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P평가

검색결과 6,897건 처리시간 0.047초

Morphine에 의한 저작근 통증의 조절 효과 (Effect of Masticatory Muscle Pain Control by Morphine)

  • 유상훈;김민재;장주연;강수경;어규식;홍정표;전양현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3호
    • /
    • pp.169-182
    • /
    • 2012
  • 이 연구는 Morphine을 이용한 저작근통증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되었으며,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 RDC/TMD로 진단된 지원자를 saline 주사군, lidocaine 주사군, morphine 주사군 각각 10명씩 배정하였다. 통증부위에 주사 전, 주사 후 10분, 30분, 60분에 각각 주관적인 통증 평가인 시각유추척도검사, 맥길통증설문지검사 그리고 통증부위표시검사와 객관적인 통증 평가인 압력통증역치검사와 압력통증한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후 평가된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관적인 통증 평가와 객관적인 통증 평가 모두 집단 내 효과가 있었다. (p<0.001) 2. 주관적인 통증 평가인 통증부위표시검사(p<0.001)에서 집단 간 효과가 있었다. 3. 객관적인 통증 평가인 압력통증역치검사(p=0.025)에서 집단 간 효과가 있었다. 4. 주관적인 통증 평가인 통증부위표시검사는 morphine 주사군(p=0.001)이 saline 주사군에 비해서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저작근에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morphine 주사 시 60분 이내에는 주관적인 평가에서 통증 조절 효과가 있었으며, 향후 시간 연장에 따른 지속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춤이 큰 고성능 하이브리드 합성보의 휨성능 평가 (Bend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Hybrid Forming Composite Beam with High Depth)

  • 김성배;조성현;이재영;김상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403-414
    • /
    • 2016
  • 최근 강재가격 하락과 인건비 상승으로 강구조 및 합성구조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 춤이 큰 고성능 하이브리드 합성보에 대해 10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휨성능을 평가하였다. 휨 실험 결과 공칭하중에 대한 최대하중의 비($P_u/P_n$)는 평균 1.19배로 안정적인 내력을 확보하였으며, 변형능력(${\delta}_{0.8P_u}/{\delta}_y$)은 약 3.9~4.5배의 범위로 확인되었다. 또한 하이브리드 합성보의 내력평가는 현행 건축구조기준(KBC 2009)을 적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SWAT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수생태계 영향 평가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Aquatic Ecology in Han River Basin using SWAT)

  • 우소영;정충길;김진욱;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3-43
    • /
    • 2018
  • 수생태계는 다른 여러 생태계 중에서 가장 위험에 처해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수문 수질의 변화는 수생태계와 담수 생물다양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 생태학적으로 변화하는 세계적인 물 관리 패러다임에 따라 한강유역에서의 미래 수생태계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생태 건강성 관측자료와 수질자료,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수생태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자료로 국립환경과학원에서 8년간(2008년~2015년) 봄과 가을 2차례에 걸쳐 모니터링 한 부착돌말류(TDI), 저서형 대형무척추동물(BMI), 어류(FAI)에 대한 수생태 등급자료 및 해당 지점에 대한 수온 및 수질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한 결과를 DB(T-N, $NH_4N$, $NO_3N$, T-P, PO4P)에 대한 수생태 등급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수온 수질인자에 따른 수생태 등급을 나타내어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수생태 건강성 평가 및 예측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형은 유역의 신뢰성 있는 유역 수문, 수질 모의 및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하여 활용되었다.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한강유역의 다목적댐(3개), 발전용댐(1개), 다기능보(3개) 운영을 고려하였고, 237개의 표준유역으로 분할한 뒤 수문 및 수질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댐 및 보의 유입량, 증발산량, 토양수분, 지하수위, SS, T-N, T-P에 대하여 보정(2005~2009) 및 검증(2010~2015)을 수행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 수질 및 수생태 평가를 위해 기상청의 HadGEM3-RA RCP 4.5와 8.5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으며, 기준년(1975-2005)년에 대해 2020s(2010-2039), 2050s(2040-2069), 2080s(2070-2099)의 수생태를 평가하였다.

