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9kV

검색결과 2,781건 처리시간 0.032초

새로운 구조의 나노급 ESD 보호소자 설계 및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vel SCR NANO ESD Protection Device Design and fabrication)

  • 김귀동;이조운;박상조;이윤식;구용서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61-16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보다 낮은 트리거 전압을 갖는 새로운 구조의 LVTSCR과 Triple-well SCR ESD 보호회로를 제안 및 설계하여 나노급 회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LVTSCR은 약 9V, 약 7mA의 트리거 전압과 전류 및 약 7mA의 홀딩전압 특성을 가지며, 0.8KV(150mA/um) 정도의 ESD 감내 특성을 나타낸다. 한편 Triple-well SCR은 6V, 40mA의 트리거 전압을 가지며, substrate 및 gate 바이어스에 의해 트리거 전압이 4-5.5V 까지 감소하였다.

  • PDF

Benzo[1,2,5]thiadiazole을 기본 골격으로 한 공액고분자의 합성 및 광전변환특성 연구 (Synthesis and Photovoltaic Properties of New π-conjugated Polymers Based on Benzo[1,2,5]thiadiazole)

  • 배준휘;임경은;김주현
    • 공업화학
    • /
    • 제24권4호
    • /
    • pp.396-401
    • /
    • 2013
  • Benzo[1,2,5]thiadiazole, carbazole 및 phenanthrene을 기본 골격으로 한 교대공중합체인 poly[9-(2-octyl-dodecyl)-9H-carbazole-alt-4,7-di-thiophen-2-yl-benzo[1,2,5]thiadiazole] (PCD20TBT)와 poly[9,10-bis-(2-octyl-dodecyloxy)-phenanthrene-alt-4,7-di-thiophen-2-yl-benzo[1,2,5]thiadiazole] (PN40TBT)을 Suzuki coupling reaction을 이용하여 중합하였다. 합성한 고분자들은 chloroform, chlorobenzene, 1,2-dichlorobenzene, tetrahydrofuran, toluene과 같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였다. PCD20TBT의 최대흡수 파장과 밴드갭은 각각 535 nm와 1.75 eV이고, PN40TBT의 최대흡수 파장과 밴드갭은 각각 560 nm과 1.97 eV이었다. PCD20TBT의 HOMO 및 LUMO 에너지준위는 각각 - 5.11 eV와 - 3.36 eV이고, PN40TBT의 HOMO 및 LUMO 에너지준위는 각각 -5.31 eV와 -3.34 eV이었다. 합성한 고분자와 (6)-1-(3-(methoxycarbonyl)-{5}-1-phenyl[5,6]-fullerene(PCBM)을 1:2의 중량비로 블랜딩하여 제작한 이종접합형태(bulk heterojunction)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PCD20TBT의 광전변환효율은 0.52%, PN40TBT의 광전변환효율은 0.60%이었다. 그리고 소자의 단락 전류밀도, 충진 인자와 개방전압은 PCD20TBT가 각각 $-1.97mA/cm^2$, 38.2%, 0.69 V이며, PN40TBT의 경우 각각 $-1.77mA/cm^2$, 42.9%, 0.79 V이었다.

CT 선량 측정 프로그램을 이용한 PET/CT 검사 환자의 예측 유효 선량의 분석 (Analysis of Patient Effective Dose in PET/CT; Using CT Dosimetry Programs)

