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5S and 5S rDNA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8초

신생아 비강에서 분리된 황색포도구균의 병원성 인자와 관련 유전자 (Associated-Genes and Virulence Factor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Nasal Cavity of Neonates)

  • 김영부;문지영;박재홍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24-32
    • /
    • 2003
  • 목 적 : 황색포도구균(S. aureus)은 건강인의 비강이나 피부에 정상 세균총으로 존재하지만, 병원 내 감염과 항생제 내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신생아의 비강에서 S. aureus을 분리하여 항생제 감수성의 양상과 내성 관련 유전자를 검출하여 내성의 정도와 내성 관련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으며, 병원성 인자의 검출을 실시하고, arbitrarily-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AP-PCR)법에 의한 유전자형별을 통하여 역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방 법 : 2001년 2월에서 5월 사이에 부산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신생아실에 입원한 2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비강에서 총 120회의 nasal swab을 실시하여 51주의 S. aureus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 coagulase 검사과형별, plasmid DNA의 양상, mec 관련 유전자의 분포, 장독소의 유전자 및 TSST-1 독소의 유전자 보유 상태, AP-PCR법으로 유전자 형별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Methicillin 내성이 23주, vancomycin 내성이 6주였고, 3가지 이상의 약제에 대한 내성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2) 42주가 coagulase 양성이었고, 이중 mecA 및 femA 유전 자를 보유한 12주를 대상으로 한 형별 검사에서 8종(coagulase I-VIII형)으로 분류되었다. 3) mecA 유전자가 22주에서, mecR1 유전자가 18주, mecI 유전자가 1주, femA 유전자가 17주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들을 4가지의 유전자형으로 분류하였을 때 mecA형이 14주, mecR1형 10주, mecA-mecR1형 7주, mecA-mecR1-mecI형이 1주였다. mecA 및 mecA 관련 유전자와 항생제 다제내성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4) 16주가 mecA와 femA를 모두 보유하였으며, 이들의 plasmid 양상은 I형이 7주, II형이 6주 그리고 III형이 2주였다. Oxacillin 및 vancomycin에 내성을 보이는 II형과 III형에서는 35.5kb의 plasmid DNA를 보유하였다. 5) 장독소 A, B, D, 및 E의 유전자는 51주 전부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장독소 C의 유전자는 64.7%, TSST-1 유전자는 80.4%가 양성이었다. 6) Coagulase 양성이며 mecA 및 femA 유전자를 보유한 MRSA 12균주에 대한 유전자 형별 검사에서 I형에서 X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II형 2주, X형 2주가 동일 유전자형이었고, 나머지는 다른 유전자형이었다. 결 론 : 입원 중인 신생아의 비강 내 S. aureus의 상재률이 아주 높았으며, 이들의 항생제 내성률, 특히 vancomycin의 내성률이 높아 이들에 의한 원내 감염에 대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들의 병원성 인자 및 관련 유전자에 대한 분석은 원내 감염에 대한 적절한 대책과 효과적인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돼지 유래 대장균의 생물학적 특성과 plasmid profile에 대하여 (Studies on biological characters and plasmid profiles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pigs)

  • 정수관;정석찬;최원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7-295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xamination for presence of pilus antigen, O serogroups, colicin production,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plasmid profiles among E coli isolated from diarrheal piglets and fattening pigs in Taegu province. Of 145 E coli isolated, 98 strains (67.4%) possesed pilus antigens which belonged to either K88 (47.6%), K99 (11.7%) or 987P (8.3%) types. Fifty-nine strains (40.7%) were classified into tenO serogroups and their types were O8 (22.0%), O20(16.9%), O141(15.3%), O9(10.2%), O45(10.2%), O139(8.5%), O064(6.8%), O149(5.0%), O157(3.4%), and O115(1.7%). Thirty-three strains (22.8%) were colicinogenic and 6 strains (4.1%) were hemolytic. One hundred and thirty-nine strains (95.9%) of 145 E coli isolates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chloramphenicol, gentamicin, kanamycin, streptomycin, tetracycline, rifampicin and nalidixic acid, alone or in combination thereof. Ninety strains (64.7%) of 139 drug resistant strains carried R factor (R) which were transferable to the recipient by conjugation. In gel electrophoresis for the isolation of plasmid DNA, the number of plasmid DNA band varied from 2 to 11 in 16 E coli with pilus antigen. It's molecular weight ranged from 1.0 to 60.0 megadalton.