  • PDF

가열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홍합육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ssel Stock with Different Heating Times)

  • 유수현;신경은;최수근;서윤원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9-2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소스나 수프 등의 기본재료가 되는 홍합 육수를 제조함에 있어서 홍합의 각종 영양 성분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홍합 육수를 만들고자 하였다. 수분함량은 가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p < 0.05)으로 낮아졌다. 색도측정 결과, L값은 MS1(35.48)이 가장 높았고, a값도 MS1(-2.39)이 가장 높았으며, b값은 MS5(-9.49)가 가장 높았다. pH는 MS5가 6.56으로 가장 낮아 가열시간이 증가 시 시료 간의 유의적(p < 0.001)인 차이를 보이며 낮아졌다. 당도는 MS3이 $4.03^{\circ}Brix$로 가장 높았고, MS1이 $3.37^{\circ}Brix$로 가장 낮았다. 염도는 MS1이 0.71%로 가장 낮았고, 가열시간이 증가 시 시료간의의 유의적인(p < 0.001) 차이를 보이며 염도가 높아졌다. 홍합육수의 특성차이검사 결과, 육수의 외관, 투명도, 비린냄새, 비린맛, 짠맛은 가열시간 증가 시 강하게 평가되었다. 감칠맛은 MS4가 4.33으로 가장 강하게 평가되었다. 홍합육수의 기호도 검사 결과, 맛,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에서는 MS3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가열시간 증가로 홍합육수의 기호도가 대체적으로 좋게 평가되었으며, 홍합육수 제조 시 가열시간이 15분일 때 기호도가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4-(p-Nitrobenzyl)pyridine의 색깔반응을 이용한 미생물 epoxide hydrolase의 활성 평가 (Evaluation of Microbial Epoxide Hydrolase Activity Based on Colorimetric Assay Using 4-(p-nitrobenzyl) Pyridine)

