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realm and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ppropriate to elementary school. We require a new curriculum and textbook to cover diverse' environmental education' as well.

  • PDF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유 분석 및 비교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Analogies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 최경희;이영애;류수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5-175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비유를 분석하고 유형별로 분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7권을 대상으로 비유를 추출하고, 이를 비유물과 목표물의 공유속성, 비유물의 제시형태, 비유물과 목표물의 추상도, 목표물에 대응하는 비유물의 수, 비유 언급 여부, 인과관계 포함 여부의 6개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전체 비유사용 빈도는 189개로 교과서 한 권당 평균 16.9개 사용되었다. 교과서에 사용된 비유를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 실제 수업에서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될 비유도 많았지만, 비유물과 목표물간의 일대일 대응이 명확하지 않거나 과학 개념 설명에 적절하지 않는 비유도 제시되었다. 또한 비유사용 빈도는 출판사와 영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물리 영역에서 비유물의 수가 매우 적게 나타났다. 앞으로 효과적인 과학개념의 이해를 위해 좀 더 많은 비유의 개발과 비유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공통과학 교과서 화학영역의 STS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STS Contents in the General Science Textbooks(Chemistry Parts) of High School)

  • 최인영;김윤희;이석희;문성배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56-263
    • /
    • 2001
  • 본 연구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12종의 검인정 공통과학 교과서 중 화학단원에서 전체 지면중 STS 내용의 포함정도를 알아보고 STS 내용을 단원별, Piel의 주제영역별, 활동영역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에 STS와 관련된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품?있고, 교과서가 교육과정 목표에 어느 정도 부합되는지를 알아보았다. 12종의 공통과학 교과서 화학 영역에서는 STS 교육내용이 교과서 지면의 11.8%에서 33.6%로 평균 24.2%를 차지하고 있었다. STS 내용의 단원별 분포를 보면 현대과학과 가술 단원에 45.5%, 환경단원 38.7%, 에너지단원 29.1%, 물질단원14.0%로 현대과학과 기술단원에 STS에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다. Piel에 따른 교과서별 STS 주제영역을 비교해 본 결과, 7개의 주제영역중에서 환경문제와 천연자원의 이용이 38.3%, 과학이 과학의 사회학이 29.6%, 기술발달의 영향이 23.6%, 에너지가 7.9%, 인간공학이 0.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 그리고 우주개발과 국방에 관련된 주제는 모든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지 않았다. STS 주제를 단원별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에너지는 에너지 단원, 환경문제와 천연자원의 이용은 환경단원에 그리고 기술발달의 영향은 현대과학과 가술단원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었다. 반면, 과학의 사회학은 전 단원에 걸쳐 골고루 포함되어 羚駭? STS 교육내용을 SATIS의 활동영역에 따라 분석해 보면 조사연구와 사례연구가 대부분이었고 현장활동, 역할놀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웹 기반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간시각화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Web-Based Virtual Reality Programs on Elementary Schoolers' Spatial Visualization Skills)

  • 곽원규;김홍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75-484
    • /
    • 2004
  • 공간 능력 및 공간 시각화 능력의 향상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표현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고 실생활과 직업에 관련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한다. 초등학교에서는 비형식적인 방법으로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대상과 다른 구체적 자료를 사용한 조사, 실험, 탐구를 통하여 여러 위치에서 도형을 시각화하고, 그려보고, 비교하는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공간능력 및 공간 시각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으로 구체적 조작물과 학습지 사용을 병행하고 있다. 하지만 초등 기하는 공간적인 경험을 현실 상황이나 구체물 조작을 통하여 형성된 공간직관을 수학화하도록 하여야 하나, 실제 현장에서는 학교여건 등의 여러 실정으로 조작 자료들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잘 사용하지 않고 있다. 3차원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 시각화 학습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어떤 방향이든 상관없이 가상의 공간에서 물체를 옮기거나 회전시킬 수 있으며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자들의 공간시각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런 요구에 의해 아동과의 상호 작용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킨 웹기반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 분석을 통해 웹 기반 가상현실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가능성을 진단해 보고자 한다.

  • PDF

중학교(中學校) 교사(校舍)의 면적(面積) 사용실태(使用實態) 분석(分析)에 관한 연구(硏究) - 최근(最近) 설계(設計)된 학교(學校)들의 평면도(平面圖) 분석(分析)을 통하여 - (A Study on the Current Trend in Using Area for the Middle School Building - Through an analysis of floor plans of recently designed schools -)

  • 류호섭
    • 교육시설
    • /
    • 제9권3호
    • /
    • pp.13-21
    • /
    • 2002
  • The new design concept for the middle school is developed as the seventh curriculum is published. However, the credible data for a plan study and spatial organization, and the type of rooms, and using area are hardly found. O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for the design of middle schools and to recognize national status of plan organizations of middle schools with analizing the space and the type of rooms of collecting 150 schools' architectural plan drafted by city, province education office for 4 years(from 1997 to 2000) As a result, we know that although the class size of school is same, the area for school buildings is very diverse. Then, in order to increasing the area and to develop school buildings' quility, the meaning of standard level should be changed urgently minimum size to optimun size.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원자 및 분자 개념을 표상한 시각자료의 기호학적 분석 (Semiotic Analysis of the Inscriptions Representing Concept of Atom and Molecule in the 9th Grade Science Textbooks)