  • 김정선;정우영;박승용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77-82
    • /
    • 2010
  • PET/CT 기기의 설치가 증가함에 따라 PET/CT 검사 시감쇄 보정을 위한 CT 검사 역시 증가하여 검사 과정에서 피폭 선량이 증가 되고 있어 의료 피폭의 저감 대책을 포함한 방사선 안전 관리의 체계적인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ET/CT 검사에서의 환자 선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환자 선량 저감을 위한 초석을 세우기 위해 CT 선량 측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T를 사용한 투과 스캔 시 환자가 받는 CT의 예측 유효 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BIO40, BIO16, DSTe8 에서 $^{18}F$-FDG PET/CT 검사를 시행한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기기 별로 남, 여 30명씩 선량의 평균을 분석하였다. 자동 노출 제어 시스템으로 선량 조절 시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환자의 체중 별로 50 kg미만, 50-60 kg 미만, 60 kg 이상 세 집단으로 나누어 선량의 평균을 분석하였다. CT-Expo v1.7과 ImPACT v1.0을 사용하여 선량 측정을 한 값을 비교 분석하고 체중과 유효 선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BIO40에서 검사한 환자의 유효 선량을 CT-Expo v1.7과 ImPACT v1.0을 사용하여 예측하였을 때, 남자 환자 30명은 각각 $6.46{\pm}1.18$ mSv, $6.54{\pm}1.21$ mSv, 여자 환자 30명은 각각 $6.29{\pm}0.97$ mSv, $5.87{\pm}1.09$ mSv 이었다. BIO16 에서 검사한 환자의 유효 선량은 남자 환자 30명은 각각 $9.36{\pm}1.96$ mSv, $8.36{\pm}1.69$ mSv 여자 환자 30명은 각각 $10.02{\pm}2.42$ mSv, $8.43{\pm}1.89$ mSv 이었다. DSTe8에서 검사한 환자의 유효 선량은 남자 환자 30명은 각각 $9.36{\pm}1.96$ mSv, $9.74{\pm}2.55$ mSv, 여자 환자 30명은 각각 $9.05{\pm}2.27$ mSv, $9.19{\pm}2.29$ mSv 이었다. 각 기기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체중에 따른 환자의 선량을 비교하기 위해, BIO40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50 kg 미만, 50~60 kg 미만, 60 kg 이상으로 체중별로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환자 선량을 측정하였다. CT-expo v1.7로 측정을 하였을 때 각각 $6.05{\pm}1.77$ mSv, $6.18{\pm}1.05$ mSv, $6.80{\pm}1.06$ mSv이었고 ImPACT v1.0으로 측정했을 때 각각 $5.06{\pm}1.46$ mSv, $5.72{\pm}0.86$ mSv, $6.42{\pm}0.96$ mSv이었다. BIO16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50 kg 미만, 50-60 kg 미만, 60 kg 이상으로 체중 별로 나누어 환자 선량을 측정하였다. CT-Expo v1.7로 측정을 하였을 때 각각 $7.74{\pm}0.66$ mSv, $8.58{\pm}0.93$ mSv, $10.88{\pm}1.32$ mSv이었고 ImPACT v1.0으로 측정했을 때 각각 $6.60{\pm}0.54$ mSv, $7.45{\pm}0.69$ mSv, $9.43{\pm}1.11$ mSv이었다. DSTe8에서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50 kg 미만, 50-60 kg 미만, 60kg 이상으로 체중 별로 나누어 환자 선량을 예측하였다. CT-Expo v1.7로 측정했을 때 각각 $5.03{\pm}0.95$ mSv, $8.25{\pm}1.66$ mSv, $10.33{\pm}1.68$ mSv 이었고 ImPACT v1.0으로 측정했을 때 각각 $5.20{\pm}1.01$ mSv, $8.51{\pm}1.53$ mSv, $10.9{\pm}1.87$ mSv이었다. 체중과 유효 선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CT-Expo v1.7과 ImPACT v1.0에서 Pearson 정률 상관계수가 각각 0.743, 0.692으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피폭 선량의 예측이 필요할 경우 이와 같은 상용화된 선량 평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Phantom 연구를 시행하지 않더라도 유효 선량의 예측 및 평가가 가능하고, CT 선량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pplication of Flory-Treszczanowicz-Benson model and Prigogine-Flory-Patterson theory to Excess Molar Volume of Binary Mixtures of Ethanol with Diisopropyl Ether, Cyclohexane and Alkanes (C6-C9)