  • 김희숙;이은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32-336
    • /
    • 2005
  • 4-(p-Nitrobenzyl)pyridine (NBP)의 색깔변화를 이용한 epoxide hydrolase활성 측정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미생물 세포유래의 epoxide hydrolase 활성을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Epoxide hydrolase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분해되고 남은 에폭사이드 기질에 의한 NBP alkylation 반응을 통한 색깔변화로 손쉽게 epoxide hydrolase 활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 NBP 반응에서 triethylamine을 첨가하여 색깔반응 효율을 높일 수 있었으며, 10mM styrene oxide에 대한 최적 세포 사용량은 12.5mg/ml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colorimetric assay조건에서 대용량의 미생물 후보군집으로부터 유용한 epoxide hydrolase를 가지는 신규 미생물을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만족도 및 평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f Students현 Spot-Practice 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 최미경;전예숙;홍원주;김순경;김동희;김애정;강명화;김미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73-380
    • /
    • 2004
  •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와 평가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찾아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대상자 중 대학 2학년생이 155명(67.7%), 대학교 3학년생이 14명 (6.1%), 4학년생이 60명(26.2%)이었으며, 남학생은 14명 (6.1%), 여학생은 215명(93.9%)이었고, 실습기관은 학교급식소 89명 (38.9%), 사업체급식소 107명(46.7%), 병원급식소 33명(14.4%)이었다. 실습기간은 1주가 16명(7.0%), 2주가 192명(83.8%), 3∼4주가 21명(9.2%)으로 2주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다. 실습 만족도는 실습지원비(1.90$\pm$1.18)와 실습기관의 위치(2.93$\pm$1.29)항목에서 낮았으며, 실습기관의 종류(3.75$\pm$0.88)와 실습기관의 실습관리자(3.63$\pm$1.05)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실습 평가도는 실습에 대한사전 준비 및 계획(3.27$\pm$0.74)과 현장실습이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었다(3.61$\pm$1.02)는 항목에서 낮았으며, 실습과제의 수행(4.05$\pm$0.82)과 근무의 성실성(4.02$\pm$0.75)에 대한 평가도는 높았다. 실습기관의 종류와 관리 유형에 따른 현장실습 만족도에서 병원급식소가 학교급식소나 사업체 급식소에 비해 실습기관의 분위기, 실습비,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학과 교수의 지도 항목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p<0.03, p<0.05, p<0.05), 직영업체가 위탁업 체보다 실습기 관의 종류 등 총 7개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현장실습 평가도는 학교급식소가 병원급식소에 비해 '나는 실습생으로서 성실히 근무하였다'와 '실습에 필요한 내용을 사전에 준비하고 계획하였다'는 항목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p<0.05), 직영과 위탁의 관리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현장실습 지역과 거주지가 일치한 실습생이 일치하지 않은 실습생보다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항목의 만족도(p<0.05)와 '실습장소의 정리정돈과 관리에 힘썼다' '조리원들과 친밀해지고 신뢰받게 되었다'는 항목의 평가도(p<0.05, p<0.01)가 유의하게 높았다. 현장실습 기관과 취업 희망기관이 일치한 실습생이 일치하지 않은 실습생보다 실습기관의 종류, 위치 등 총 8개 항목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실습 평가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현장실습 기간, 실습비, 실습 만족도와 평가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실습기간은 실습기관의 분위기,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항목의 만족도와 정의 상관관계(p<0.05, p<0.05)를 보인 반면, '부과된 과제를 수행하는데 최선을 다했다'는 평가도와는 부의 상관(p<0.05)을 보였다. 실습기관으로부터 받은 실습비는 실습지원비,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학과 교수의 지도에 대한 만족도(p<0.001, p<0.05, p<0.05) 및 '나는 실습생으로서 성실히 근무했다' 등 총 5개 항목의 평 가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실습 만족도와 평가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정의 상관을 보여 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평가도도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식품영양학과 현장실습생들은 실습지원비와 실습기관의 위치 면에서 만족도가 낮고 현장실습업무 수행상 실습에 대한 사전 준비 와 계획이 부족하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학교나 사업체 급식소, 직영업체, 실습기관이 거주지역에 있거나 취업 희망기관과 일치 할 경우 실습 만족도가 높았으며, 특히 실습기관이 거주지역에 있거나 취업 희망기관과 일치할 경우에는 현장실습업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영양학과의 현장실습이 매우 중요한 시점에서 이와 같은 요인들을 고려하여 현장실습의 효율을 높이고 체계화시켜 나가기 위한 학교, 실습기관, 정부 차원의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치위생윤리 교과목을 통한 치위생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자신감과 학습성과 평가 (Evaluation of the Confidence and Learning Effects of Dental Hygiene Ethical Decision-Making through Dental Hygiene Ethics Subjects)

  • 손정희;신선정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1-100
    • /
    • 2023
  • 연구배경: 본 연구는 일부 대학에서 진행한 치위생 윤리 교과목을 통해 치위생(학)과 학생의 윤리적 의식과 윤리적 의사결정 역량을 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학습성과를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 1학기 G대학교 치위생학과 4학년 각각 35명, 29명과 D대학교 치위생과 3학년 각각 53명, 43명 총 160명을 대상으로 치위생윤리 교과목을 운영하여 수업운영 성과를 도덕적 민감성,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때 자신감, 수업의 실제성, 학습성과, 수업만족도로 평가하였다. 각 평가항목은 Independent T-test와 Paired T-test를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양 대학 모두 수업 후 도덕적 민감성,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때 자신감이 상승하였다(p<0.001). 치위생 윤리 교과목에 대한 수업의 실제성과 수업만족도는 학제 간 차이가 없었으며 4점 이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p>0.05). 학습성과는 4년제 학생들이 3년제 학생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01). 결론: 치위생윤리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의 도덕적 민감성과 치위생 윤리적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 등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고 평가되었다.

