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LoWPA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8초

Proxy Mobile IPv6 기반 6LoWPAN 노드의 이동성 지원 기법 (A Mechanism for Supporting 6LoWPAN Node Mobility based on Proxy Mobile IPv6)

  • 김진호;이혜찬;홍충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D)
    • /
    • pp.470-475
    • /
    • 2008
  • 6LoWPAN 센서 노드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의 Mobile IPv6 (MIPv6)와 같은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것은 저전력에 제한적 사양의 하드웨어로 구성된 6LoWPAN 센서 노드에서 구동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Mobile Access Gateway (MAG)가 6LoWPAN 센서 노드의 이동시 발생하는 바인딩 시그널링을 대신 처리해주는 Proxy Mobile IPv6 (PMIPv6) 프로토콜을 6LoWPAN에 적용하면 효율적으로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Proxy Mobile IPv6는 6LoWPAN 이동 센서 노드와 1홉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6LoWPAN 이동 센서 노드의 이동을 인지하고 Proxy Binding Update(PBU)를 하게 되지만, 6LoWPAN 센서 네트워크와 같이 멀티 홉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는 Proxy Mobile IPv6를 바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1홉 단위로 연결된 6LoWPAN 이동 센서 노드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Proxy Mobile IPv6 프로토콜을 멀티를 환경의 6LoWPAN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6LoWPAN 기반 MANEMO 환경에서 경로 최적화 기법 (A Scheme for Route Optimization in 6LoWPAN based MANEMO Environments)

  • 김진호;홍충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71-1273
    • /
    • 2009
  • 6LoWPAN 단위의 네트워크 이동성을 지원하는 6LoWPAN Mobile Router 들이 중첩된 네트워크를 형성하였을 때, 6LoWPAN 노드와 CN 간의 통신을 할 경우 패킷 전달을 위한 경로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NEMO 프로토콜이 적용된 6LoWPAN 네트워크의 중첩된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패킷 전달을 위한 루트가 더욱 복잡해지고 오버헤드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ANEMO 기술을 6LoWPAN 환경에 맞게 적용하여 중첩된 6LoWPAN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고 6LoWPAN Mobile Router 간에 Ad-hoc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NEMO 환경에서의 터널링 오버 헤드 문제를 줄이고 통신 경로를 최적화하여 패킷 전송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안전한 6LoWPAN Neighbor Discovery 주소 등록 프로토콜 (Secure 6LoWPAN Neighbor Discovery Address Registration Protocol)

  • 한상우;박창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7-28
    • /
    • 2019
  • IEEE 802.15.4 기반의 6LoWPAN은 다양한 IoT (Internet of Things)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사실상의 표준 플랫폼이다. LoWPAN (Low-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을 부트 스트랩 하려면 각 디바이스는 고유한 IPv6 주소를 할당하기 위해 6LoWPAN-ND 주소 등록을 수행해야 한다. 적절한 보안 메커니즘이 없다면, 6LoWPAN-ND는 손상된 노드 공격을 포함한 다양한 보안 공격에 취약하다. 취약점에 대한 보완으로 몇 가지 보안 메커니즘이 제안되었지만 IEEE 802.15.4 hop-by-hop 보안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취약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6LoWPAN-ND 주소 등록의 취약점 및 손상된 노드 공격 방지에 적합한 새로운 보안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분석한다. 또한 제안된 보안 메커니즘이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표준과 호환되며 IETF 6lo WG에서 제안 된 메커니즘 보다 효율적임을 보인다.

