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Metho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llagic acid for the standardization of Gochang Bokbunja as a functional ingredient and health food were accomplished. A Symmetry$^{(R)}$ (C18, $4.6{\times}250mm$, $5.0{\mu}m$) column was used with a gradient elution system of 1% formic acid in water and acetonitrile. This method was validated according to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test, and recovery test. Specificity was confirmed with identical retention time, and calibration curves of ellagic acid showed good linear regression ($R^2$ >0.9996).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 of data from the intra- and inter-day experiments were less than 2.28% and 2.84%, except in the low limit of quality control (LLOQ, $1{\mu}g/mL$) sample. The results of the recovery test were from 89.17% to 97.92% with RSD values from 0.05 to 0.14%. Therefore, we performed analysis of ellagic acid as a marker compound in Gochang Bokbunja extracts. The amount of ellagic acid in Gochang Bukbunja was about $1.918{\mu}g/mg$ (0.192%) in the three times analysis, and RSD was less than 2.36% by the validated meth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HPLC method is simple, efficient, and could contribute to the quality control of Gochang Bokbunja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
고창 복분자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개발하기 위하여 지표성분 표준화를 위한 ellagic acid의 분석법 설정과 분석법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실시하였다. 1% formic acid가 첨가된 water와 acetonitrile을 이동상으로 하고 Symmetry$^{(R)}$ (C18, $4.6{\times}250mm$, $5.0{\mu}m$) 칼럼을 사용하여 기울기용리(gradient elut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법을 확립하고 분석법에 대하여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과 정밀성 그리고 회수율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Ellagic acid의 검량선은 $R^2=0.9996$으로 좋은 선형성을 보였으며 LLOQ와 LOD는 각각 $1{\mu}g/mL$와 $0.3{\mu}g/mL$였다. 일내와 일간 분석에서 상대표준편차(RSD)는 각각 2.28%와 2.84%미만으로 나왔다. 회수율 측정결과에서는 89.17~97.92%로 나왔고, RSD는 0.05~0.14%였다. 그러므로 HPLC를 이용한 ellagic acid의 분석법이 고창 복분자 추출물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분석을 위한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본 시험법에 따라 분석한 고창 미숙과 복분자 추출물 내의 ellagic acid의 함량은 세 lot를 3번씩 분석하였을 때 약 $1.92{\mu}g/mg$(0.192%)이 나왔으며 RSD값은 2.36% 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ellagic acid의 분석법이 고창 복분자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