  • PDF

TP53 Polymorphisms in Sporadic North Indian Breast Cancer Patients

  • Sharma, Sarika;Sambyal, Vasudha;Guleria, Kamlesh;Manjari, Mridu;Sudan, Meena;Uppal, Manjit Singh;Singh, Neeti Rajan;Bansal, Darpan;Gupta, Ar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871-6879
    • /
    • 2014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association of five (p.P47S, p.R72P, PIN3 Ins16bp, p.R213R and r.13494g>a) polymorphisms of TP53 with the risk of developing breast cancer in North Indian Punjabi population. Methods: We screened DNA samples of 200 sporadic breast cancer patients (197 females and 3 males) and 200 unrelated healthy, gender and age matched individuals for the polymorphisms. Results: For the p.P47S polymorphism, we observed the PP genotype in 99.5% of the patients and PS genotype in only 1 patient. All the controls had the wild type PP genotype. The frequency of RR, RP and PP genotype of p.R72P was 23.5% vs 33.5%, 51.5% vs 45.5% and 25% vs 21% in patients and controls respectively. Heterozygous (RP) genotype was increased in breast cancer patients as compared to controls (51.5 vs 45.5%) and showed 1.61 fold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for breast cancer (OR=1.61, 95% CI, 1.01-2.58, p=0.04). In breast cancer patients the frequencies of A1A1, A1A2 and A2A2 genotypes of PIN3 Ins16bp polymorphism were 67%, 26% and 7% respectively whereas in controls the genotype frequencies were 68.5%, 27.5% and 4%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p.R213R (c.639A>G), all individuals had homozygous wild type genotype. The frequencies of GG, GA and AA genotypes of TP53 r.13494g>a polymorphism were 62 vs 67.5%, 33 vs 28% and 5 vs 4.5% in patients and controls respectively, again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We observed that RP-A1A1 genotype combination of p.R72P and PIN3 Ins16bp and RP-GG combination of p.R72P and r.13494g>a polymorphism showed significant risk of breast cancer (OR=1.65, 95%CI: 0.98-2.78, p=0.05; OR=1.72, 95%CI: 1.01-2.92, p=0.04). Conclusio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among the five TP53 polymorphisms investigated, the p.R72P polymorphism, and the RP-A1A1 and RP-GG genotype combination contribute to breast cancer susceptibility in North Indians.

적색색소를 생산하는 해양미생물 JE-34 균주의 분류학적 특성 및 항균활성 (Taxono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Red Pigment-Producing Marine Bacterium Strain JE-34)

  • 김주상;김만철;;한용재;허문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68-376
    • /
    • 2009
  • 동중국해 해양퇴적층에서 다량의 적색색소를 생산하는 해양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의 분류학적 특성의 확인을 위해 형태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특성, 세포지방산 분석,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분자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분류학적 위치를 탐색하였다. 분자 계통학적 분석 결과 Zooshikella 속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Zooshikella ganghwensis KCTC $12044^T$ (AY130994)와 99.79%의 가장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분리균주는 그람음성의 간균으로 호기성 및 NaCl 의존적인 배양특성을 보였다. 세포 지방산 분석결과 type strain과 주요 지방산 조성이 유사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을 종합하여 Zooshikella sp. JE-34로 동정하였다. JE-34가 생산하는 적색색소는 이미 보고되어 널리 알려진 Serratia marcescens에서 생산되는 적색색소인 prodigiosin의 특성과 유사하였다. 색소물질의 인체병원균 및 어류질병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토한 결과 18종의 피검균 중 특히 Streptococcus iniae, S. parauberis, S. mutans, Staphylococcus aureus,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였다.

고추 탄저병 (Colletotrichum acutatum) 방제를 위한 Streptomyces padanus IA70-5의 평가 (Evaluation of Streptomyces padanus IA70-5 Strain to Control Hot Pepper Anthracnose (Colletotrichum acutatum))

  • 쩐티펑지;최옥희;곽연식;손대영;이증주;김진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3호
    • /
    • pp.37-45
    • /
    • 2012
  • 고추에 큰 피해를 일으키는 탄저병에 대한 강한 길항력이 있는 세균을 선발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식물뿌리 시료로부터 분리하여 보관중인 세균들을 대상으로 검정에 사용하였다. 총 457균주로부터 IA70-5균주를 최종 선발하였고,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Streptomyces padanus로 동정하였다. S. padanus IA70-5는 색소를 분비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으며 전형적인 Streptomyces속에 속하는 세균들처럼 나선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S. padanus IA70-5 균주는 in vitro에서 Colletotrichum acutaum의 균사생장, 포자발아, 그리고 부착기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실내 고추 과실에 대하여 병원균 접종 전 IA70-5 배양액 처리 시 약 90%의 탄저병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길항방선균 S. padanus IA70-5는 고추 탄저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김치로부터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Weissella 속 균주의 분리, 동정 및 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eissella Strains with High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from Kimchi)

  • 유진주;박형주;김수곤;오석흥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9-345
    • /
    • 2009
  • 김치로부터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2개의 젖산균주(OK1-4, OK1-6)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 양성, 단간균이었으며, 혐기적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였다. MRS 배지에서 $25\sim37^{\circ}C$ 범위와 pH 6.0~7.0 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성장을 위한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pH 6.5이었다. 분리된 젖산균주는 L-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리보오스, 글루코오스 등의 당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고, cellobiose, galactose, raffinose, trehalsoe는 분해하지 못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분리된 균주는 유전자은행에 등재되어 있는 Weissella koreensis S5623(AY035891)의 염기서열과 각각 99.6%와 99.7%의 서열 동질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생화학적 특성과 염기서열 분석결과를 토대로 분리된 균주를 Weissella koreensis OK1-4와 Weissella koreensis OK1-6로 각각 명명하였다. 이들 균주의 오르니틴 생성능력은 1% 아르기닌이 첨가된 MRS 배지에서 각각 27.01와 31.41 mg/L/h 이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우리김치로부터 분리된 Weissella 속 균주의 오르니틴 생성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다.

