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5S and 5S rDNA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7초

주요 장미 7품종의 FISH 핵형분석 (FISH Karyotype Analysis of Seven Rose Cultivars)

  • 황윤정;한태호;;임기병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68-572
    • /
    • 2012
  • 효율적인 교배를 위해서는 모본 또는 부본으로 사용하게 될 개체의 배수성 검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미 신품종 육성 프로그램에 이용되고 있는 장미 7품종의 FISH 핵형분석을 통하여 배수성을 확인하고 이를 육종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배수성 검경 결과, 7품종 모두 4배체(2n = 4x = 28)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FISH 핵형분석 결과, 45S rDNA는 4개의 signal이 7번 염색체 단완의 말단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염색체의 길이 관찰 결과, '알렉산드라'는 $1.67-2.67{\mu}m$, '프로이트'는 $1.40-2.04{\mu}m$, '리틀실버'는 $1.64-2.24{\mu}m$, '테레사'는 $1.69-2.26{\mu}m$, '티네케'는 $1.70-2.65{\mu}m$, '비탈'은 $1.35-2.08{\mu}m$, '옐로우미미'는 $1.39-2.04{\mu}m$로 관찰되었다. 염색체 전체 길이의 합은 프로이트 품종이 $11.23{\mu}m$ 로 가장 작았으며 알렉산드라 품종이 $15.05{\mu}m$로 가장 크게 관찰되었다. 염색체의 조성은 중부동원체형, 차중부동원체형, 차단부동원체형으로 구성되었으나 차단부염색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해양성 Flammeovirga sp. mbrc-1 균주의 분리 및 한천분해기능의 특성조사 (Isolation of a Marine-derived Flammeovirga sp. mbrc-1 Strain and Characterization of Its Agarase)

  • 장혜지;이동근;이승우;전명제;천원주;권개경;이희순;이상현
    • KSBB Journal
    • /
    • 제26권6호
    • /
    • pp.552-556
    • /
    • 2011
  • A novel agar-degrading bacterium mbrc-1 was isolated from seashore of Kyungpo at Gangwon province and cultured in marine broth 2216 medium. Isolated bacterium mbrc-1 was named as Flammeovirga sp. mbrc-1 based on the 16S rDNA sequence. Its agarase showed maximum activity of 923 units/L at pH 7.0 and $45^{\circ}C$ and sustained 90% remaining activity after exposed to $45^{\circ}C$ for 2 hours. The enzyme hydrolyzed agarose to yield neoagarohexaose (18.5%), neoagarotetraose (38%) and neoagarobiose (43.5%), indicating that the enzyme is ${\beta}$-agarase. Thus, isolated bacterium and its ${\beta}$-agarase would be useful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neoagarotetraose and neoagarobiose.

심비디움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 (Pests occurring on Cymbidium)

  • 조명래;전성욱;강택준;김형환;안승준;양창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03-408
    • /
    • 2013
  • 수출용 심비디움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와 해충관리 현황을 알아보고자 국내 주요 재배단지 10개 지역 45농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농가에서 채집된 해충의 종류는 응애류(20농가), 깍지벌레류(6농가), 민달팽이류(6농가), 총채벌레류(8농가), 진딧물류(5농가) 노린재류(1농가) 등이었다. 채집한 해충은 현미경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rybom), 난초핀깍지벌레(Pinnaspis aspidistrae Signoret), 민달팽이(Incilaria confusa Cockarel),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brevis Walker),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 무화과깍지벌레(Coccus hesperidum Linnaeus)와 소형달팽이류 1종으로 나타났다. 총채벌레 산란피해로 의심되는 증상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rDNA의 ITS2 부위를 PCR-RFLP 한 결과 아까시총채벌레(Thrips flavus Schrank)와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Lindeman)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수출 심비디움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이러한 해충들에 대한 종합적인 방제대책을 수립하여 실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팔공산 금붓꽃 계열의 자연 잡종 현상 (Natural hybridization of Iris species in Mt. Palgong-san, Korea)

