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0s taxi driver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대구지역 Taxi 운전자의 신체자각증상 호소율 (The Complaining Rate of Taxi Drivers' Physical Self-Consciousness Symptoms In Taegu (Korea))

  • 신두만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4호
    • /
    • pp.124-136
    • /
    • 1999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ymptoms of taxi drivers' physical self-consciousness. As the subjects for the study, 374 taxi driv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ree months, and its result showed as follows:1. In the items of the physical symptoms, the eye's fatigue was indicated as a greatest complaint, and the corporate-taxi drivers showed a higher complaint rate than the owner-taxi drivers. 2. The survey also indicated that taxi drivers over 50 years old showed the highest complaining rate of eye's fatigue, shoulder pain, loins pain, and severe headache. Feelings of burning on empty stomach was the highest complaint factor in the age group between 30 and 39 years old, and pain and burning feelings in eyes in the age group between 20 and 29 years old.3. In the study of the complaining rate of physical symptoms by working hours, the nighttime driers complained of their self-consciousness symptoms of leg and knee pain, shoulder pain, benumbed legs, and these drivers also showed a relatively high complaint rate resulting from the responsibility of living expenses.

  • PDF

택시 운전자들을 위한 스마트폰 앱 기반 걷기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Bandura의 자기효능이론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ffects of Smartphone App-Based Walking Exercise Program for Taxi Drivers: Based on Bandura's Self Efficacy Theory)

  • 최윤하;채민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42-25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phone app-based walking exercise programs for taxi drivers on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lking as an exercise, and physiological indexe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recruited in G metropolitan city.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n=31) or control groups (n=30). The smart phone app-based walking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educations via the app, twelve short message services, and one individual telephone counseling session, which was spread over 12 weeks. Results: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ad significantly higher pre-post test differences in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had significantly decreased prepost-test difference leve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lking as an exercise (which consisted of days walked, number of steps walked, and amount of time walked) had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7~12 weeks in the period following the intervention program rather than 1~6 weeks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The smart phone app-based walking exercise program based on the self-efficacy theory demonstrate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taxi driver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ctively use the program as a tool to promote self-efficacy,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behaviors in taxi drivers.

운전 중 문자 메시지 전송과 네비게이션 검색이 운전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50대 택시 운전자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driving performance during driving with sending text message and searching navigation : a study among 50s taxi drivers)

  • 김한수;최진승;강동원;오호상;서정우;연홍원;최미현;민병찬;정순철;탁계래
    • 감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571-58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50대 택시 운전자를 대상으로 동작 신호인 Jerk-Cost function(JC)와 차간거리의 분산계수(Anterior-Posterior Coefficient of Variation, APCV), 차선이격거리의 분산계수(Medial-Lateral Coefficient of Variation, MLCV)와 같은 차량 통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 중 문자 메시지 전송 또는 네비게이션 검색과 같은 동시 과제 수행이 운전 수행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남성 14명과 여성 1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험자는 일정 속도(80km/hr or 100km/hr)로 주행하는 선행 차량과 일정 거리 30m를 유지하며 주행하도록 하였다. 처음 1분간은 운전만을 수행하게 하였으며, 다음 1분 동안은 운전만을 수행하거나 운전과 함께 동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MLCV와 APCV는 80km/hr와 100km/hr 주행 시 Driving only에 비해 Driving + Sending Text Message(STM)와 Driving + Searching Navigation(SN)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JC 또한 주행 시 Driving only에 비해 Driving + STM과 Driving + SN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운전 경력이 길고 운전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50대 택시 운전자도 운전만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운전과 함께 문자 메시지 전송 또는 네비게이션 검색 과제를 수행하게 될 경우 동작 패턴이 거칠어지고 차량 통제가 어려워진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고령 운전자의 시각적 기능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Elderly Driver's Visual Function)

  • 김정복;황정희;추병선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05-511
    • /
    • 2018
  • 목적 : 만 65 세 이상 고령운전자와 50 ~ 65 세 이전의 예비고령 운전자의 시각적 기능을 검사하고, 일반인과 직업 운전자를 구분하여 그 차이점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만 65 세 이상 고령운전자(40 명), 만 65 세 이하 운전자(67 명)이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안과적 질환이 없고, 운전 경력은 5년 이상이었다. 기본적인 데이터(성별, 직업, 연령, 건강상태)와 함께 시각기능 데이터 (대비감도, 정적 및 동적 입체시, 시력회복시간, 눈부심 지수)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 명소시 조건에서의 대비감도는 전반적으로 버스군에서 가장 좋은 감도를 보였으며, 12 cpd와 18 cpd의 주파수에서 일반 1.57, 버스 1.70으로 그 차이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암소시 조건에서는 65 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일반군과 택시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눈부심 후 시력회복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만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은 보였다. 눈부심 지수에 관한 결과는 65 세 이상의 일반군에서 운전에 방해가 되는 눈부심에 해당하는 지수 3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고, 택시 및 화물 운전군에서는 양호한 눈부심에 해당하는 지수 5에 가까운 결과 값을 보여주었다(p<0.05). 결론 : 고령자들의 시기능을 분석한 결과, 나이가 들수록 대부분의 시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65 세 이상의 고령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해서는 현재 시행되어지고 있는 시력, 색각 검사 외에도 운전 환경과 연관되어 있는 시기능인 대비감도, 눈부심, 입체시력 등의 시각기능 검사가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