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4 Bedroom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2초

시뮬레이션을 통한 주거공간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the Single Alarm Detector in the Rooms of Single Houses by Computer Simulation)

  • 임근주;박상천;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29-35
    • /
    • 2020
  • 본 연구는 단독주택에 설치된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층 주택 2개 및 2층 주택이 포함된 세 가지 유형의 주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주거 공간에서 경보음 발생에 따른 음압 레벨을 예측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적용된 음원의 특성을 직접 측정하여 입력 데이터로 사용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부엌과 거실에서의 음압레벨이 탐지기의 경보음이 발생했을 때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침실에서의 음압레벨은 미국화재방지협회 기준인 75 dB(A)보다 최소 20 dB(A)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주택 내부의 침실 공간에서 충분한 음압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관련 표준을 제정하여 화재시 안전한 대피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국민주택규모 단위세대 평면 분석 연구 - 2005년 이후 대한주택공사 사례를 면적분석 중심으로 - (Analytical Study for the Plan of Unit Household in National Housing Scale - Oriented on the cases of Korea housing corporation since 2005 ; Focused on analysing area)

  • 이정호;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80-189
    • /
    • 2010
  • Since collective houses are started to be supplied, the housing market has been transformed from supplier to demander oriented, and various type with same area of unit households have been deigned and started to be distributed. It can be expected that such transfer phenomenon would be continuously sped-up, and unit household will be more subdivided and varied. Thus, we analysed and studied the planes with subject of unit households in national housing scale ($85m^2$) that is treated as supply standard and has biggest volume in construction by Korean housing corporation. The analysing method is investigating the area of each room within unit household, calculating their minimum, maximum, and average values, studying the efficiency of unit household plan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each room by comparative analysis these values, and analysing changing matter by investigating any change of each room area. The analysing results of which are followings. At first, number of BAY on face is increasing. Second, allocation of each room has been vary. Third, area ratio among bedroom1, livingroom, diningroom/kitchen become similar. Fourth, the area of diningroom/kitchen become somewhat bigger. Fifth, the space for passage way is efficiently allocated. Sixth, service area is reduced, Seventh, stereotyped phenomenon Is appeared. Based on many studies so far, any improvements of unit householder in national housing scale ar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forming style, unit householder in national housing scale is unfolded in various way though, the form of each room is not more than typical style. Second, it shows stereotyped phenomenon. Especially, bathroom 1, 2 show stereotyped feature in terms of their type and area across entire research years, also LDK allocation method is stereotyped, as well as stereotyped trend in bedroom 2, 3, allocation for 4 BAY type.

현대 아파트 평면도와 한옥표준평면도의 공간배치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Layout Characteristics of Modern Apartment Floor Plan and 'Standard Korea Traditional-Houses Floor Pla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71-278
    • /
    • 2019
  • 본 연구는 현대의 대표적인 주거양식인 아파트 공간과 우리 전통미를 살린 한옥표준평면도의 공간 배치 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객관적인 분석을 위하여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각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파트 공간은 생활의 편리함과 용도의 명확한 구분 때문인지 공간이 세분화된 반면에 전통한옥 평면은 각 실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함에 따라 아파트보다 각 실의 공간이 세분되지 않았다. 2)한옥평면도에서 대청이 거실로 변화하였을 뿐 두 평면도 모두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거실공간이 통합도가 가장 높았다. 3)한옥공간은 서로 공간이 통하는 통합성 성격이 강하지만 현대화된 한옥표준설계도는 분격성 공간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아파트에서 안방의 통합성이 높았고 한옥평면도에서는 침실과 안방은 분격성이 높았다. 5)한옥평면도에서는 옛날과 달리 툇마루의 기능이 많이 감소한 반면에 사랑방에 부속된 누마루가 분격성 공간으로 분류되었다. 아파트에서는 피난공간이 분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한옥표준설계도는 현대의 생활에 적응하면서 변화되어 있었다.