  • Kashyap, Pinki;Rani, Manju;Tiwari, Dinesh Pratap;Park, So-Ji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2호
    • /
    • pp.257-265
    • /
    • 2020
  • Densities (ρ) for binary mixtures of ethanol (1) + diisopropyl ether (DIPE) or cyclohexane or alkane (C6-C9) (2) were measured at 298.15 K, 308.15 K and 318.15 K. The excess molar volume (VEm) of binary mixtures was calculated using ρ data and correlated with Redlich-Kister polynomial equation. The VEm values for binary mixtures of ethanol (1) + cyclohexane or n-alkane (C6-C9) (2) were positive, whereas for ethanol (1) + DIPE (2) these were negative. The magnitude of VEm values follows the order: cyclohexane > n-nonane > n-octane > n-heptane > n-hexane > DIPE. The VEm values have been interpreted qualitatively and also quantitatively in terms of Flory-Treszczanowicz-Benson (FTB) model and Prigogine-Flory-Patterson (PFP) theory. The values VEm predicted using FTB model agree well with experimental VEm values at all mole fractions. But the PFP theory describes well VEm data in ethanol-rich region (x1 > 0.5) for all binary mixtures and is able to predict the sign of VEm vs x1 curve for ethanol-lean region (x1 < 0.5) except for ethanol (1) + nonane (2) mixtures.

치과병원에 내원한 삼차신경통환자의 치험예 (34예 분석) (The Analysis of Dental Hospital Patients with Trigeminal Neuralgia)

  • 김인정;최종훈;김종열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2호
    • /
    • pp.235-240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among 34 patients who visited Yonsei Dental Hospital from 1996. 1. to 1999. 5 for trigeminal neuralgia. By studying the patient's treatment prior to visiting our hospital, features of trigeminal neuralgia, treatment process of trigeminal neuralgia, prognosis of treatment, consultation with other professions and involvement of surgery,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67.7% of onset age range from 40s to 60s, and average age is 50.2. 2. Ratio of right to left involvement is 1:2.1, male to female ratio is 1:1.9. 3. Occurrence rate of each branch is V3(44.1%), V2(11.8%), V1+V2+V3(11.8), V1+V2(8.8%). 4. Treatments prior to admission to our hospital are extraction(5.9%), endodontic treatment(5.9%), medication(11.8%), Oriental Medicine treatment(5.9%). 5. Routes of admittance to our hospital are by their preference(55.9%), local clinic referral(32.4%), E.N.T referral(5.9%), Neurology referral(5.9%). 6. 70.6% of patients treated at our hospital who were relieved of symptoms, were referred to Neurology(66.7%) and Pain Clinic(33.3%) for the reason of relapse, side effects of the drug itself, incomplete relief of pain. 7. 2 patients who were referred to medical part showed brain vessels contacting trigeminal nerve root on Brain MRangiography. But pain is being controlled by medication and no specific surgical procedure was carried out. The results show that 17.7% of patients admitted received inappropriate early treatment. In order to relieve tooth loss and patient's psychologic stress due to inappropriate treatment, precise differential diagnosis must be made among local teeth disease and idiopathic facial pain. Medication may show side effects of the drug itself, incomplete relief of pain or relapse of symptoms. Therefore, to treat trigeminal neuralgia appropriately by drug injection, surgery or radiation therapy, consultations among dentists, neurologists and anesthesiologists are required.

  • PDF

일간 빔 출력 확인을 위한 평가도구인 Machine Performance Check의 유용성 평가 (Assessment of the usefulness of the Machine Performance Check system that is an evaluation tools for the determination of daily beam output)