  • 손오경;손성원;서강욱;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43-253
    • /
    • 2015
  • 붓꽃속(Genus Iris)의 금붓꽃계열(Series Chinensis)은 극동아시아에 국한되어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에는 총 6분류군이 자생하고 있다. 이는 크게 두 개의 주요 그룹 (각시붓꽃 complex와 금붓꽃 complex)으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팔공산에서 발견된 잡종추정개체들의 실체와 붓꽃속 금붓꽃계열 분류군간의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핵 rDNA ITS와 엽록체 matK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총 55개체로부터 얻은 106 개 ITS amplicon의 염기서열 및 군외군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금붓꽃계열의 노랑무늬붓꽃, 노랑붓꽃, 금붓꽃 및 잡종추정군은 군외군과 구분되어 유집되었으나, 군내군 사이에서는 높은 다형성 염기서열이 관측되었다. ITS 계통수에서 잡종추정군의 일부는 노랑무늬붓꽃과 하나의 분계조를 나타내었고, 나머지 잡종추정군의 경우는 금붓꽃+노랑붓꽃과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한편 cpDNA의 경우 matK를 제외한 나머지 마커는 금붓꽃과 노랑붓꽃의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matK의 NJ 계통수에서 잡종추정군이 금붓꽃과 높은 Bootstrap 값으로 하나의 분계조를 형성하였으며, 염기서열이 일치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팔공산에서 발견된 잡종추정군의 모계는 금붓꽃이고 부계는 노랑무늬붓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유아의 분변으로부터 항리스테리아 활성의 Bifidobacterium 속 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Antilisterial Bifidobacterium Isolates from the Infants Fecal Samples)

  • 김송이;김기환;윤순용;윤성식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1호
    • /
    • pp.19-28
    • /
    • 2006
  • 유아 분변으로부터 분리한 52 균주는 그람 양성균인 Listeria monocytogenes KCCM 40307$^T$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있었고 그 중에서도 선별 균주 A24의 항균활성이 45%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Bifidobacterium longum A24의 생육 및 항균 물질 생산을 검토하였을 때 균체의 생육은 28시간 배양 시 최고에 도달하였고 항균 활성은 36시 간 배양 시 최고를 나타내었다. 선별균주 A24는 16S rRNA-based molecular typing 결과Bifidobacterium 속 균주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형태학적 ${\cdot}$ 생화학적인 방법으로 검토하여 보았을 때 Bifidobacterium longum으로 판단되었으며, 16s rDNA sequencing 결과 최종적으로 Bifidobacterium longum로 동정 되었으며 이것을 Bifidobacterium longum A24로 명명하였다. Bifidobacterium longum A24의 항균 활성 물질은 균체의 생육이 가장 좋은 28시간 배양에서가 아니라 그보다 늦은 36시간 배양에서 최고를 나타내었고 그 이후로는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Bifidobacterium longum A24이 생성하는 항균 활성 물질이 bacteriocin과 같은 2차 대사 산물임을 암시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 PDF

고려인삼이 ACTH를 받은 마우스의 악하선 조직 DNA 합성능에 미치는 영향( II ) (Influence of Panax Ginseng on DNA Synthesis of Submandibular Gland in Mice Receiving ACTH(II))

  • 홍용하;김기연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8권2호
    • /
    • pp.45-48
    • /
    • 1974
  • It was planned to investigate, in mice that received ACTH, the influence of Panax Ginseng upon DNA synthesis of submandibular gland by observing incorporation of $[^3H]$ thymidine into the tissue cells. Thirty male mice $(body\;weight:\;18{\sim}20\;g)$ were divided equally into the ginseng-ACTIH and the saline-ACTH groups. Each animal of the ginseng-ACTH and the saline-ACTH groups received every day (subcutaneously) 0.05 m1/10 g body weight of ginseng extract(4 mg of ginseng alcohol extract in 1 ml of saline) and the same amount of saline, respectively, for 5 days. On the 5th experimental day, all animals received 0.01 unit of ACTH intraperitoneally one hour after the last medication, and $1\;{\mu}Ci/g$ body weight of $[^3H]$ thymidine after one more hour. Five animals, at a time, of each group were sacrificed 1, 10, and 24 hr after $[^3H]$ thymidine administration, and the radioactivity of cells in their mandibular gland was measured autoradiographically in terms of the % number of radioactive cells in 1,000 cell counts (Radioactive Index, R.1.).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radioactive indices obtained from submandibular gland of the saline-ACTH group 1, 10 and 24 hr after $[^3H]$ thymidine administration were $15.2{\pm}0.32,\;20.1{\pm}0.30,\;and\;24.5{\pm}0.52(mean{\pm}S.D.)$ in the mucous cells, $13.0{\pm}0.22,\;10.2{\pm}0.05,\;and\;7.5{\pm}0.42$ in the serous cells. and $10.5{\pm}0.40,\;13.6{\pm}0.32,\;and\;15.9{\pm}0.42$ in the duct cells, while the $mean{\pm}S.D.$ of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3 cell types 1, 10 and 24 hr after $[^3H]$ thymidine were $10.9{\pm}0.28,\;12.4{\pm}0.31,\;and\;10.0{\pm}0.39.$ Thus the radioactive indices obtained from the ginseng-ACTH group were generally lower than those obtained from the saline-ACTH group. It is inferr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ginseng tends to promote the suppressive action of ACTH upon DNA synthesis of cells in the mandibular gland.

