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G

검색결과 30,825건 처리시간 0.062초

The Reactivity of Antiserum Raised against Nativ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with Denature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in Competitive ELISA

  • Kim, Moon-Hee
    • BMB Reports
    • /
    • 제31권5호
    • /
    • pp.519-523
    • /
    • 1998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anti-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 serum raised against native G6PD (nG6PD) enzyme recognized nG6PD antigen poorly in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m, 1997).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anti-G6PD serum raised against nG6PD can react with denatured G6PD effectively in competitive ELISA. We used partially active G6PD (paG6PD) by repeated freeze-thawing or SDS-denatured G6PD (SDS-G6PD) as both immobilized and soluble antigens, and anti-G6PD serum raised against nG6PD for competitive ELISA. The polystyrene cuvettes coated with either paG6PD or SDS-G6PD were challenged with a mixture of a limiting amount of anti-G6PD serum and various doses of paG6PD or SDS-G6PD as competitors, followed by incubation with alkaline phosphatase-anti-IgG conjugate. The competitive ELISA with paG6PD or SDS-G6PD antigen exhibited the sigmoidal dose-response curve characteristic of competition immunoassays. Furthermore, Triton-denatured G6PD (Triton-G6PD) was used in competitive ELISA. The paG6PD, SDS-G6PD, or Triton-G6PD used as competitors increased the inhibition of antibody binding to immobilized either of nG6PD or denatured G6PD compared with nG6PD competitor. The inhibition by denatured G6PD competitors was more pronounced at high competitor concentrations than at low counterparts. We conclude that anti-G6PD serum raised against nG6PD can effectively react with denatured G6PD in competitive ELISA and that our anti-G6PD serum recognizes denatured enzymes better than active enzymes.

  • PDF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 Kim, Moon-Hee
    • BMB Reports
    • /
    • 제30권5호
    • /
    • pp.326-331
    • /
    • 1997
  • To construct a competitive ELISA standard curve for the detection of glucose-6-phosphate debydrogenase (G6PD), we used highly purified native G6PD (nG6PD) as both immobilized and soluble antigens and anti-G6PD serum raised against nG6PD as antibody. The polystyrene cuvettes coated with nG6PD were challenged with a mixture of a limiting amount of anti-G6PD serum and various doses of nG6PD as competitors followed by incubation with alkaline phosphatase-anti-IgG conjugate. The competitive ELISA did not exhibit the typical sigmoidal dose-response curve characteristic of competition immunoassays under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antigen and antibody. The soluble nG6PD used as competitor failed to effectively inhibit the binding of antibodies to the immobilized nG6PD. The addition of NADP, a cofactor of G6PD enzyme, to coating buffer used for immobilizing nG6PD to the cuvettes and PBS-Tween-BSA buffer for diluting competitors did not improve the inhibition of antibody binding to immobilized nG6PD by soluble n/G6PD. The addition of BSA to coating buffer did not increase inhibition, either. Surprisingly, when partially active G6PD (paG6PD), obtained by repeated freeze-thawing, was used as competitor, the antibody binding to either immobilized nG6PD or immobilized paG6PD was inhibited 49-58%. We conclude that an effective competitive ELISA system with nG6PD enzyme and anti-G6PD serum for the detection of G6PD may not be established due to the poor inhibition of antibody binding to immobilized nG6PD by soluble nG6PD under the present assay conditions and that the inhibition may be improved by using an inactivated enzyme as competitor regardless of the type of immobilized antigen used.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immobilized nG6PD may undergo denaturation upon binding to the polystyrene cuvettes and that our anti-G6PD serum may recognize denatured enzyme better than active enzyme.

  • PDF

Isoforms of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 in Deinococcus radiophilus

  • Sung, Ji-Youn;Lee, Young-Nam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4호
    • /
    • pp.318-325
    • /
    • 2007
  •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EC 1.1.1.49) in Deinococcus radiophilus, an extraordinarily UV-resistant bacterium, was investigated to gain insight into its resistance as it was shown to be involved in a scavenging system of superoxide $(O_2^{-1})$ and peroxide $(O_2^{-2})$ generated by UV and oxidative stresses. D. radiophilus possesses two G6PDH isoforms: G6PDH-1 and G6PDH-2, both showing dual coenzyme specificity for NAD and NADP. Both enzymes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growth phase; however, the substantial increase in G6PDH-1 observed at stationary phase or as the results of external oxidative stress indicates that this enzyme is inducible under stressful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G6PDH-1 and G6PDH-2 were purified 122- and 44-fold (using NADP as cofactor), respectively. The purified G6PDH-1 and G6PDH-2 had the specific activity of 2,890 and 1,033 U/mg protein (using NADP as cofactor) and 3,078 and 1,076 U/mg protein (using NAD as cofactor), respectively. The isoforms also evidenced distinct structures; G6PDH-1 was a tetramer of 35 kDa subunits, whereas G6PDH-2 was a dimer of 60kDa subunits. The pIs of G6PDH-1 and G6PDH-2 were 6.4 and 5.7, respectively. Both G6PDH-1 and G6PDH-2 were inhibited by both ATP and oleic acid, but G6PDH-1 was found to be more susceptible to oleic acid than G6PDH-2. The profound inhibition of both enzymes by ${\beta}-naphthoquinone-4-sulfonic$ acid suggests the involvement of lysine at their active sites. $Cu^{2+}$ was a potent inhibitor to G6PDH-2, but a lesser degree to G6PDH-1. Both G6PDH-1 and G6PDH-2 showed an optimum activity at pH 8.0 and $30^{\circ}C$.