주거공간 에어로 시스템 배치에 관한 화재시뮬레이션 연구 (A Study on Fire Dynamics Simulation on the Arrangement of Aero System in the Residential)

  • 최두찬;고민혁;이두희;박계원;최정민;이용권;김길남;선경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890-896
    • /
    • 2021
  • 연구목적: '에어로 시스템'이란 제품을 개발하였으며, 화재 특성상 신속한 감지가 무엇보다 중요함으로 개발하고 있는 제품을 주거 공간 어느 지점에 배치를 하였을 때 신속하게 감지를 할 수 있는지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8평형의 주거 공간에서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화재 환경이 빨리 노출되는 지점을 찾고자 침실, 거실 별로 측정점을 높이 0.6m, 1.5m 지점으로 설치하여 빨리 감지 되는 지점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 1.5m 지점으로 설정한 온도 및 일산화탄소 센서가 기준 치에 빨리 감지 되는 지점을 확인하였다. 결론: 소화모듈과 AQI모듈이 분리된 제품을 벽에 부착형으로 설치할 경우 화재 감지가 상대적으로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의 입지 및 공간구성의 실태 고찰 - 경남지역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ce Composition of Small Elderly Care Facilities - Focus o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Gyeongsangnam-do -)

  • 양금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7-25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tion and space composition of small elderly care facilities in gyeongsangnam-do and to present a desirable direction for planning small elderly care facilities. As a research method,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82 facilities for elderly care facilities with a capacity of 10 to 29 installed in Gyeongsangnam-do were investigated. In particular, the location, site area, total floor area, and composition of major rooms of small elderly care facilit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location characteristics, 56.1% of the suburban and rural types, 28.1% of the urban area type, and 12.2% of the mountain type were found in order. Second, in the connection between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stand-alone facilities accounted for 53.7%, and complex types accounted for 46.3%. Third, the average number of admissions was 23.1, and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26-29 admissions were the largest at 41.0%. The total floor area per person was 28.3m2. Fourth, in term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facilities, stand-alone facilities accounted for 53.7%, and complex types accounted for 46.3%. Fifth, by the number of people in the bedroom, 49.4% were installed in the order of a four-person room, 25.0% in a three-person room, 18.7% in a two-person room, and 3.5% in a one-person room. In addition, in the bedroom lifestyle, 84.1% of the bed type and 15.9% of the bed + sitting type were found.

우리나라 일부 주택내 라돈 농도에 관한 조사 연구 (Indoor Radon Levels in Four Different Areas in Korea)

  • 김윤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
    • /
    • 1990
  • Indoor rad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Track-Etch detectors in four (Seoul., Songtan, Dogo, Kunsan) different geological areas in Korea during December 1988 - April 1989. Measurements involving 75 hdmes were made in different rooms of each home. The mean concentrations of indoor radon in the homes by area varied from 2.70 - 3.22 pCi/l.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rural areas were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levels in urban areas. The mean radon concentrations in the basements were about 1.3 times higher than those levels measured in the first floor. The mean radon concentrations in the kitchen and bedroom were and 2.86 pCi/l 2.43 pCi/l, respectively, while the living room radon concentrations were 2.61 pCi/l. Energy-efficient homes have a living room level that is on the average 1.4 times higher than normally insulated conventional homes. Approximately 13% of the study homes exceeded 4 pCi/l of radon levels of the U.S. EPA's recommended limit. From these results, radon levels in the homes seemed to correlate strongly with house location relative to geologic formation.

  • PDF

성능기반 화재안전설계를 위한 침실 공간에서의 실화재 실험 (The Real Fire Test in Bedroom for the Performance Based Fire Design)