  • 이상현;안우상;이우석;최진혁;김선연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5-73
    • /
    • 2017
  • 목 적: Machine Performance Check (MPC)는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EPID)를 기반으로 빔 출력을 별도의 설치 없이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자체 검사 소프트웨어이다. 본원에서는 MPC와 QA Beamchecker PLUS 간의 일간 빔 출력을 비교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MPC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선형가속기(Truebeam 2.5)를 이용하였고, 광자선(6 MV, 10 MV, 15 MV, 6 MV-FFF, 10 MV-FFF), 전자선(6 MeV, 9 MeV, 12 MeV, 16 MeV, 20 MeV) 총 10개의 에너지를 대상으로 5 개월간 치료 전 빔 출력을 MPC와 QA Beamchecker PLUS로 측정하여, 총 80 회의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Pearson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MPC와 QA Beamchecker PLUS 간의 빔 출력을 비교 및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Pearson 상관계수는 0.8 이상은 아주 강함, 0.6 이상 0.8 미만 강함, 0.4 이상 0.6 미만 보통, 0.2 이상 0.4 미만 약함, 0.2 미만 아주 약함을 의미한다. 결 과: MPC와 QA Beamchecker PLUS 모두 일간 빔 출력 일치도는 2 % 이내로 나타났다. MPC의 빔 출력은 광자선이 $0.29{\pm}0.26%$, 전자선이 $0.30{\pm}0.26%$로 나타났고, QA Beamchecker PLUS의 빔 출력은 광자선이 $0.31{\pm}0.24%$, 전자선이 $0.33{\pm}0.24%$로 나타났다. MPC와 QA Beamchecker PLUS 사이의 Pearson 상관계수는 광자선의 경우 15 MV에서는 아주강함, 6 MV, 10 MV, 6 MV-FFF 그리고 10 MV-FFF에서는 강함으로 나타났고, 전자선의 경우 16 MeV, 20 MeV에서 강함, 9 MeV, 12 MeV에서 보통, 6 MeV에서 아주 약함으로 나타났다. 결 론: MPC는 일간 빔 출력 평가 면에서 광자선과 고에너지 전자선에서는 QA Beamchecker PLUS와 강한 상관관계로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저에너지 전자선(6 MeV)에서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관찰기간동안 MPC, QA Beamchecker PLUS 모두 빔 출력 일치도는 2 % 이내로 일간 빔 출력 확인 용도로는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MPC는 기존의 일간 빔 출력 측정 도구 보다 빠르게 수행 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ynthesis and Structures of $(NH_4)_{10}[Ni(H_2O)_5]_4[V_2P_2BO_{12}]_6{\cdot}nH_2O$ and $(NH_4)_{3.5}(C_3H_{12}N_2)_{3.5}[Ni(H_2O)_6]_{1.25}{[Ni(H_2O)_5]_2[V_2P_2BO_{12}]_6{\cdot}nH_2O$

  • Yun, Ho-Seop;Do, Jung-Hwan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39
    • /
    • 2004
  • Two new nickel vanadium borophosphate cluster compounds, $(NH_4)_{10}[Ni(H_2O)_5]_4[V_2P_2BO_{12}]_6{\cdot}nH_2O$ (1) and $(NH_4)_{3.5}(C_3H_{12}N_2)_{3.5}[Ni(H_2O)_6]_{1.25}{[Ni(H_2O)_5]_2[V_2P_2BO_{12}]_6{\cdot}nH_2O$ (2) have been synthesized and structurally characterized. Inter-diffusion methods were employed to prepare the compounds. The cluster anion $[(NH_4)\;{\supset}\;V_2P_2BO_{12}]_6$ is used as a building unit in the synthesis of new compounds containing $Ni(H_2O){^{2+}_5}$ in the presence of pyrazine and 1,3-diaminopropane. Compounds contain isolated cluster anions with general composition ${[Ni(H_2O)_5]_n[(NH_4)\;{\supset}\;V_2P_2BO_{12}]_6}^{-(17-2n)}$ (n = 2, 4). Crystal data: $(NH_4)_{10}[Ni(H_2O)_5]_4[V_2P_2BO_{12}]_6{\cdot}nH_2O$, monoclinic, space group C2/m (no. 12), a = 27.538(2) ${\AA}$, b = 20.366(2) ${\AA}$, c = 11.9614(9) ${\AA}$, ${\beta}$ = 112.131(1)$^{\circ}$, Z = 8; $(NH_4)_{3.5}(C_3H_{12}N_2)_b[Ni(H_2O)_6]_{3.5}{[Ni(H_2O)_5]_2[V_2P_2BO_{12}]_6{\cdot}nH_2O$, triclinic, space group P-1 (no. 2), a = 17.7668(9) ${\AA}$, b = 17.881(1) ${\AA}$, c = 20.668(1) ${\AA}$, ${\alpha}$ = 86.729(1)$^{\circ}$, ${\beta}$ \ 65.77(1)$^{\circ}$, ${\gamma}$ = 80.388(1)$^{\circ}$, Z = 2.

