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G 표준화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1초

소청룡탕이 LPS로 유도된 폐손상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heongryong-Tang on LPS-induced lung inflammation rats model)

  • 진보람;최인영;황도영;함성호;안효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21-28
    • /
    • 2019
  • Objectives : In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a therapeutic effect and optimum dose of Socheongryong-Tang (SCT) on LPS-induced lung inflammation rats model. Methods : Male Sprague-Dawley rats ($260{\pm}10g$) were divided into 12 groups : Group 1 included the normal rats, and Group 2-12 were administrated LPS by intranasal injection to induce experimental lung inflammation. After 1 day of LPS administration, Group 3-9 were treated with SCT ${\times}1/4$, ${\times}1/2$, ${\times}1$, ${\times}3$, ${\times}6$, ${\times}12$ or ${\times}18$, respectively. Group 10-12 (positive control) were treated with dexamethasone 1 mg/kg or acetylcystein 1.5 mg/kg or diclofenac sodium 0.4 mg/kg, respectively. After sacrific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was isolated. The levels of IL-$1{\beta}$, TNF-${\alpha}$, mucin glycoprotein 5AC (MUG5AC) were measured in BALF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sults : LPS injected rats exhibited outstanding lung inflammation manifestations, including increased amount of total cells and neutrophil, and upregulated inflammatory cytokines level in BALF. However, the administration of SCT ${\times}1/4$, ${\times}1/2$ and ${\times}1$ decreased total cells and neutrophil, and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L-1{\beta}$ and TNF-${\alpha}$, and MUG5AC in BALF. Notably, inhibitory effect of SCT ${\times}1/2$ and ${\times}1$ on the level of TNF-${\alpha}$ was markedly better than that of positive controls, dexamethasone and acetylcystein.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T ${\times}1/2$ and ${\times}1$ has therapeutic effects on LPS-induced lung inflammation rats model.

한국음식의 조리법 표준화를 위한 연구(III) -비빔밥류- (Standardization of the Preparation Methods of Korean Foods (III) - For the focus on Pibimbab (Mixed Rice) -)

  • 계승희;문현경;염초애;송태희;이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57-564
    • /
    • 1995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tandardize preparation methods of Korean foods; Pibimbab (mixed rice) and Kongnamul Pibimbab (sprout mixed rice with soybean). We followed cooking method by using cookbooks, food service operation recipes , materials distributed by commercial food restaurants from their own experimental kitchens, and home recipes. Before those recipes were standardized, we thoroughly analyzed and modified. The total yield and portions were determined together with weights and procedures. And we evaluated food made by standardized recipes for acceptability by taste panels from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t concluded that yield volume for Pibimbab and Kongnamul Pibimbab after cooking for 10 persons was 6.5 kg, optimum service temperature was 7$0^{\circ}C$, preparation time was 6 hours, service volumes by one person was 650 g. This presentation for above on food materials and material weights, preparation methodsas well as cautions and references are attached in this research paper.

  • PDF

ARM926EJ-S 프로세서 코어를 이용한 G.729.1의 실시간 구현 (Real-Time Implementation of the G.729.1 Using ARM926EJ-S Processor Core)

  • 소운섭;김대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8C호
    • /
    • pp.575-58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ITU-T의 SG15에서 채택된 G.729.1 광대역 음성 코덱을 ARM926EJ-S(R) 프로세서 코어에 적용하기 위해 기본연산자 및 산술기능 함수를 포함한 G.729.1 코덱 프로그램 일부를 어셈블리어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동작하도록 구현한 절차 및 결과를 기술하였다. G.729.1은 $8{\sim}32kbps$의 가변 전송률을 갖는 ITU-T 표준 광대역 음성 코덱이며, 입력신호는 8kHz 또는 16 kHz로 샘플링 되어 샘플 당 16 비트로 양자화된 PCM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코덱은 앞서 표준화된 G.729 및 0.729A와 상호 호환이 가능하며 음질 향상을 위해 기존의 협대역($300{\sim}3,400Hz$)에 비해 대역폭을 광대역($50{\sim}7,000Hz$)으로 확장한 버전이다. 실시간으로 구현된 G.729.1 광대역 음성 코덱은 32kbps에서 인코더와 디코더 부분이 각각 약 31.2 MCPS 및 22.8 MCPS의 복잡도를 가지며, 실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실행 시간은 인코더와 디코더 평균 6.75ms와 4.76ms로 총 11.5ms가 걸렸다. 또한 이 코덱은 ITU-T에서 제공하는 모든 테스트 벡터에 대해 비트 단위로 정확하게 시험하여 통과하였으며, 실제 인터넷 전화기에 적용한 실시간 음성통화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

