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0-60대 남성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6초

설문조사 : 양계산물 소비경향 분석 - 계란, 닭고기 소비자 설문조사 분석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42권10호
    • /
    • pp.96-100
    • /
    • 2010
  • 본 설문은 지난 7월에 개최된 농어촌산업박람회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계란과 닭고기에 대한 소비경향을 조사한 것이다. 이번에 참여한 소비자들은 계란분야에 347명(남성 47.3%, 여성 52.7%), 닭고기 분야에 237명(남성 46%, 여성 54%)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참여 연령층을 보면 계란분야는 20대(5.8%), 30대(14.2%), 40대(17.1%), 50대(31.5%), 60대(22.8%), 70대 이상(8.7%)로 나타났으며, 닭고기분야는 20대(4.7%), 30대(9.8%), 40대( 19.1%), 50대(26.4%), 60대(27.2%), 70대(12.8%)로 4,50대 소비자들의 참여비중이 높았다.

특집 - 참가자40% "식사요법교육이가장도움" - 당뇨캠프 설문조사 -

  • 신선경
    • 월간당뇨
    • /
    • 통권215호
    • /
    • pp.26-27
    • /
    • 2007
  • 충북 청풍리조트에서 열린 제 10회 성인당뇨캠프에는 100여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가했으며 이중 당뇨병환자는 총 81명이었다. 그중 32명이 남성이었고 49명이 여성으로 올해는 여성 당뇨병환자의 참여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참가자들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70대 이상이 19명이고 60대가 42명, 60세 이하는 20명으로 60세 이상 연령대의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다. 3박4일 간의 일정을 마친 뒤 참가자들의 캠프에 대한 소감을 들어봤다.

  • PDF

한국 남성의 혈중 Luteinizing Hormone과 Testosterone 수준의 연령-관련 변화 (Age-related Changes in Luteinizing Hormone and Testosterone Levels in Korean Men)

  • 이성호;안련섭;권혁방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57-66
    • /
    • 2008
  • 한국 남성의 연령 증가에 따른 혈중 luteinizing hormone(LH), testosterone(T), 그리고 타액 T 수준 변화를 조사하였다. 혈중LH 수준은 40대까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20s, $2.5{\sim}1.0$; 30s, $2.7{\sim}1.5$; and 40s, $2.5{\sim}1.8\;mIU/mL$), 50대 이상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50s, $3.7{\sim}1.8$ and 60s, $3.1{\sim}1.7\;mIU/mL$). 또한, 혈중 T 수준도 40대까지는 변화하지 않았으나(20s, $5.3{\sim}2.6$, 30s, $4.4{\sim}1.4$, 40s, $4.1{\sim}1.5$ ng/mL), 50대 이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50s, $3.4{\sim}1.5$; 60s, $2.6{\sim}0.8\;ng/mL$). 타액 T 수준 또한 40대까지 약간의 변화가 나타났으나($20s{\sim}40s$, $0.11{\pm}0.015\;ng/mL$), 50대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0.08{\sim}0.03\;ng/mL$). 타액 T 대 혈중 T의 상대적인 비율은 모든 연령대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2.4{\sim}0.9%$). 직선회귀 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에서 혈중 LH 수준은 매년 1.5%씩 증가하고 혈중 T와 타액 T 수준은 각각 매년 1%와 0.8%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혈중 T/LH 비율은 40대까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20s{\sim}40s$; $2.27{\pm}0.14$) 50대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2{\sim}1.0$). 연령과 관련된 타액 T/LH 비율은 혈중 T/LH 비율과 대단히 유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혈중 LH와 T, 그리고 타액 T 수준이 한국인 남성에서 40대까지는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고, 50대부터는 LH 수준이 증가하고 T 수준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50대경 노화과정에 의해 일어나는 원발성 정소부전(primary testicular failure)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비록 타액 T 수준이 혈중 총 T 수준과 약한 상관관계(r=0.53)를 갖지만, 혈중 free T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타액 T 수준에 대한 정보는 연령과 관련해서 나타나는 남성 정소생리를 연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CTA를 이용한 관상동맥 협착과 석회화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tenosis and Calcification of Coronary Artery with Using CCTA)

