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S rRNA

검색결과 1,080건 처리시간 0.031초

용균성 야생 점액세균의 분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lytic Wild Myxobacteria)

  • 박수연;이봉수;김지훈;이차율;장은혜;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8-223
    • /
    • 2004
  • 용균성 야생 점액세균 204균주를 국내 토양으로부터 순수분리하였고, 분리균주의 16S rRNA 부분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Ribosomal Database Project(RDP) II를 이용하여 분리균주 각각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전체 분리균주의 65%를 차지하는 132 균주들이 Myxococcus 속에 속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29%를 차지하는 59 균주들이 Corallococcus 속, 4 균주가 Archangium 속, 그리고 4 균주가 Stigmatella 속에 속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5 균주는 알려진 균주와의 유연관계가 멀어 분류가 확실하지 않았다. 한편, 16S rRNA염기서열의 비교분석은 분리균주의 50%가 16S rRNA부분 염기서열상에 적어도 한 염기 이상의 차이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동일한 염기서열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된 균주에서도 서로 다른 집락모서리를 형성하는 등 다른 균주로 판명되는 것으로 보아 전체 분리균주는 다양성이 81% 이상인 다양한 균주들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생물정보를 이용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에서 새로운 Small RNA를 예측하는 방법 (Searching Method for New Small RNA in Bacillus subtilis Using Bioinformation)

  • 이상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47-53
    • /
    • 2007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유전체에서 여러 환경의 적응에 이용할 것으로 보이는 새로운 small RNA를 찾는 시도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유전체를 검색하였다. 첫째로 유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DNA 서열을 대상으로 전사인자들인 PerR, OhrR, Fur, Zur의 인식서열을 조사하였고, 둘째로 인자 비의존성 전사종결 부위를 조사하였다. 이들 조사에서 전사인자의 위치와 전사종결부위가 300 bp 내외에서 가까이 존재하는 후보 DNA 서열을 대상으로 전사인자 부위에서 전사촉진자의 서열이 발견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 결과 PerR 5개, Fur 2개, OhrR, Zur에서 각각 1개의 새로운 small RNA로 추정되는 부위가 발견되었다.

  • PDF

Hygromycin내성 Tetrahymena thermophila의 17S-Ribosomal RNA유전자의 Cloning (Cloning of 17S-Ribosomal RNA Gene from the Hygromycin Resistant Tetrahymena thermophila)

  • 홍용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3-137
    • /
    • 1986
  • 원생동물인 Tetrahymena thermophila의 17S-rDNA구조 및 hygromycin 내성 기구에 대한 연구의 일부로서 hygromycin 내성변이주 hmr3의 17S-rDNA를 대장균의 vector pBR 322에 cloning하였다. 우선 rDNA는 hot phenol-cresol 용액으로 추출하여 제한효소 Hind III 처리로서 약 2.2kbp의 17S-rDNA를 agarose 전기영동상에서 분리하였다. 이를 pBR 322에 cloning하여 wild type의 17S-rDNA probe와 colony hybridization시켜 선별하였다. 그중 5-19 균주의 recombinant plasmid로부터 17S-rDNA 의 전사 orientation위치가 pBR322의 tetracyline내성 유전자 쪽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Xanthomonas celebensis 5S rRNA의 몇 가지 삼차상호작용 (Some Tertiary Interactions in 5S rRNA from Xanthomonas celebensis)

  • 조봉래;이영훈;최명언;박인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37-243
    • /
    • 1993
  • Xanthomonas celebensis 5S rRNA를 분리 정제하여 효소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으로 그 일차구조 및 이차구조를 결정하였다. 이 5S rRNA는 119개의 누클레오티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변형된 누클레오시드를 함유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이 5S rRNA는 X. maltophilia 및 X. citri의 것처럼 5'-말단에 가외의 우리딘잔기를 하나 더 가지고 있다. 결정한 X. celebensis 5S rRNA의 이차구조는 본 연구진이 이미 결정한 두가지 Xanthomonas 종들의 것들과 매우 유사하며, 5개의 이중나선 줄기와 5개의 단일가닥 고리 그리고 2개의 내밀린 구조를 가지고 있다. X.celebensis 5S rRNA 분자 내의 삼차상호작용은 테옥시헥사머를 이용한 혼성체화법과 Fe(II)-EDTA를 사용하여 5S rRNA를 쪼개는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5S rRNA 상의 $U_{35}CCCAU_{40}$부분을 상보성을 가진 데옥시헥사머를 혼성체화한 다음에 고리 M, 구역 $I_1-C$, 고리 $H_2$에 있는 약간의 아데노신 잔기들이 피로탄산 이에틸에 대한 감수성을 가지게 되는 사실과, $Mg^{2+}$이 있는 조건에서 고리 M, 고리 $H_1$, 및 구역 $D-I_2에$ 있는 약간의 누클레오티드 잔기들이 Fe(II)-EDTA의 분열작용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사실에서 고리 $H_1과$ 고리 $H_2$가 어떤 방법으로든 고리 M과 삼차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이 삼차작용에서 구역 $I_1-C$와 구역 $D-I_2$ 돌쩌귀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리 $H_1$은 산성 조건(pH 5.5)에서 비표준형 염기쌍 A:C 들을 형성함으로써 3개의 염기로 이루어지는 고리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았다.