IPSec-6LoWPAN을 위한 키 관리 요구사항과 프로토콜 분석 (Requirements and Analysis for Efficient Key Management Mechanism on IPSec-6LoWPAN)

  • 이윤정;조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739-2742
    • /
    • 2012
  • 6LoWPAN (IPv6 over Low Power Personal Area Network)은 IPv6 패킷을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인 센서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이다. 이를 위해서는 6LoWPAN에서의 보안 문제를 해결해야할 필요가 있다. IPSec은 IPv6에서의 보안을 담당하는 프로토콜로서, 일부 연구 결과는 6LoWPAN에서 IPSec 채택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IPSec에서 두 통신 주체는 일반적으로 키 관리 프로토콜인 IKE를 통하여 동적으로 보안 파라미터와 비밀키를 공유하게 되는데, IKE를 그대로 6LoWPAN에 채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6LoWPAN에서 IPSec을 위한 키 관리 메커니즘의 요구 사항을 제시하고 후보 프로토콜들을 분석하여 가능성을 제시한다.

6LoWPAN 멀티-홉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IEEE 11073 PHD 표준을 위한 신뢰성 있는 생체 정보 전송 (Reliable Transmission of Bio-Data for IEEE 11073 PHD Standards at 6LoWPAN Multi-Hop Wireless Sensor Networks)

  • 우연경;박종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0호
    • /
    • pp.116-123
    • /
    • 2013
  •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생체 정보의 신뢰성 있는 전송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6LoWPAN의 멀티 홉 무선네트워크의 모바일 헬스 케어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신뢰성 있는 생체 정보 전송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IEEE 11073-20601 프로토콜을 확장하였으며 IPv6 네트워크를 사용한 6LoWPAN 기반의 6LoWPAN 멀티-홉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생체 정보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신뢰성 있는 경로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6LoWPAN은 IPv6 패킷을 전송하기 위하여 MAC계층의 상위 계층에 적응 계층을 올려 센서 네트워크에 부합하는 점 등으로 인해 현재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6LoWPAN의 센서들이 소형이고 저가이며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음을 고려하고 모바일 헬스케어 응용환경에 적합한 네트워크 시스템인 만큼 신뢰성 있고 전력 소비 및 알고리즘 수행의 복잡도를 최소화하는 라우팅 절차 및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NS-3을 사용하여 AODV 프로토콜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안전한 6LoWPAN 단편화 패킷 재전송 기법에 관한 연구 (A Secure 6LoWPAN Re-transmission Mechanism for Packet Fragmentation against Replay Attacks)

  • 김현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01-110
    • /
    • 2009
  • 6LoWPAN은 IEEE 802.15.4 MAC과 PHY 계층 위에서 IPv6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IPv6 헤더 압축, TCP/UDP/ICMP 헤더 압축, 단편화 및 재조립 등을 수행하는 적응계층이다. 그러나 보안 관점에서 보면 기존 IP 계층에서 단편화 및 재조립으로 인한 보안 취약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6LoWPAN 적응계층 고유의 새로운 보안 취약점에 노출될 수 있다. 센서 노드는 특성상 재생공격으로 인해 단편화된 패킷의 재전송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면 심각한 통신장애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6LoWPAN 계층에서 패킷 단편화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재생공격으로 인한 재전송을 최소화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6LoWPAN 표준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재전송 절차 및 단편화 패킷 구조를 설계하고 재전송 지연시간을 분석하였다. 제안하는 메커니즘은 타임스템프, 난스, 체크섬을 도입하여 센서 노드에 가해질 수 있는 재생공격을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패킷 단편화 및 재조립을 제거함으로써 센서 노드의 재조합 버퍼 오버플로우, 통신 속도 저하, 컴퓨팅 자원 손실, 노드 재부팅 등을 최소화시켜 통신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A Lightweight NEMO Protocol to Support 6LoWPAN

  • Kim, Jin-Ho;Hong, Choong-Seon;Shon, Tae-Shik
    • ETRI Journal
    • /
    • 제30권5호
    • /
    • pp.685-695
    • /
    • 2008
  • The Network Mobility (NEMO) and IPv6 over Low power WPAN (6LoWPAN) protocols are the two most important technologies in current networking research and are vital for the future ubiquitous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pressed packet header format to support the mobility of 6LoWPAN. Also, a Lightweight NEMO protocol is proposed to minimize the signaling overhead between 6LoWPAN mobile routers and 6LoWPAN gateways by using a compressed mobility header. Performance results show that our Lightweight NEMO protocol can minimize total signaling costs and handoff signaling delay.