  • 김상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4호
    • /
    • pp.427-435
    • /
    • 2009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 중 성별, 연령별 협착률과 혈관 협착과 석회화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조사대상병원에서 조사 기간 동안 CCTA를 시행한 대상자 586명의 관상동맥의 협착률과 석회화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협착이 있는 사람은 299명으로 이 중 남성 166명(28%), 여성 133명(23%)이었다. 50~70대가 협착이 있는 자의 246명(82.6%)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1개의 혈관이상에서 협착률이 50%가 넘는 협착이 있는 자는 299명 중 남성은 60대에서 43명(33.9%), 여성은 70대에서 39명(37.5%)으로 나타났다. Vessel score가 2점 이상 되는 경우가 70% 이상 협착이 있는 자 139명 중에 70명(50.1%)이었고 남성은 60대가 32명(39.5%), 여성은 70대가 27명(46.6%)으로 나타났다. 특징적인 것은 70대에서 Vessel score가 3점이 되는 경우가 14명으로 다른 연령대보다 2~5배까지 많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LAD가 77.6%, LCX가 47.5%, RCA가 60.5%의 협착 빈도를 나타내었고 삼중혈관병변(Triple vessel disease)은 남성이 15명(36.6%), 여성이 13명(56.5%)으로 남녀 모두 70대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협착이 있는 그룹에서는 196명 (33.4%)이 석회화가 있었고, 관상동맥 협착이 없는 그룹에서는 40명(6.8%)만이 석회화가 있었다. 이것은 관상동맥의 협착에 석회화가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는 볼 수 없지만, 상당히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의복 설계를 위한 40-60대 한국 남성의 체형 변화에 관한 연구 - 제 5차, 제 6차 Size Korea 직접 측정치를 기준으로 - (A Study in the 40-60s Korean Male Body Type Changes for Clothing Construction - Focused on the 5th and 6th Size Korea's Anthropometric Data -)

  • 김지은;최혜선;김은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5-172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pattern of Korean male body size in their 40s-60s and their current body shape based on the research materials of the 5th(2004) and 6th(2010) conducted by Size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ake the related fashion industry recognize the changes of Korean male body size in their 40s-60s and suggest basic materials for clothing design that reflects such trend. As a result of analyzing changes of male body size in their 40s-60s by age, it was found that height, length, breadth and weight decreased across most of the items as the age increased. As for circumference, as the age increased, waist circumference (natural indentation), waist circumference (omphalion), and abdominal extension circumference increased, while other items decreased. In relation to the depth, as the age increased, hip depth and armscye depth decreased, while chest depth, bust depth, waist depth (natural indentation), and waist depth (omphalion) increased. Analyzing the change pattern of Korean male body size in their 40s-60s according to measurement year, height size increased in the 6th year across most of the body part items compared to the 5th year. It means that height of body parts related to body height increased in overall. As for circumference, most items showed decrease, which means that Korean male's body shape in their 40s-60s gets slim gradually. While the breadth of the chest decreased, the depth of the chest increased. which is assumed due to the increase in exercise according to high interest in health in a society. It will be possible to design proper clothes for consumer body type and trends if we design clothes that afford multilateral attention to the patterns, design, or material in clothing design by applying the aspects of Korean male body size in their 40s-60s and body type change.

  • PDF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 이용자의 검진금액 차이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ayment Difference of Health Examination Users in University Hospital Medical Center)

  • 조덕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2호
    • /
    • pp.47-58
    • /
    • 2013
  • 본 연구는 부산에 소재하는 한 대학병원의 건강검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이용자들의 검진금액에 대해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성별 분석의 경우 남성과 여성간의 검진금액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 분석의 경우 50 60대의 연령군이 건강검진을 위해 가장 많은 금액을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 검증과 집단별 검증을 추가로 한 결과 30대 미만과 30대 그리고 60대와 70대 이상의 연령군을 제외한 연령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별로는 40대 미만집단, 40대 집단 50대 이상 집단의 3개 집단 간 유의적이 차이를 보여 검진금액에 대한 연령집단군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검진금액에 대한 지역별 차이분석에 대한 사후 검증 결과 부산과 울산 경남 지역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을 뿐 나머지 지역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료기관의 건강검진 센터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일부 농촌 주민의 건강 증진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Rural Areas)

  • 김덕수;임현술;김두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327-341
    • /
    • 2000
  • 농촌 사회는 60세 이상의 노령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본인이 느끼는 건강 상태를 나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남성에서는 연령 이 증가할수록 건강증진 행태 점수가 높게 조사되었으며, 30~40대 연령층에서 건강증진 행태 점수가 가장 낮으면서 본인의 건강을 과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성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본인의 건강이 나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건강증진 행태 점수도 낮게 조사되었다. 농촌 지역 남성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노력은 젊은 연령층을 중점적으로 올바른 건강행태 교육을 통해 지속적인 건강증진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30대~40대 연령층을 중점적으로 금연 운동에 노력해야 할 것이며, 40대~50대 연령층에게는 적절한 체중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여성에서는 고연령층을 대상으로 건강증진에 노력해야 할 것이며, 특히 60대~70대 고령의 노인들이 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 개발 노력과 40대~50대 연령층의 체중관리에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20대 서양인의 굴절이상에 대한 연구: 북미지역 (The Study for Refractive Error of the Westerner in 20s: North America Region)