Synthesis and Effect on t-Butyl PBD of the Blue Light Emitting Poly(phenyl-9,9-dioctyl-9',9'-dihexanenitrile) fluorene

  • Kim Byong-Su;Kim Chung-Gi;Oh Jea-Jin;Kim Min-Sook;Kim Gi-Won;Park Dong-Kyu;Woo Hyung-Suk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343-347
    • /
    • 2006
  • A novel, blue light-emitting polymer, poly(phenyl-9,9-dioctyl-9',9'dihexanenitrile)fluorene (PPFC6N), containing an alkyl and cyano group in the side chain, was synthesized by Suzuki polymerization and characterized. The polymer structure was confirmed by $^1H-NMR$.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obtained polymer were 9,725 and 9,943 respectively. The resulting polymer was thermally stable with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_g$) of $93^{\circ}C$, and was easily soluble in common organic solvents such as THF, toluene, chlorobenzene and chloroform. The HOMO and LUMO energy levels of the polymer were revealed as 5.8 and 2.88 eV by cyclic voltammetry study, respectively. The ITO/PEDOT:PSS (40 nm)/PPFC6N (80 m)/LiF (1 nm)/Al (150 nm) device fabricated from the polymer emitted a PL spectrum at 450 nm and showed a real blue emission for pure PPFC6N in the EL spectrum. When t-butyl PBD was introduced as a hole blocking layer, the device performance was largely improved and the EL spectrum was slightly shifted toward deep blue. The device with PPFC6N containing t-butyl PBD layer showed the maximum luminance of 3,200 $cd/m^2$ at 9.5 V with a turnon voltage of 7 V.

1선 지락사고에 대한 배전급 저항형 초전도 한류기의 전류제한특성 (Current Limiting Characteristics of a Resistive SFCL for a Single-line-to-ground Fault in the 22.9 kV System)

  • 최효상;황시돌;현옥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505-510
    • /
    • 2001
  • We simulated the current limiting characteristics of a resistive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SFCL) for a single line-to-ground fault in the 22.9 kV system. The transient current during the fault increased to 6.33 kA, 5.80 kA and 3.71 kA without SFCL at the fault angles 0$^{\circ}$, 45$^{\circ}$ and 90$^{\circ}$, respectively, a resistive SFCL limited effectively the fault current to 2.27 kA in a half cycle without any DC components. The maximum quench resistance of an SFCL, 16Ω was suggested to be appropriate to limit the fault current in the 22.9 kV distribution system, considering the operating cooperation of a protective relay and the current limiting performance of an SFCL.

  • PDF

해산물식품 중 식중독원인균의 오염패턴 및 저감화 방안 (Isolation of Major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from Ready-to-Eat Seafoods and Its Reduction Strategy)

  • 김순한;신영민;이명자;신필기;김미경;조정숙;이창희;이영자;채갑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41-947
    • /
    • 2005
  • 부산 및 경남일대에서 널리 유통되고 있는 생선회, 패류 등의 횟감류 213건을 대상으로 주요 식중독 원인균인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57:H7,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및 Campylobacter jejuni의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V. parahaermolyticus가 65건(30.5%), B. cerus가 21건(9.9%), S. aureus가 8건(3.8%) 및 기타 식중독균이 3건에서 검출되었다. 이를 월별 검출율로 비교해 보면, 7~10월에서 식중독균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높은 검출율은 주로 V. parahaemolyticus에 기인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생선회에서의 검출율(28.9%) 보다는 패류 등의 기타 횟감류에서 더욱 높은 검출율(49.2%)을 나타내었다. V. parahaemolyticus의 경우 Ampicillin (96.9%), Amikacin (29.2%) 및 Tetracycline (27.7%)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B. rereus의 경우는 Ampicillin (100%), Penicillin G (100%) 및 Rifampicin (71.4%)에 대해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V. parahaemolyticus와 B. cereus의 생육은 보관온도 및 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돗물 세척이 해산물에 잔존하는 V. parahaemolyticus의 균수를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어, 여름철 해산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 발생의 예방을 위해서 $10^{\circ}C$이하의 저온보관과 수돗물로써의 철저한 세척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