Rhodamine 6G 용매에 따른 CA 훈증 지문 증강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hancement Effectiveness of Cyanoacrylate Fumed Fingermark by the Solvent of Rhodamine 6G)

  • 심예라;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294-3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잠재지문이 유류되어 있는 비다공성 또는 반다공성 검체를 CA 훈증하여 지문을 현출한 후 현출된 지문을 증강하기 위해 Rhodamine 6G를 사용하였다. 각기 다른 용매를 기반으로 조제한 두 종류의 Rhodamine 6G 용액 중 어떤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지문을 증강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일곱 종류의 표면 모두 유기용매 기반 Rhodamine 6G보다 수용성 기반 Rhodamine 6G를 사용하였을 때 지문이 잘 증강되고 배경 염색도 적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수집되는 감식 대상은 다양한 표면 재질과 색상을 가지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키토산 분자량에 따른 Rhodamine 6G-Sodium Dodecyl Sulfate계의 응집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Molecular Weight of Chitosan on Flocculation of Suspended Solids in Rhodamine 6G-Sodium Dodecyl Sulfate System)

  • 김성현;나재운;오정선;송기동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72-678
    • /
    • 1998
  • 산업폐기물인 꽃게의 껍질로부터 chitin을 탈아세틸화시켜 분자량이 서로 다른 chitosan을 제조하였다. Rhodamine 6G(Rh 6G)-sodium dodecyl sulfate(SDS)계 및 Rh 6G-chitosan계들의 흡수 및 형과 spectra를 조사하였고, chitosan의 분자량 및 pH에 따른 Rh 6G-SDS-chitosan계의 응집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Rh 6G-SDS계의 흡광도나 형광세기는 S/D(SDS 농도/Rh 6G 농도)=32 이하에서 감소하다가 그 이상에서 다시 증가하였다. 부유물질(SS) 제거율이나 투광도로부터 S/D=32에서 chitosan을 첨가한 Rh 6G-SDS-chitosan계의 응집 성능이 Rh 6G-SDS계에 비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chitosan의 농도나 분자량이 크면 클수록, S/D 첨가 범위는 32에서 100까지 확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유물질의 제거율은 chitosan의 분자량이 클수록 pH 2∼9에서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반면, pH 12 이상에서 부유물질의 제거율은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탄성중합체 함유량 변화에 따른 폴리아미드-6,6/탄성중합체 블랜드물의 특성 (Properties of PA 6,6/Elastomer Blends with Various Elastomer Content)

  • 이융;이창우;차윤호;함영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4권1호
    • /
    • pp.20-30
    • /
    • 1999
  • 본 연구는 용융법에 의한 폴리아미드 6,6(PA 6,6)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 및 무수 말레인산 그라프팅 EPM(EPM-g-MA)과 블랜딩시 탄성중합체 함유량 변화에 따른 이성분 PA 6,6/ EPM[EPM-g-MA] 블랜드물과 EPM:EPM-g-MA 조성비(wt%) 변화에 따른 삼성분 PA 6,6/ EPM/EPM-g-MA 블랜드물을 제조하여 블랜드물 내 탄성중합체의 평균 입자크기, 입자 형상 및 분포 등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블랜드물의 기계적, 열적 특성변화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 이성분 블랜드물 중 PA 6,6/EPM-g-MA 블랜드물은 PA 6,6/EPM 블랜드물에 비하여 EPM-g-MA의 평균 입자크기와 분포, 충격강도 및 상대결정화도 등이 향상되었고 PA 6,6/ EPM-g-MA 블랜드물 중 가장 큰 충격강도의 향상을 보인 PA 6,6/EPM-I-MA(70/30) 블랜드물은 폴리아미드 6,6의 충격강도에 비하여 약 25배 향상되었으며 상대결정화도는 약 7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삼성분 블랜드물 중 조성비가 70:15:15(PA 6,6 :EPM:EPM-g-MA)일 때 블랜드물 내탄성중합체 평균 입자크기는 $0.56{\mu}m$이면서 고른 입자분포를 얻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블랜드물의 충격강도는 제조된 모든 블랜드물의 충격강도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 PDF

에너지 전환에 의한 동축 섬광관 펌핑 Rhodamine 6G 색소 레이저의 출력 증가 (Output Enhancement of Coaxial Flashlamp Pumped Rhodamine 6G Dye Laser by Energy Transfer)

  • 장우권
    • 한국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5-199
    • /
    • 1993
  • Rh-6G(Rhodamine 6G)를 주색소로 하고 C-545(Coumarin 545)를 첨가색소로 하는 펄스형 혼합 색소레이저의 출력을 조사하였다. 동축형의 섬광관을 펌핑 광원으로 이용하였으며 Rh-6G 단일 색소로 발진할 경우 전기 입력 에너지가 346 J 일 때 첨두 출력과 에너지는 각각 27kW, 59mJ이었다. Rh-6G의 흡수 스펙트럼과 일치하는 형광 스펙트럼을 갖는 C-545를 에서지 주개로 선택하였다. Rh-6G의 농도를 최적 농도인 $1{\times}10_-4mol/l$로 고정하고 C-545의 농도를 $1{\times}10_7mol/l$부터 변화시키면서 혼합 색소에 대한 레이저의 출력 특성을 조사하였다. C-545의 농도가 Rh-6G 농도의 0.4%일 때 출력 에너지는 약 70% 증가하였다.