농가자가제조 유기농액비의 미생물학적 특성 구명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rm-made organic liquid fertilizers)

  • 안난희;서장선;유재홍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309-309
    • /
    • 2009
  • 국내외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농업환경보전 및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커지면서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이지고 있다. 친환경농업은 화학비료와 농약의 사용을 양분종합관리 및 병해충종합관리등을 통해 저투입하는 농법과 화학비료와 농약의 대체 농자재를 사용하는 유기농법으로 나누어져 있다. 대체 농자재는 목초액, 키토산 등 시판되는 자재를 비롯하여 천혜녹즙, 한방영양제, 아미노산액비 등과 같이 농가를 중심으로 자가 제조되어 활용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대부분 효능이 제대로 검증되지 않고 임의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농가 자가제조 유기농액비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구명하여 유기농 액비의 농업적 활용 제고를 위한 표준화를 확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농가자가 제조 유기농액비는 성환과 제주에서 5점을 수집하여 액비의 화학성과 미생물상을 비교하였다. 액비 제조시 종균으로 사용되고 있는 부엽토를 5지역에서 채취하여 세균군집의 차이를 보기위해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를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수집된 액비의 화학성 분석결과, pH는 3.3~4.3로 강한 산성을 나타났으며 EC는 $32.8dS{\cdot}m^{-1}{\sim}552.33dS{\cdot}m^{-1}$ 이었다. 수집된 액비내 미생물상을 조사한 결과, 세균과 방선균은 존재하였지만 사상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성환에서 수집된 액비로부터 세균을 분리하여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Bacillus속으로 95%이상의 높은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액비 발효 시 종균으로 사용되고 있는 부엽토의 미생물상을 조사한 결과, 지역에 따라 세균은 0.8~$110{\times}10^5cfu{\cdot}g^{-1}$, 방선균은 1.0~$10.9{\times}10^4cfu{\cdot}g^{-1}$, 그리고 사상균은 2.6~$64{\times}10^3cfu{\cdot}g^{-1}$의 균수를 보였다. 부엽토간의 세균군집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DGGE를 수행한 결과, gel 상에서 다양한 위치의 밴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부엽토별로 공통적 및 특이적 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재배지역별 감초의 Glycyrrhizic Acid 함량 분석과 항당뇨 효능 평가 (Determination of Glycyrrhizic Acid Content and Anti-Diabetic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Depending on Cultivation Region)

  • 장다은;송진;황인국;이상훈;최정숙;황경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9-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생산지역별 감초의 물질 표준화를 위해 주요지표성분 중 glycyrrhizic acid를 지표물질로 선정하고 정량분석을 위해 분석법 검증을 수행하였다. 감초의 glycyrrhizic acid의 분석법 검증은 특이성, 직선성, 검출 및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을 구하여 확립하였다. 확립된 분석 방법으로 시험한 국내외 생산지역별 감초의 glycyrrhizic acid 정량 분석 결과 국내산 중에서는 제천산이, 수입산 중에서는 우즈베키스탄산이 각각 16.98, 54.22 mg/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현대인의 심각한 대사질환 중 하나인 당뇨병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천연물 소재를 발굴하고 항당뇨 효과 검증을 위해 생산지역별 감초 에탄올 추출물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및 glucose uptake 활성을 평가하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국내외 5종 중 제천, 곡성지역의 감초에서 무처리군 대비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고, 우즈베키스탄산은 유의적인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Glucose uptake 활성의 경우 인슐린 처리를 한 대조군 대비 제천, 영주, 우즈베키스탄 지역의 감초에서 각각 24.19, 27.18, 26.92%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지표성분 분석, 분석법 검증 결과 및 생리활성 평가는 생산지역별 감초의 물질 표준화 및 품질 평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큰 의미가 있으며, 감초가 대사질환인 당뇨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생약식품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및 glucose uptake 활성 평가뿐만 아니라 감초에 함유된 많은 물질연구를 통해 알려지지 않은 활성에 관한 계속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고창 복분자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으로서 Ellagic Acid의 분석법 개발 (Method Development of Ellagic Acid as Marker Compound for Standardization of Gochang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as Functional Ingredient)