  • PDF

산양유 Kefir 발효물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efir Made of Goat Milk)

  • 임영순;김수영;이시경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2-90
    • /
    • 2008
  • Kefir 분말제품으로부터 점질물 생성에 관여하는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분리균의 배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국산 산양유 kefir제품으로부터 순수 분리된 우수한 점질 생성특성을 갖는 2개 균주를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과 16S rDNA염기서열을 기초로 분석한 결과, 각 균주는 99% 이상의 상동성으로 Str.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LFG-1)과 Lc. lactis subsp. lactis(LFG-2)로 동정되었다. Str.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LFG-1의 최적 생장온도는 $40-45^{\circ}C$, 최적온도에서 대수기의 세대시간은 40.6분이었고, $37^{\circ}C$에서 배양 24시간 후 최종 pH는 4.30으로, 상업균주인 Str. thermophilus Body-1의 pH 4.55보다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Str.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LFG-1의 단백질 응고력은 상업균주와 같이 높은 응고력을 보였으나, Lc. lactis subsp. lactis(LFG-2)는 낮은 응고력을 보였다. 모든 균주들은 0.3% bile extract 첨가조건에서 22-29%의 내담즙성을 나타내었고, pH 3.0 이하에서는 대부분 사멸하는 약한 내산성을 보였으나 pH 4.5에서는 생장이 양호하여 요구르트와 같은 발효유 제품용 스타터로서 사용 가능성을 보였다.

저온저항성 유전자를 이용한 국화 형질전환 (Genetic Transformation of Chrysanthemum with Cold Regulated Gene (BN115))

  • 한수곤;최인영;강찬호;고복래;최정식;이왕휴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19-25
    • /
    • 2006
  • 저온저항성 BN115 gene과 표지유전자로서 kanamycin에 저항성 있는 nptII gene을 가지고 있는 식물발현용 binary vector pBin19/BNl15가 도입된 A. tumefacience MP90을 국화잎과 공동배양 하였다. 또한 particle bombardment를 이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가 식물체에 안정적으로 도입되어 발현됨을 PCR 및 Real-Time PCR 검정으로 확인하였다. 국화잎과 공동배양에 사용된 Agrobacterium은 $5.0{\times}1.0{\mu}m$로 non-sporing, motile, rod 형이며, Callus는 pin이나 cork-borer에 의해 상처 난 잎 가장자리로부터 형성되어 식물체가 재분화 되었다. 유전자 도입조건은 Agrobacterium을$O.D._{600}{\approx}0.5$에서 20분간 공동배양 할 때, Particle bombardment는 helium 압력을 1,100 psi, target 거리를 9 cm로 유지했을 때, 가장 효율이 높았다. 5mg/L kanamycin이 들어 있는 배지에서 선발된 형질전환체는 PCR 분석으로 형질전환여부를 판별할 수 있었으며, 선발 10개체 중 9개체에서 purified pBN115와 같은 크기의 밴드가 형성되었다. Taq-Man probe를 이용한 Real-Time PCR 결과 $45{\sim}0.00045ng/{\mu}{\ell}$ 범위에서 pBN115 gene을 10배씩 serial dilution한 amplification plot는 일정한 간격으로 standard curve를 보였으며, slope는 -3.313975, R2는 0.998319이었다. Amplification plots의 형질전환체 $C_T$값은 $20.75{\sim}33.81$범위였으며, 유전자 copy수는 정량분석을 기초로 산출하였다. pBN115의 plasmid DNA를 serial dilution했을 때, standard는 $5.6{\times}10^{10}/45ng{\sim} 5.6{\times}10^5/0.00045ng\;copies/{\mu}{\ell}$이 었으며, 형질전환체는 $3.86{\times}10^8{\sim}12565.71 copies/{\mu}{\ell}$이었다. 따라서 PCR, Real-Time PCR 분석 결과 저온저항성 유전자가 국화의 genome에 안정적으로 도입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주류의 풍미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야생 효모의 분리 및 특성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s for Improving Liquor Flavor and Quality)