Sphingobacterium composti sp. nov., a Novel DNase-Producing Bacterium Isolated from Compost

  • Ten Leonid N.;Liu, Qing-Mei;Im Wan-Taek;Aslam Zubair;Lee, Sung-Ta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1호
    • /
    • pp.1728-1733
    • /
    • 2006
  • A Gram-negative, strictly aerobic, nonmotile, and nonspore-forming bacterial strain, designated $T5-12^T$, was isolated from compost and characterized using a polyphasic taxonomical approach. The isolate was positive for catalase and oxidase tests. It could degrade DNA, but was negative for degradation of macromolecules such as casein, collagen, starch, chitin, cellulose, and xylan. The DNA G+C content was 36.0 mol%. The predominant isoprenoid quinone was menaquinone 7 (MK-7). The major fatty acids were $iso-C_{15:0}$ (45.6%), $iso-C_{17:0}$ 3OH (17.2%), and summed feature 4 ($C_{16:0}\;{\omega}7c$ and/or $iso-C_{15:0}$ 2OH, 14.9%). Comparative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strain $T5-12^T$ fell within the radiation of the cluster comprising members of the genus Sphingobacterium. Strain $T5-12^T$ exhibited lower than 94% of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with respect to the type strains of recognized Sphingobacterium species. On the basis of its phenotypic properties and phylogenetic distinctiveness, strain $T5-12^T$ ($=KCTC\;12578^T=LMG\;23401^T=CCUG\;52467^T$) should be classified in the genus Sphingobacterium as the type strain of a novel species, for which the name Sphingobacterium composti sp. novo is proposed.

세포외 Protease를 생산하는 내염성 Bacillus sp. SJ-10 균주의 분리 동정 및 효소 특성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Halotolerant Bacillus sp. SJ-10 and Characterization of Its Extracellular Protease)

  • 김은영;김동균;김유리;최선영;공인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3-199
    • /
    • 2009
  • 오징어 젓갈로부터 호염성 균주를 분리하여 형태적, 생리 생화학적 특성 및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였고, 이 균주가 세포외로 생산하는 호염성 protease를 정제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균주는 NaCl 0~14%, $20\sim55^{\circ}C$ 및 pH 5~8에서 성장하였으며, $35{\pm}5^{\circ}C$, pH 7 및 5% NaCl에서 최적으로 성장하였다. 주요 지방산 조성은 anteiso-$C_{15:0}$ (44.70%), anteiso-$C_{17:0}$ (15.76%) 및 $C_{16:0}$ (13.91%)이었고, menaquinone은 MK-7이었으며, DNA G+C 함량은 50.58 mol%였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한 계통분석 결과 Bacillus이었으며 Bacillus sp. SJ-10으로 명명하였다. SJ-10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40% 황산암모늄 침전과 Mono Q 컬럼크로마토그래피 과정을 거쳐 collagen과 gelatin을 특이적으로 분해하는 약 40 kDa의 세포외 protease를 정제하였다. 이 효소는 $35{\pm}5^{\circ}C$, NaCl $5{\pm}1%$ 및 pH 8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냈으며, pH 5~10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Mannitol-Egg York-Polymyxin B 선택 배지에서 Bacillus cereus 계수 방법의 재평가 (Reevaluation of Enumeration of Bacillus cereus Grown on Mannitol-Egg York-Polymyxin B Agar)

  • 윤숙현;김용상;정도연;한금수;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8-214
    • /
    • 2009
  • 장류에서 식중독 미생물인 Bacillus cereus의 계수 방법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 cereus 선택 배지인 mannitol-egg york-polymyxin B (MYP)에서 자란 약 1,500개의 집락들을 형태적 차이에 따라 12종으로 분류하였다. 생화학 특성 및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집락 주위로 환을 형성하는 직경 11~16 mm 크기의 집락들은 B. cereus 와 B. cereus subsp. cytotoxis로 동정되었고, 환을 형성하지 않아 B. cereus 계수에 포함시키지 않았던 직경 5 mm 크기의 분홍색 집락은 B. cereus로, 6.5 mm 크기의 이중환을 형성하여 B. cereus로 계수하기가 모호하였던 붉은색 집락은 B. cereus로 동정되었다. 나머지 세 종들은 Enterococcus sp., Brevibacillus sp., B. subtilis로 밝혀졌다. B. cereus로 동정된 9종 모두에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B. cereus 독소 유전자들을 함유하고 있었지만 다른 형태들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