  • 노태희;윤미숙;강훈식;한재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23-43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제7차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원자 및 분자 개념을 표상한 시각자료의 유형 을 조사하고, 그 해석 과정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했다. 원자 및 분자 개념은 구 도식, 일상생활의 사물, 공 과 막대기, STM 그래픽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었다. 모형의 조작 가능성 여부를 기준으로 원자 및 분 자 개념을 이미지로 표상한 시각자료와 사물을 이용하여 원자 및 분자 개념을 표상한 시각자료를 구분했다. 이 시각자료들을 해석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을 구조화 과정과 번역 과정을 포함하는 기호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원자 및 분자 개념을 표상한 시각자료를 해석하는 것은 여러 단계의 해석 작업을 필요 로 하는 복잡한 과정이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보건교육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Health Education Contents of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 문영임;김명화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7-121
    • /
    • 2002
  • In this study we analysed time allotment and the contents of a health textbook and its teacher's guide book of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We intended to offer the basic data needed to establish the single health education. So the analysed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health education model developed by the korean nursing association and health teachers' meeting and the teaching time allotment presented by the teacher's guide book. It's goal is practice in regular class time of the subjects for the time and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i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The total class periods of health education of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are 229 hours and annual periods of health education per year are an average of 38 hours. The health education of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is separated into the 9 following subjects: Wise life, Pleasant life, Righteous life, We are 1st grade, Physical education, Science, Social studies, moral education and Practical course. The health education of the 6th elementary curriculum was combined with the units of physical education, but in the 7th curriculum it must be separated by a single, required health subject. The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of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is mostly dominated by units of community and environmental health with a total of 55 hours (24%). Therefore, the units of home health and social health, development of physical strength are fairly insignificant. The newly added contents in the 7th curriculum are "pregnancy and child birth, the protection and counterplan from rape, the reasons and prevention of stress, the reasons and the treatment of obesity, the damage of smoking and drinking, etc. According to the result above, we must establish the criteria for each year's health education in the 8th elementary curriculum. The contents of mental health, home health and social health should be revised and added new items. The health education that is separated in some subjects now must be established as a systematically integrated health education.

수준별 평가를 위한 문제은행 시스템 (An Item Pool System for Leveled Assessment)

  • 홍종기;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98-307
    • /
    • 2002
  • 최근 정보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교육은 그 방법이나 내용 면에서 변화를 강력히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교육에 정보${\bullet}$통신${\bullet}$기술을 적극 수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WBI (Web-based Instruction) 교수모형은 웹의 특성상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교육시간 및 공간 등의 범위를 확대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웹 기반 교수-학습 활동에 있어서 학습자가 학습 목표에 도달되었는지를 온라인 상에서 직접 평가할 수 있는 실시간 평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을 이용한 교수-학습의 결과를 학습 과정 중에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공들여 만든 좋은 문제들을 문제은행에 저장하고 이를 모든 교사가 검색하여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문제은행을 공유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교과-학기-단원의 카테고리를 이용해 문제와 평가지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전통적 문항 분석방법인 문항 난이도를 적용하여 문제은행에 저장된 문항의 양호도를 확보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평가 문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무엇보다도 본 시스템을 진단 평가나 형성평가에 활동한다면,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학습자의 출발점 행동 파악이나, 수준별 학습을 위한 학습자 수준 진단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 PDF

고등학교 과학과 수준별 수업의 적용 시기에 따른 효과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Tim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High School Science Class)

  • 최성봉;김상달;이승민;주국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9-26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준별 수업에서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적용하였을 때, 수준별 수업의 적용 시기가 학습자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첫째, 적용시기를 달리한 수준별 수업은 매 차시 개념주제단위로 심화 보충과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단원 말에 심화 보충 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적용시기를 달리한 수준별 수업은 매 차시 개념주제단위로 심화 보충과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단원 말에 심화 보충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상위집단의 학생들에게는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집단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적용시기를 달리한 수준별 수업은 매 차시 개념주제단위로 심화?보충과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단원 말에 심화 보충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5가지 하위 영역 중에서, '과학적 태도의 수용', '과학수업의 즐거움', '과학에 대한 직업적 관심'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e Education Learning Program Using Creative Thinking Methods)

  • 한신;김형범;이창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2-17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사고기법 중 하나인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무선 표집된 6개의 중학교 33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천문'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3차례에 걸쳐 수정, 보완하여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블록타임을 포함하여 총 4차시에 걸쳐 현장에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창의교육 수업만족도 검사와 창의적 사고과정 검사를 실시하였다. 즉 창의교육 수업만족도 검사는 프로그램 처치 후에 창의적 사고과정 검사는 처지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하면서 학생들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창의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창의적 사고기법의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업 전·후에 대한 통계적 검정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p<.05). 즉, 창의교육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사후점수 차에 의한 대응 표본 t검정에서 모두 유의미한 통계적 검정 결과를 나타내어(p <.05),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교육 수업 만족도에서는 전체 338명중 101명(30%)이 '매우 그렇다', 137명(41%)가 '대체로 그렇다'로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창의교육 수업에 대한 어려운 점에 대해 137명(41%)이 '시간 부족'을 주요 원인으로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 98명(30%)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의 어려움', 73명(22%)이 '친구와의 의견충돌' 및 24명(7%)이 '수업 내용의 어려움'으로 응답하여 향후 창의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점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