  • 김형준;권인규;권오상;김흥열;채승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32-37
    • /
    • 2013
  • 건축물에서의 성능기반 화재안전설계를 위해서는 구획 공간 내에서의 화재성장 및 화재크기와 같은 화재특성을 우선적으로 판단하여야 하지만, 건축물에서의 구획공간의 형태, 환기조건 등과 같은 상이한 조건과 실규모 화재실험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관련 기초 자료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서의 구획공간에 대한 실규모의 화재 실험을 통해 공학적 화재 특성 데이터인 열방출률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규모의 화재실험은 침실공간으로 설정하였으며, 화재실험은 2.4 (L) ${\times}$ 3.6 (W) ${\times}$ 2.4 (H) m의 구획 모델에서 실시하였다. 초기착화는 쓰레기통에서 발생하였으며, 화재실험은 총 30분에 동안 진행되었다. 화재실험결과, 실험 시작 7분 50초 이후부터 화염이 외부로 출화되었으며, 최대 열방출률은 실험 시작 9분 34초에 3810.6 kW로 측정되었다.

소비촉진을 위한 가정재배용 버섯키트개발 연구 (Improvement of indoor mushroom kit)

  • 조우식;류영현;최성국;윤재탁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9-33
    • /
    • 2007
  • 버섯산업의 활성화자료 제공과 버섯의 가정내 재배 학생들의 과학탐구용으로 사용키위해서 일반 가정주택의 실내에서 버섯류 재배가능성 검토의 일환으로 수행한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가정내 각실별 온 습도 측정결과는 세면실에서 64~72%, 온도 $20.2{\sim}26.0^{\circ}C$로 상대적으로 거실, 부엌등 타실보다 버섯생육에 유리한 조건을 나타내었다 (1999. 4. 25~7. 25). 나. 느타리버섯 상자재배에서 세면실의 경우 초발이소요 일수는 3일, 수량은 2,060g, 회수율은 90%였다. 다. 느타리버섯 봉지볏짚재배에서 세면실의 경우 초발이 소요일수는 2일, 수량은 90g, 회수율은 153%였다. 라. 느타리버섯 봉지톱밥재배에서 세면실의 경우 초발이 소요일수는 4일, 수량은 770g, 회수율은 89%였다. 마. 영지버섯 봉지톱밥재배에서 세면실의 경우 초발이소요일수는 11일, 수량은 172g, 회수율은 16%, 중량감소율은 61%로 나타났다. 바. 본시험에서 수행한 4처리 모두 거실, 침실, 부엌에 비해 세면실에서의 생산된 버섯의 수량이 우수하였다. 사. 본 실험의 결과를 일부 기술하여 "내손으로 재배하는 가정버섯 효능과 활용법"이란 제목의 책자를 공동저술하였다 (장 등, 2003).

  • PDF

자녀의 성장과정에 따른 주공간 사용 변화에 관한 연구-가족형태 변화와 주공간의 대응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dwelling Space according to the Growth of Children -Focused on the Correspondence of the Family Life Cycle to dwelling Space-)

  • 박현아;박용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3-5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using & change of the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the children age and family life cyc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as children grow up, children's activity space changed from living room to the private room, and housing condition was related to the frequency of each activity. The second, as children grow up, family's sleeping pattern changed, and this change effected the number of private rooms for sleeping and the use of the extra room. The third, changes of the using of dwelling space come out several pattern, increasing bedroom number through reconstruction, exchange of An-band and children room, parents' sleeping space move to living room, and change the function of rooms. The change pattern of the correspondence to the housing needs differed from each family life cycle stage.

  • PDF

A NUMERICAL INVESTIGATION OF INDOOR AIR QUALITY WITH CFD

  • Sin Vai Kuong;Sun Ho I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7-93
    • /
    • 2005
  • Macao, a city with three sides bounded by water, is hot and humid in weather in more than six months of a year. This uncomfortable weather induces the frequency of operating air-conditioners. Choice of location for installation of air-conditioner in a building will affect the performance of cooling effect and thermal comfort on the occupants, which in turn will affect the indoor air quality (IAQ) of the building. In the paper, investigation of distribution on carbon dioxide, room air temperature and velocity, as well as air diffusion performance index (ADPI) of a single bedroom in Macao is studied by using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oftware FLOVENT 3.2. Simulations of locating the air-conditioner at 4 different walls will be done and comparisons and analyses of the results will be performed to decide a proper location for the air-conditioner for obtaining good thermal comfort.