  • 김윤정;한송희;전지영;황민호;임용진;채수완;김민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54-1558
    • /
    • 2012
  • 고창 복분자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개발하기 위하여 지표성분 표준화를 위한 ellagic acid의 분석법 설정과 분석법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실시하였다. 1% formic acid가 첨가된 water와 acetonitrile을 이동상으로 하고 Symmetry$^{(R)}$ (C18, $4.6{\times}250mm$, $5.0{\mu}m$) 칼럼을 사용하여 기울기용리(gradient elut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법을 확립하고 분석법에 대하여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과 정밀성 그리고 회수율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Ellagic acid의 검량선은 $R^2=0.9996$으로 좋은 선형성을 보였으며 LLOQ와 LOD는 각각 $1{\mu}g/mL$$0.3{\mu}g/mL$였다. 일내와 일간 분석에서 상대표준편차(RSD)는 각각 2.28%와 2.84%미만으로 나왔다. 회수율 측정결과에서는 89.17~97.92%로 나왔고, RSD는 0.05~0.14%였다. 그러므로 HPLC를 이용한 ellagic acid의 분석법이 고창 복분자 추출물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분석을 위한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본 시험법에 따라 분석한 고창 미숙과 복분자 추출물 내의 ellagic acid의 함량은 세 lot를 3번씩 분석하였을 때 약 $1.92{\mu}g/mg$(0.192%)이 나왔으며 RSD값은 2.36% 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ellagic acid의 분석법이 고창 복분자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본다.

아쿠아포닉스 기술을 이용한 친환경 항노화 제품 개발 (Development of Sustainable Anti-aging Products Using Aquaponics Technology)

  • 김유아;전태병;장욱주;박병준;강학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07-31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식물로부터 지속가능한 천연 항노화 화장품 신소재 개발을 위해 수생식물인 어리연꽃의 친환경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적용 가능성 및 항노화 효능을 검증하였다. 어리연꽃은 아쿠아포닉스 시스템내에서 부엽형태의 담액식 방식에서 성장 가능하고, 근경번식을 통해 증식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어리연꽃의 재배에 질산염, 칼륨 및 수온이 크게 영향을 미치며, 최적 조건은 각각 $80{\mu}g/mL$, $63.5{\mu}g/mL$$25^{\circ}C$로 확인되었다. 특히 주성분 2종(3,7-di-O-methylquercetin-4'-O-${\beta}$-glucoside 및 sweroside)이 약 $5{\mu}g/mL$ 이상 함께 존재 시 시너지 유효성이 있었다. 어리연꽃 추출물은 환경 유해물질 $benzo[{\alpha}]pyrene$, ammonium nitrate, formaldehyde에 의해 손상된 피부 세포의 회복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 염증성 조절 인자인 $PGE_2$, $TNF-{\alpha}$ 및 COX-2를 억제하고,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염 및 항노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아쿠아포닉스 기술 기반 어리연꽃 추출물의 원료 표준화는 화장품 분야에서 신규 항노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풋마늘 분말의 일반성분 및 풋마늘 첨가 식빵의 미생물학적 특성 (Proximate Compositions of Green Garlic Powder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Bread with Green Garlic)