  • PDF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의 16S rRNA 염기서열과 이차구조 (Nucleotide Sequence and Secondary Structure of 16S rRNA from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

  • 이관영;권해룡;이원호;김영창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5-128
    • /
    • 2005
  • S. chungbukensis DJ77로부터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식하였다. 염기서열은 총 1,502 bp로 2000 년에 등록된 부분 서열(1,435 bp)보다 5' 방향과 3' 방향으로 29 bp와 37 bp 길이만큼 각각 확장하였으며, 1 bp가 추가로 삽입되었다. E. coli의 16S rRNA유전자를 모델로 이차구조를 제작하였으며, 네 부위가 특이적임을 발견하였다. Sphnigomonas spp.의 16S rRNA 서열과 S. chungbukensis DJ77의 다중서열검색 결과, Sphingomonas종에서만 나타나는 보존부위와 가변부위를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Campylobacter jejuni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진 긴 stem loop구조가 서열은 조금 다르지만 구조적 일치를 보이는 유사한 구조를 S. chungbukensis DJ77에서도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다중서열검색을 통해 제작한 계통수와 nucleotide signatures분석에 근거하여 S. chugukensis DJ77을 cluster II (Sphingobium)로 분류하였다.

5S rRNA Sequence of Trimorphomyces papilionaceus

  • Her, Yong;Kang, Young-Won;Park, Yong-Ha;Jung, Hack-Sung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79-482
    • /
    • 1992
  • The sequence of the cytoplasmic 5S-rRNA from Trimorphomyces papilionaceus, a basidiomycetous yeast, was determined by the direct chemical method for sequencing RNA and compared to known 5S rRNA sequences of 19 basidiomycetous fuungi. There were 26 nucleotide differences between T. papilionaceus and Tremella mesenterica both of which belong to the Tremellaceae of the Tremellales. Based on Knuc values, the closest fungus was Tilletiaria anomala, another basidiomycetous yeast which belong to the Sporbolomycetaceae of the Sporobolomycetales. T. papilionaceu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 other fungi.

  • PDF

Induction of Microsomal Epoxide Hydrolase, rGSTA2, rGSTA3/5, and rGSTM1 by Disulfiram, but not by Diethyldithiocarbamate, a Reduced Form of Disulfiram

  • Kim, Sang-Geon;Kim, Hye-J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339-347
    • /
    • 1997
  • Disulfiram (DSF) and diethyldithiocarbamate (DDC), a reduced form of DSF, protect the liver against toxicant-induced injury through inhibition of cytochrome P450 2E1. The effect of DSF and DDC on the levels of major hepatic microsomal epoxide hydrolase (mEH)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expression was comparatively studied, given the view that these enzymes are involved in terminal detoxification events for high energy intermediates of xenobiotics. Treatment of rats with a single dose of DSF (20-200 mg/kg, po) resulted in 2- to 15-fold increases in the mEH mRNA level at 24 hr with the ED$_{50}$ value being noted as 60 mg/kg. The mEH mRNA level was elevated ~15-fold at 24 hr after treatment at the dose of 100 mg/kg, whereas the hepatic mRNA level was rather decreased from the maximum at the dose of 200 mg/kg, indicating that DSF might cause cytotoxicity at the dose. In contrast to the effect of DSF, DDC only minimally elevated the mEH mRNA level at the doses employed. DSF moderately increased the major GST mRNA levels in the liver as a function of dose, resulting in rGSTA2, rGSTA3/5 or rGSTM1 mRNA levels being elevated 3- to 4-fold at 24 hr post-treatment, whereas the rGSTM2 mRNA level was not altered. DDC, however, failed to stimulate the mRNA levels for major GST subunits, indicating that the reduced form of DSF was ineffective in stimulating the GST the expression. The effect of other organosulfides including aldrithiol, 2, 2'-dithiobis(benzothiazole) (DTB), tetramethylthiouram disulfide (TMTD) and allyl disulfide (ADS) on the hepatic mEH and GST mRNA expression was assessed in rats in order to further confirm the increase in the gene expression by other disulfides. Treatment of rats with aldrithiol (100 mg/kg, po) resulted in a 16-fold increase in the mEH mRNA level at 24 hr post-treatment. DTB, TMTD and ADS also caused 5-, 9- and 12-fold increases in the rnRNA level, respectively, as compared to control. Thus, all of the disulfides examined were active in stimulating the mEH gene in the liver. The organosulfid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GSTA2, rGSTA3, rGSTA5 and rGSTM1 mRNA levels at 24 hr after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aldrithiol was very efficient in stimulating the rGSTA and rGSTM genes among the disulfides examined.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DSF and other sulfides effectively stimulate the mEH and major GST gene expression at early times in the liver and that DDC, a reduced form of DSF, was ineffective in stimulating the expression of the genes, supporting the conclusion that reduced form(s) of organosulfur compound(s) might be less effective in inducing the mEH and GST genes through the antioxidant responsive element(s).