  • 이영일;홍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7-101
    • /
    • 2009
  • 목적: 서울 A 안경원에 방문한 20대의(남자: 44명, 여자: 62명) 서양인들을 대상으로 비정시의 정도와 굴절이상을 분석하였다. 방법: 타각적, 자각적 시력 검사를 시행하여 굴절이상상태를 연구 조사하였다. 결과: 굴절이상에 따라 분류한 결과 정시는 35안(16.51%), 근시안은 177안(83.49%)이었다. 난시 종류에 따른 분포는 남성의 경우, 단순근시는 26.76%, 근시성 복난시는 60.56%, 근시성 단난시는 12.68%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 단순근시는 43.40%, 근시성 복난시는 49.06%, 근시성 단난시는 7.55%로 조사되었다. 비정시안에서 등가구면굴절력에 따른 경 도근시는 전체 35.02%이었고, 가장 많은 수의 중도근시는 60.45%이었고, 고도 근시는 4.53%이었다. 난시안 중에서 근시성 직난시는 59.8%, 근시성 도난시는 26.78%, 근시성 사난시는 13.40%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평균 동공 중심간 거리는 63.5${\pm}$2.4 mm와 59.7${\pm}$2.3 mm로 남성이 여성보다 크게 나타났다. 결론: 안경사들이 20대 서양인들의 시력검사 및 렌즈를 처방할 때에도 여러 가지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3D체표면 입체형상을 활용한 20~40대 성인남성의 체형유형별 타이트 핏 토르소원형 설계 (Development of tight-fit torso patterns for adult males somatotype 20s~40s using 3D somatic surface shape)

  • 홍은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6호
    • /
    • pp.904-921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ody type suitable for adult men aged from their 20s to their 40s and to present a method of drafting related patterns. To this end, the somatic surface pattern data from previous studies were used.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drafting torso patterns for each type by setting and distributing the ease to the somatic surface pattern. Appear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virtual clothing. Then, the torso pattern for each body type was completed and presented as a draft method. SPSS was used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ypes 1, 2, and 3 were set to 7%, 6%, 5%; 7%, 6%, 4%; and 6.5%, 7%, and 6% for chest, waist, and hip circumference measurements, respectively. The ratio of front to back was 50%:50%, 50%:50%, and 50%:50% of the spare for each body part for Type 1; 70%:30%, 50%:50%, and 60%:40% for Type 2, and 60%:40%, 70%:30%, and 60%:40% for Type 3. A tight-fit torso pattern for each body type suitable for adult males in their 20s to 40s was drafted,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wear. Considering the practicality of this approach, for generalization of the patterns, the items of the pattern were converted into a drafting method and presented as a draft method.

농업인의 연령대별 건강관리 행태에 관한 연구 (Health Care Behaviors according to Ages in Farmers)

  • 이경숙;김효철;김경란;송은영;노상철;오경재;박기수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2-82
    • /
    • 2009
  • 농작업 활동시 건강유해요인 증가에 따라 농부증 및 농업인의 직업성 질환 유병률은 증가하는 실정이므로, 장기추적연구를 통한 실태분석 및 원인구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농업인의 건강수준 평가를 위한 건강검진 항목 선정 및 측정방법 표준화, 농업인 건강 및 농작업 관련 행태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농업인 건강 및 작업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농업인의 성별 연령대별 건강관리행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5월부터 4개월간 18개 지역 남자농업인 550명(44.6%)과 여자농업인 683명(55.4%) 총 1,233명을 대상으로 직접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령대는 50세이하, 51~60세, 61~70세, 71세 이상 4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업인의 체지량지수(BMI)는 남성의 경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p<.001), 여성의 경우는 다른 그룹에 비해 70세 이상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5). 2. 대상 농업인들의 주작물을 조사한 결과 시설작목과 특용작물의 경우 남성은 50대, 여성은 40대 그룹이 가장 많은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작목은 60대 그룹이 가장 많았다. 3. 지난 1년간 의료기관 방문 횟수와 의료비를 조사한 결과 남성(p<.001)과 여성(p<.001) 모두 연령대가 높을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규칙적인 운동시행여부를 조사한 결과 여성은 연령대와 운동여부간에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p<.001), 남성은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농부증정도(농부증 없음. 의증. 양성)를 조사한 결과 남성(p<.01)과 여성(p<.001) 모두 연령대와 농부증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농작업 재해 실태 파악과 원인구명을 위한 작업개선방안 제시하고,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국내 농업인의 작업부담을 경감시키고 건강수준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