  • 이미경;박정숙;나환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5-100
    • /
    • 2005
  • 풋마늘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고 합리적인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풋마늘의 영양성분을 조사하였고, 풋마늘 분말을 첨가한 빵을 제조하여 관능검사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풋마늘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6.99\%$, 조단백질 $7.62\%$, 조지방은 $1.84\%$, 회분 $6.60\%$, 탄수화물이 $76.95\%$였고,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와 sucrose가 확인되었다. 무기성분은 K이 1,140 mg/10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Ca, P, Na의 함량이 높았다. 총아미노산과 유리 아미노산은 methionine, cystine, proline과 glutamic acid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풋마늘 분말을 0.5, $1.0\%$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세균 성장이 대조구 보다 약 1일 정도 느렸으며, 관능검사 결과 $0.5\%$ 정도까지 풋마늘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텍스쳐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 풋마늘 분말을 빵에 $0.5\%$정도까지 첨가함에 따라 빵의 기능성은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의 shelf-life 연장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본 실험에서는 동결건조한 풋마늘을 빵에 다양한 수준으로 첨가하여 풋마늘 첨가빵의 개발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빵의 제조시 제조방법을 개선하고 표준화하여 우수한 품질의 풋마늘 첨가빵 개발한다면 풋마늘의 이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기능성을 고려한 제품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고문헌을 바탕으로 한 건시죽(乾粥)의 개발과 표준화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Dried Persimmons Gruel on Books)

  • 조미숙;이은영;김잔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5-120
    • /
    • 2008
  • The dried persimmon was effective in caring an inflammation, an ulcer and a burn and preventing hypertension and arteriosclerosis. At the Jejungsinpyun. dried persimmons gruel was beneficial to stomach and intestine and toned down voice. Based on Jejungsinpyuns and Sikryochanyo, dried persimmons gruel was developed for modern people. To standardize the dried persimmons gruel, physical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was examined. The procedures of dried persimmons gruel was to make dried persimmons juice after soaking dried persimmons with same volume water during 24 hr and blending. To decrease the astringent taste of dried persimmons, dried persimmons juice and water with cinnamon (2%) was mixed and simmered during 3 min. Dried persimmons paste with cinnamon was added and the gruel was boiled more during 5 min. dried persimmons gruel was completed. The dried persimmons gruel were divided of 5 groups consisted of each 10, 15, 20, 25, 30 g dried persimmons. As dried persimmons content increased, lightness, apparent viscosity decreased. Acceptability test indicated the sample of dried persimmons : rice ratio at 2 : 5 ha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and flavor. Considered to each, the sample of the dried persimmons : rice ratio at 2 : 5 met the purpose of the study.

배암차즈기 추출물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으로서 Hispidulin의 분석법 평가 (Analytical Method for the Validation of Hispidulin as a Marker Compound for the Standardization of Salvia plebeia R. Br. Extracts as a Functional Ingredient)

  • 전윤정;곽호영;최종길;이제혁;최수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1-276
    • /
    • 2016
  • Background: In the present study, we established an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analysi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as a part of the material standard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functional foods from Salvia plebeia R. Br. extract. Methods and Results: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method of hispidulin as a marker compound was optimized by HPLC analysis using a YMC hydrosphere C18 column with a gradient elution system. This method was validated using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ests. It showed a high linearity in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f 0.999995. The method was fully validated, and was sensitive, with the limit of detection (LOD) at $0.09{\mu}g{\cdot}m{\ell}^{-1}$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at $0.27{\mu}g{\cdot}m{\ell}^{-1}$.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of the data from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0.05 - 0.22% and 0.32 - 0.42%, respectively, and the intra- and inter-day accuracy of hispidulin were 99.5 - 102.3% and 98.8 - 101.5%, respectively. The average content of hispidulin in Salvia plebeia R. Br. extract was $3.945mg{\cdot}g^{-1}$ (0.39%).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HPLC method is very efficient, and that it could contribute to the quality control of Salvia plebeia R. Br. extracts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health functional 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