  • PDF

쪽의 핵형분석과 rRNA 유전자의 염색체상 위치 (Karyotypic Analysis and Physical Mapping of rRNA Gene Loci in Persicaria tinctoria)

  • 최혜운;이상훈;김수영;방재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5-198
    • /
    • 2008
  • Karyotypic analysis and FISH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with 45S and 5S rRNA genes were carried out in Persicaria tinctoria H Gross. The somatic metaphase chromosomes were ranged from 2.25 ${\mu}m$ to 1.50 ${\mu}m$ in length. Chromosome number was 2n = 4x = 40 with the basic number of x = 10. The chromosome complement of the species consisted of 16 pairs of metacentrics (chromososomes 1,2,3,4,6,7,8,9, 10, 11, 12, 13, 15, 18, 19 and 20) and 4 pairs of submetacentrics (chromosome 5, 14, 16 and 17). The karyotype formula was K(2n) = 4x = 32 m + 8 sm. In FISH analysis, three pairs of 45S rRNA gene loci on the terminal region of submetacentrics (chromosomes 5, 16 and 17) and two pairs of 5S rRNA gene loci on the centromeric region of metacentrics (chromosomes 9 and 11) were detected, respectively.

진딧물의 전 ribosomal RNA 염기배열 (Nucleotide Sequences of an Aphid ribosomal RNA Unit)

  • 권태영;안승락;송철;박종균;김영섭;황재삼;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2-39
    • /
    • 1998
  • 진딧물이 하나의 ribosomal RNA 유전자(rDNA)단위는 총 길이가 13,061bp이며 총 G/C비율은 59%이다.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각 영역의 길이와 G/C비율은 다음과 같다. 5’ETS는 G/C비율이 69%이고 843bp이다 . 18S rRNA 는 2,469bp이며 G/C비율은 59%이다. ITS I길이는 229bp이며 70%의 G/C비율이다. 5.8S rRNA는 160bp이며 63%의 G/C비율이다. ITS II는 325bp이며 70%dml G/C비율이다. 28S rRNA는 4, 147bp이고 60%의 G/C비율이다. IGS는 4,888bp로 55%의 G/C비율이다.

  • PDF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of Ribosomal DNA in the Genus Rhizopus

  • Park, You-Jung;Min, Byung-Re
    • Mycobiology
    • /
    • 제33권2호
    • /
    • pp.109-112
    • /
    • 2005
  •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including the 3'-end of 18S rRNA gene, 5.8S rRNA gene and the 5'-end of the 28S rRNA gene of Rhizopus spp. were amplified by PCR and analyzed by DNASIS program. Length polymorphism of these region ranged from 564 bp in R. oryzae to 789bp in R. stolonifer. The length and sequence of 5.8S was very conserved with $154{\sim}155\;bp$. The sequence of ITS2 was more variable than that of ITS1. The base substitution rates were ranged from 0 to 0.6069 per site, and higher rate was found in R. stolonifer. In general, transition was usually more frequent than transversion. On the basis of sequencing results, four groups were clustered with value of 61.9% similarity; R. oryzae, R. micros pores, R. homothallicus, and R. stolonifer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