  • PDF

6LoWPAN에서 회복력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 기법 (Resilient Routing Protocol Scheme for 6LoWPAN)

  • 우연경;박종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1호
    • /
    • pp.141-149
    • /
    • 2013
  • IoT (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 IPv6 패킷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 기술로 IETF 6LoWPAN (IPv6 over Low power WAPN) 표준 기술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6LoWPAN에서 패킷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주로 AODV (Ad-hoc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 기술을 확장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제한된 자원을 가진 노드들로 구성된 6LoWPAN에서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했을 때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과 빠른 경로 설정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IETF LOAD(6LoWPAN 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Routing) 을 확장한 최적 복구 경로 알고리즘인 회복력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기법 (Resilient Routing Protocol) 을 제안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최적 복구 경로 설정 알고리즘, 상세 프로토콜 신호 흐름도 및 패킷 전송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수학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프로토콜 기법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NS-3 (Network Simulation Tool) 를 통해 성능 분석하였고 성능 분석 결과 기존의 LOAD 라우팅에 비해 종단간 지연시간, 패킷 처리율, 패킷 전송율 및 제어 패킷 오버헤드 등의 성능 면에서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6LoWPAN 노드와 외부 노드의 통신 시에 오버헤드 감소 방법 (Overhead Reduction Methods in Communication between 6LoWPAN and External Node)

  • 최대인;;박종탁;강현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5B호
    • /
    • pp.437-442
    • /
    • 2011
  • 6LoWPAN은 IETF Working Group으로 IEEE 802.15.4 상에서 IPv6 패킷을 전송하는 기술의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6LoWPAN WG은 현재 2개의 RFC 문서를 제정하였다. 이 중에 RFC 4944는 단편화, 재조립, 헤더 압축의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본 논문은 6LoWPAN 노드가 외부 노드와 통신 할 경우에 효율적인 통신 메카니즘을 제안 한다. 이 통신 메카니즘은 6LoWPAN과 외부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가 각 노드 사이에서 프락시 게이트웨이처럼 동작하는 방법을 사용 하였다. 성능 비교 및 분석을 위하여 QualNet으로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안한 메카니즘과 기존의 RFC 4944의 방법을 비교하여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센서기반 프록시 모바일 IPv6 네트워크에서 SPIG를 이용한 비용효과적인 분산 이동성관리 기법 (Cost-Effective and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Sensor-Based PMIPv6 Networks with SPIG Support)

  • 장순호;정종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11-221
    • /
    • 2012
  • 한정된 자원으로 인해 개발이 더디게 진행되어오던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가 하드웨어 및 전원관리 기술의 발달로 인해 최근 IP를 기반으로 하는 IP-WSN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 방안으로 저 전력 장치에 IPv6를 탑재할 수 있는 6LoWPAN (IPv6 over Low power WPAN)이 주목받고 있다. 이런 IP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기존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불가능하던 IP 기반의 기법들이 가능해진다. 6LoWPAN은 IEEE 802.15.4를 기반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 IPv6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이다. 호스트 기반의 이동성 관리 기법은 IP-WSN에 부가적인 시그널링으로 인해 적합하지 않고,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 관리 기법이 적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중 6LoWPAN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한 PMIPv6 기반의 향상된 경로 최적화 방안을 제안한다. 6LoWPAN 도메인의 모든 SLMA(Sensor Local Mobility Anchor)는 SPIG(Sensor Proxy Internetworking Gateway)에 연결되어 6LoWPAN도메인 간 분산 이동성 제어를 수행한다. 6LoWPAN 도메인 내 모든 SLMA의 정보를 SMAG(Sensor Mobile Access Gateway)가 유지하도록 하여 신속하게 경로 최적화를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SLMA에 경로 최적화 상태 정보를 SPIG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여 추가적인 시그널링 없이 경로 최적화를 지원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