  • 백성열;이유정;김재현;여수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6-64
    • /
    • 2015
  • non-Saccharomyces 효모는 야생효모로서, 다양한 효소를 세포 밖으로 분비하여 와인의 향기 성분 증가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효모 1,007주의 세포외 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β-glucosidase 566, glucanase 45, protease 401로 나타났으며, AA decarboxylase 활성 균주는 각 아미노산 별로 His 69, Tyr 306, Phe 171, Trp 23, Lys 197, Leu 198 균주로 나타났다. Cerulenin 과 TFL 내성 균주는 각각 563, 610주로, 15% 에탄올 내성 균주는 307주로 나타났다. 황화수소 생성균은 500주로 조사되었다. AA decarboxylation와 황화수소 저생성 균주 중 유용 효모 12 균주를 선발하여 2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C. tropicalis, H. opuntiae, H. uvarum, P. kudriavzevii, S. cerevisiae, W. anomalus로 각각 동정되었다. 12주의 효모 중 당 내성 우수 균주는 9주이며, 알코올 내성 우수 균주는 5 균주로 나타났다. 알코올 발효능은 Saccharomyces 효모는 8%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non-Saccharomyces 효모는 3% 내외로 나타났다.

소 Adipocyte Differentiation Related Protein (ADRP) 유전자의 Genomic Organization 및 Promoter Region의 특성 규명 (Genomic Organ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romoter Region of Bovine ADRP (Adipocyte Different Related Protein) Gene)

  • 장요순;윤두학;김태헌;정일정;조진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169-182
    • /
    • 2003
  • ADRP 유전자가 24개월령 한우 등심조직에서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30개월령 등심조직에서는 발현량이 다소 감소하는 발현양상 분석결과로부터 이전 연구에서는 ADRP 유전자를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DRP 유전자의 발현조절 기작을 분석하기 위하여 promoter 영역을 포함하는 ADRP 유전자 전체영역을 cloning하였으며, 구조를 분석하고 promoter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한우 ADRP cDNA 단편을 probe로 합성하여 Southern blot 분석을 실시한 결과로부터 ADRP 유전자가 한우 genome 상에서 single copy로 존재하고 크기는 대략 12 kb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Genomic DNA library screening을 실시하여 promoter 영역을 포함하는 ADRP 전체 유전자에 해당하는 clone을 확보하고 HwADRPg-1으로 명명한 후,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분석하였다. 한우 ADRP 유전자, HwADRPg-1은 8개의 exon과 7개의 intr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exon-intron 경계는 GT/AG 원칙을 따르고 있었고, coding 영역은 7,633 bp로서 6개의 intron에 의해 7개의 exon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HwADRPg-1의 promoter 영역에서는 TATAA box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70 위치에 근육 특이적 transcription activator인 Myo G 서열이 존재하였고, -629 위치에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C/EBP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서열이 존재하였다. HwADRPg-1의 조절영역에 있는 Myo G factor가 근육조직에서 ADRP 유전자가 발현될 수 있도록 하며, 근육의 발달정도를 신호로써 감지하여 근육조직에서 성장단계에 따른 ADRP 유전자의 발현량을 조절할 것으로 추정되고, 다른 종류의 지방세포 특이적인 전사인자 및 지방세포의 분화정도를 신호로 인식하는 전사단계 조절인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promoter 영역의 추가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