신형 TL 선량계인 $CaSO_4:Dy,P$를 이용한 Hp(10) 측정용 배지의 필터체계 설계 (Design of a Badge Filter System for Measurement of Hp(10) with the New Type of TL Dosimeter $CaSO_4:Dy,P$)

  • 김현기;권정완;이재기;김장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79-85
    • /
    • 2003
  •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한 $CaSO_4:Dy,P$를 이용하여 ICRU에서 권고하는 Hp(10)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CaSO_4:Dy,P$는 광자에 내하여 높은 에너지 의존성을 지니므로 Hp(10) 평가를 위해서는 필터물질을 이용하여 모든 에너지에 대하여 반응도를 적절히 보상하여야 한다. ISO에서 권고하는 열형광선량계의 성능요건을 만족하는 필터설계를 위해 몬테칼로 코드를 이용한 이론적 계산과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완성된 필터 하에서 $CaSO_4:Dy,P$ 소자는 $20{\sim}662keV$에 이르는 광자 에너지 범위에서 $0.75{\sim}1.0$의 상대반응도를 보였다. 특히 직경이 큰 후방필터를 설계함으로써 전방필터의 두께를 감소하고 필터 조합을 단순화하였으며 테이퍼를 도입하여 선량계의 방향의존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었다.

사료내 생균제, 일라이트, 활성탄 및 목초액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능력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ion with Probiotics, Illite, Active Carbon and Hardwood Vinegar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5-172
    • /
    • 2007
  • 본 시험은 육계에 대한 생균제, 일라이트, 활성탄 및 목초액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생균제 0.2%(T1)와 일라이트(T2), 활성탄(T3) 및 목초액(T4)을 각각 1.0%를 broiler 200수에 급여하여 증체량, 사료 섭취량, pH, 전단력, 관능 평가, 육색 및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증체량은 전기 사료 급여 시에 C보다 T1과 T4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후기 사료 급여 시는 C와 T4보다 T1, T2 및 T3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 효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계육의 일반 성분 중 수분과 조단백질 및 조회분은 유의성이 없으며, 조지방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다. 가열 감량은 T3와 T4에서 낮았으며, 보수성은 T3와 T4에서 높았다. 관능 평가 결과 연도는 C가 가장 높고 T4가 제일 낮아 연도 개선 효과를 보였다. 육색 중 적색도$(a^*)$ 및 황색도$(b^*)$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명도$(L^*)$값은 T1, T2, T3 및 T4에서 대조구보다 높았다(P<0.05). 포화 지방산인 stearic acid 함량은 C보다 T1, T2, T3 및 T4에서 낮았으며,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 함량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육계 사료에 목초액을 1% 첨가 급여할 경우 경쟁력 있는 브랜드 계육의 생산이 가능하며, 농가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선도 표시계 개발을 위한 총각김치의 저장 중 품질변화 척도 (Study of Quality Change in Chonggak-kimchi during Storage, for Development of a Freshness Indicator)

  • 김윤정;진유영;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91-496
    • /
    • 2008
  • 총각김치의 신선도표시계 개발을 위하여 총각김치를 제조한 후 $20^{\circ}C,\;10^{\circ}C,\;4^{\circ}C$에서 저장하면서 총각김치의 발효 중 pH, 총산도, 총균수, 젖산균수, 환원당 측정 및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모든 저장 온도에서 pH는 약간 증가하다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4.2{\sim}4.3$까지 낮아졌고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속도가 빨랐다. 총산도는 $20^{\circ}C$ 에서 1일, $10^{\circ}C$에서 5일, $4^{\circ}C$에서 7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저장 온도 $20^{\circ}C$ 에서 4일, $10^{\circ}C$에서 10일, $4^{\circ}C$ 에서 30일 까지 증가했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총각김치의 가식기간은 저장 온도 $20^{\circ}C$에서 4일, pH 4.5까지, $10^{\circ}C$ 에서 10일, pH 4.4까지, 그리고 $4^{\circ}C$에서 30일, pH 4.3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총각김치의 유통기한은 저장 온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신선도표시계 개발에 있어서 한계 pH는 4.3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