  • PDF

복분자 과립차 가공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preparation propertie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granule)

  • 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2-538
    • /
    • 2013
  •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과립차를 제조하고자 가공특성을 조사하였다. 복분자 추출물과 당 및 산을 적용하여 추출물 함량($X_1$, 0.4~1.2 g), 당 함량($X_2$, 6~10 g) 및 구연산 함량($X_3$, 0.1~0.3 g)의 비율로 혼합하여 과립에 관능적 특성 및 Hunter's color를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색상에 대한 가장 우수한 관능평점을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96 g, 당 함량 7.05 g 및 구연산 함량 0.232 g이었다.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향미를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86 g, 당 함량 6.04 g 및 구연산 함량 0.215 g이었다.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맛을 나타내는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92 g, 당 함량 6.39 g 및 구연산 함량 0.251 g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배합비는 추출물 함량 0.86 g, 당 함량 6.65 g 및 구연산 함량 0.272 g이었다. Hunter's color b값의 반응표면은 전반적인 기호도의 반응표면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분자 과립차의 Hunter's color와 기호도는 Hunter's color a값 6.0, 복분자 추출물 함량 0.8 g 및 당 함량 0.6 g에서 선호되었다.

Alloxan으로 유발된 당뇨쥐의 간조직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효소의 변화 (Changes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on Alloxan-induced Diabetic Rat)

  • 박수영;조경혜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69-175
    • /
    • 1997
  • 닭의장풀 추출액을 쥐의 체중 1 kg 당 40 mg의 alloxan을 미정맥 주사한 당뇨쥐를 실험군으로 하여 혈당강하효과를 보았다. 정상대조군에게는 0.9% saline용액을 투여하고 당뇨쥐에게는 쥐의 체중 1 kg당 100 mg의 식물단백추출액을 경구투여하여 683.6$\pm$115.61 (mg/dl)에서 85.6$\pm$43.34 (mg/dl)의 혈당치의 정상수준으로 회복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정상군과 당뇨대조군, 약물투여군으로 나눈 실험쥐를 대상으로 간조직에서의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당뇨대조군에서는 정상군의 34.2%로 G6PD 효소 활성도가 감소되었으며 식물추출액을 투여함으로써 정상치의 61%로 회복되었다. 실험쥐 간조직내에 G6PD효소활성도의 감소 또는 회복과 G6PD isozyme분자의 구조변화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native gel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정상쥐의 간조직에서의 G6PD isozyme형태는 band I, II, III(전기영동상의 분자이동 차이에 따른 형태)로 나타났고 alloxan을 투여한 당뇨쥐의 간조직내에서는 band I, III만이 나타났다. 닭의장풀 추출액을 투여 한 실험 군에서는 G6PD의 isozyme 형태가 정상쥐의 경우에서와 같이 band I, II와 III가 모두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G6PD isozyme의 구조변화가 G6PD의 효소활성도와 매우 큰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Rhodamine 560을 이용한 rhodamine 6G 색소 레이저의 출력 증가 (Output Enhancement of Rhodamine 6G Dye Laser by Rhodamine 560 Energy Transfer Dye)

  • 장원권;이민희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66-271
    • /
    • 1994
  • 형광 스펙트럼이 Rhodamine 6G의 흡수 스펙트럼과 일치하는 Rhodamine 560을 첨가 색소로 하여 Rhodamine 6G 색소 레이저의 에너지 전달에 의한 출력 증가를 조사하였다. 펌핑 광원으로 펄스형의 경우 아르곤 기체를 주입한 동축 섬광관을 실험실에서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연속형은 아르곤 레이저를 이용하였다. 펄스형의 경우 주색소인 Rhodamine 6G의 종도가 $1\times10^{-4}mol/l$일 때 첨가 색소인 Rhodamine 560의 농도가 Rhodamine 6G농도의 1% 정도에서 에너지 전달효율이 가장 높았다. 연속형의 경우는 Rhodamine 6G의 종도가 $2\times10^{-3}mol/l$ 일 때 Rhodamine 560의 농도가 Rhodamine 6G 농도의 2.5%에서 에너지 전달효율이 가장 높았다. 아르곤 레이저의 multiline발진에 의한 출력이 3.6W일 때 18% 정도 출력이 증가하였으며 488nm와 514.5nm의 단색광으로 펌핑할 경우 아르곤 레이저의 최대 출력이 1.6W일 때 각각 72%와 88%의 출력 증가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